본문으로 이동

한국과 유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엔의 공식 깃발
남한과 북한

본 문서는 한국과 유엔에 대해 다루고 있다. 1991년 대한민국(통칭 남한)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통칭 북한)이 동시에 유엔에 가입하였다. 1991년 8월 8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702호를 통과시켜 양국에 유엔 총회에 가입을 권고하였으며, 1991년 9월 17일 총회는 결의 46/1호에 따라 양국을 모두 가입시켰다.[1][2][3]

역사

[편집]
태극기와 인공기

옵서버 시절(1948-1991)

[편집]

1949년 남한과 북한이 모두 유엔 가입을 신청했으나 당시 소련이 남한의 가입을 반대하면서 남한의 가입 신청에 대하여 아무런 조치도 이뤄지지 않았다.[4] 이는 소련의 비토(거부권)으로 잘 알려져 있다.[5][6][7] 북한도 미국, 영국, 프랑스 그리고 중국의 반대로 이뤄지지 못하였다.

1950년, 북한이 남한을 침공했고, 한국 전쟁이 시작되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 침공을 비난했고, "유엔 회원국들이 대한민국에 무력 공격을 격퇴하고 그 지역의 국제 평화와 안보를 회복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 그리고 "군사력과 다른 지원을 제공하는 모든 회원국들이... 그러한 군대와 다른 지원을 미합중국 아래의 통합된 지휘부에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 그리고 이 새로운 유엔 사령부는 "북한군에 대한 작전 과정에서 유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재량에 따라..."[8] 이를 승인했다. 16개국은 한국을 지원하기 위해 전투 부대를 보냈다. (그리고 다른 5개국은 인도적 지원을 보냈다)

냉전이 끝나갈 무렵, 남한은 1991년 유엔에 독자적인 가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9] 북한은 이전에 "두 개의 한국"을 영구적으로 인정하는 것에 반대했기 때문에 자신과 남한을 위한 유엔의 분리 가입을 반대했었다.[10][11] 그러나 남한의 제안에 대한 중국이나 소련의 거부권이 예상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도 유엔 가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한국 전체의 이익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들이 유엔의 연단에서 편향적으로 다뤄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현 단계에서 유엔에 가입하는 것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남한의 외무부는 북한의 신청을 환영하면서, 남북한의 분리 가입이 "긴장 완화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평화적인 통일의 과정을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12][13]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991년 9월 17일에 두 나라가 가입을 승인하면서 만장일치로 북한과 남한 모두의 가입을 권고했다.[14]

남한의 유엔 옵서버 지위 획득

[편집]

1948년 12월 12일, 대한민국은 유엔 총회(UNGA)에서 결의안 195호에 따라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으며,[15][a] 이때부터 한국은 유엔에 옵저버 자격으로 총회에 참가하게 되었다.[16] 이후 1970년대에 옵저버국 지위로 얻게 되었다.

북한의 유엔 옵서버 지위 획득

[편집]

1971년 중국의 지위가 바뀌면서 북한도 1973년에 유엔 옵저버국 지위를 획득했다.[4]

북한과 유엔(1991~현재)

[편집]

북한은 단 한 번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비상임이사국 지위를 가진 적이 없다. 뉴욕에 유엔주재 대표부를 두고 있으며, 파리에 유엔대표부를 두고 있으며, 제네바 유엔사무소에 유엔주재 대사를 두고 있다.[17][18]

유엔총회는 2005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북한의 인권상황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해 왔다.[19] 북한의 미사일 발사 및 핵실험으로 인해서 유엔안보리에 의해서 경제적 제재를 받고 있기도 하다. 또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가 대북 제재 이행에 관하여 감독 및 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2019년 12월, 켈리 크래프트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미국은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과 "동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켈리 크래프트 대사는 또한 북한에게 더 이상의 미사일 실험을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20][21]

남한과 유엔(1991~현재)

[편집]

현재 남한은 뉴욕, 파리. 제네바 등에 유엔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기구들에 사무소를 설치 및 운영 중이다. 유엔 가입 이후 남한은 지속적으로 유엔과 협력하고 있다. 이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유엔 평화유지군, 그외 유엔 전문기관에서 한국의 역할과 활동에 의해서 잘 보여지고 있다.[22][23] 2021년에는 유엔 가입 30주년을 기념하였다.[24] 남한은 1995년(임기:1996~1997년)와 2012년(임기:2013~2014년)선거, 그리고 가장 최근 2023년(임기:2024년~2025년) 총 세 차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에 당선되었다.[25][26][27]

2001년에는 한국의 한승수 주미대사가 UNGA 회장직을 맡았다.[28] 2006년 또한 외교부��관을 지낸 반기문이 유엔 사무총장으로 당선되었다. 그는 2011년에 재선되었다.[29][30]

같이 보기

[편집]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북한 관련 결의안 목록[31]

각주

[편집]
참조주
  1. “A/RES/46/1 : UN Documents : Security Council Report”.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2. Sess.: 1991-1992), UN General Assembly (46th (1991년 12월 20일). “Admiss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Korea to membership in the United Nations :: resolution /: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영어). 
  3. “UN 총회 제 46차 폐막 외 1건”.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4. King, Robert (2021년 9월 24일). “The Two Koreas Mark 30 Years of UN Membership: The Road to Membership”. 《KEIA.org. 2022년 7월 2일에 확인함. 
  5. 신각수 (2022년 6월). “유엔 가입 30년과 새로운 30년 : 국제평화와 정의를 위한 한국의 역할”. 《서울국제법연구》 29 (1): 1–11. doi:10.18703/silj.2022.06.29.1.001. ISSN 1226-3508. 
  6. 반기문 (2021년 10월). “한국의 유엔 가입 30주년”. 《계간 외교》 (139): 37–52. 
  7. “유엔가입 30주년 기념 포럼 – 한국 주재”. 2024년 4월 6일에 확인함. 
  8. “Resolution 84: Complaint of aggression upon the Republic of Korea”. United Nations. 2020년 3월 9일에 확인함. 
  9. Reid, T.R. (1991년 5월 29일). “N. Korea Seeks Separate U.N. Membership”. 《The Washington Post. 2022년 7월 2일에 확인함. 
  10. “EAI 동아시아연구원”.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11. ““하나의 조선정책 변화 없다””. 1991년 6월 20일.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12. Reid, T.R. (1991년 5월 29일). “N. Korea Seeks Separate U.N. Membership”. 《The Washington Post. 2022년 7월 2일에 확인함. 
  13. “아시아 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 남북한 UN 동시가입 지지”. 2024년 5월 18일에 확인함. 
  14. King, Robert (2021년 9월 24일). “The Two Koreas Mark 30 Years of UN Membership: The Road to Membership”. 《KEIA.org. 2022년 7월 2일에 확인함. 
  15. “ODS HOME PAGE” (PDF). 《documents-dds-ny.un.org》. 
  16. 외교부. “「유엔 가입 30주년 국제포럼」 결과 상세보기|보도자료 | 외교부”. 2024년 4월 6일에 확인함. 
  17. “Countries that have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DPRK”. 《North Korea in the World》. East-West Center, The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202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8. Nebehay, Stephanie (2019년 5월 22일). “North Korea Says 'Biggest Issue' in U.S. Ties Is Impounded Ship”. 《Reuters》. 2020년 12월 7일에 확인함. 
  19. “Resolution on N. Korea's human rights violations presented to U.N. committee”. 2018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3일에 확인함. 
  20. “Remarks at a UN Security Council Briefing on Nonproliferation and the DPRK”. 《United States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2019년 12월 11일. 
  21. Gladstone, Rick (2019년 12월 12일). “After North Korea Hints at New Policy, U.S. Warns Against More Missile Tests; The American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responding to North Korean signals that it could resume long-range missile tests, said such a move would be 'deeply counterproductive.'. 《The New York Times》. 
  22. 외교부. “우리나라,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이사국 6회 연속 진출 상세보기|보도자료 | 외교부”.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23. Cho, Yun Young (2008). “UN Peacekeeping Operation and Foreign Policy in Korea”.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카누리어) 9 (2): 93–112. ISSN 1738-2580. 
  24. 외교부. “「유엔 가입 30주년 국제포럼」 결과 상세보기|보도자료 | 외교부”. 2024년 5월 18일에 확인함. 
  25. “ASSEMBLY ELECTS CHILE, EGYPT, GUINEA-BISSAU, POLAND, REPUBLIC OF KOREA TO TWO-YEAR TERMS ON SECURITY COUNCIL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www.un.org》. 
  26. “Argentina, Australia, Luxembourg, Republic of Korea and Rwanda obtain non-permanent seats on UN Security Council”. 《UN News》. 2012년 10월 18일. 
  27. 외교부. “2024-25년 임기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 상세보기|관련자료 | 국제연합(UN) 외교부”.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28. “HAN SEUNG-SOO OF REPUBLIC OF KOREA ELECTED PRESIDENT OF FIFTY-SIXTH GENERAL ASSEMBLY SESSION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www.un.org》. 
  29. “Ban Ki-moon”.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2016년 11월 28일. 
  30. “Ban Ki-moon appointed next UN Secretary-General by acclamation”. 《UN News》. 2006년 10월 13일. 
  31.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 자료검색”.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내용주
  1. The recognition was refused by Soviet Union and other communist states at the first time.

참고 자료

[편집]
  • Chi Young Pak (2000).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The Hagu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ISBN 978-90-411-1382-5. 
  • Jonsson, Gabriel (2017). 《South Korea in the United Nations: Global Governance, Inter-Korean Relations and Peace Building》. World Scientific. ISBN 978-1-78634-193-8. 
  • Kŭktong Munje Yŏnʾguso (1973). 《North Korea's Policy Toward the United Nations》. Institute for East Asian Studies.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