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엔 사무총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엔 유엔 사무총장
6개 언어
  • 영어: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아랍어: أمين عام الأمم المتحدة
    중국어: 联合国秘书长
    프랑스어: Secrétaire général des Nations unies
    러시아어: Генера́льный секрета́рь ООН
    스페인어: Secretaría General de las Naciones Unidas
유엔의 상징
호칭각하
관저유엔 본부
지명자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임명자유엔 총회
임기5년 (관례상 1번 연임 가능)
부관유엔 사무부총장
초대글래드윈 젭 (직무대행)
트뤼그베 리 (초대)
설치일1945년 10월 24일
웹사이트un.org/sg

유엔 사무총장, 또는 국제 연합 사무총장(國際聯合事務總長, 영어: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약칭 UNSG 또는 SG)은 유엔의 주요 기관 가운데 하나인 유엔 사무국의 수장이다.

개요

[편집]

사무총장이 지닌 권한은 다음과 같다. 일단 총회가 정한 규칙에 따라 1만 6천여 명의 사무국 직원을 임명할 수 있다. 산하 기관까지 포함되면 총 4만 명에 대한 인사권을 손에 쥐고 있는 셈이다. 또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 내 모든 기관과 협의하며 권고할 수 있는 권한과 국제 분쟁 예방을 위한 조정과 중재 업무도 맡고 있다.

또 유엔 사무총장은 국제 사회에서 국가 원수 내지는 행정수반에 준하는 예우를 받게 된다. 이 같은 예우는 전 세계 모든 국가가 유엔을 하나의 국가와 같은 수준으로 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별도 보안 검색 없이 각국의 공항을 자유롭게 드나들며 외국을 방문할 수 있는 외교관 이상의 면책 특권이 부여된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유엔 사무총장의 공식 연봉은 22만 7천 54달러(약 2억 원)이다. 1997년 이래 한 번도 인상된 적이 없으나, 정해진 금액 이외에 개인 활동을 위한 판공비와 경호 비용 등 추가로 지급되는 돈이 많아 실제로는 이보다 더 높은 3억 원 가량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1945년 유엔의 출범 이후 지금까지 사무총장을 지낸 인물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현 사무총장을 포함해 모두 9명이다. 그 가운데 단임에 그친 사람은 이집트 출신의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가 유일하고, 그밖에 역대 6명의 총장이 총장직을 한 차례씩 연임한 바 있다. 유엔 헌장에는 사무총장의 임기가 명기되어 있지 않으며, 초대 사무총장의 임기를 5년으로 정하기로 한 1946년 1월 24일 총회 결의 이후 5년 임기제가 유지되어 오고 있다.

유엔 사무총장은 뉴욕 맨해튼 중심지에 위치한 유엔 본부 내 사무총장 집무실에서 1년에 단 1달러의 임대료를 내고 근무한다.

총장 선출

[편집]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5개 상임이사국(러시아·미국·영국·중국·프랑스)과 10개 비(非)상임이사국을 포함한 15개국 가운데 5개 상임이사국 모두를 포함해 9개국 이상의 지지를 받은 후보를 총���가 추인하는 절차를 거쳐 확정된다. 사무총장은 지역 순환 원칙이 암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역대 총장

[편집]
사진 이름 임기 출신 국가 UN 지역그룹 선출 당시 직위 임기 종료 사유 비고
글래드윈 젭
Gladwyn Jebb
1945년 10월 24일
1946년 2월 1일
영국의 기 영국 서유럽
그리고 기타
사무총장 직무대리 [1]
1 트뤼그베 리
Trygve Lie
1946년 2월 2일
1952년 11월 10일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북유럽
그리고 기타
외무장관 사직 [2]
2 다그 함마르셸드
Dag Hammarskjöld
1953년 4월 10일
1961년 9월 18일
스웨덴의 기 스웨덴 북유럽
그리고 기타
유럽경제공동체집행위부위원장 1961년 은돌라 UN DC-6 추락 사건으로 사망 [3]
3 우 딴
U Thant
1961년 11월 30일
1971년 12월 31일
미얀마의 기 버마 아시아-태평양 주유엔 대사 2번째 임기 종료 후 은퇴 [4]
4 쿠르트 발트하임
Kurt Waldheim
1972년 1월 1일
1981년 12월 31일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서유럽
그리고 기타
외무장관 중국이 3번째 임기 거부권 행사 [5]
5 하비에르 페레스 데 케야르
Javier Pérez de Cuéllar
1982년 1월 1일
1991년 12월 31일
페루의 기 페루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해
유엔 사무차장 3번째 임기 사절 [6]
6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
Boutros Boutros-Ghali
1992년 1월 1일
1996년 12월 31일
이집트의 기 이집트 아프리카 외무장관 미국이 2번째 임기 거부권 행사 [7]
7 코피 아난
Kofi Annan
1997년 1월 1일
2006년 12월 31일
가나의 기 가나 아프리카 PKO 사무차장 2번째 임기 종료 후 은퇴 [8]
8 반기문
Ban Ki-moon
2007년 1월 1일
2016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아시아-태평양 외교통상부 장관 2번째 임기 종료 후 은퇴 [9]
9 안토니우 구테흐스
António Manuel de Oliveira Guterres
2017년 1월 1일
2026년 12월 31일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서유럽
그리고 기타[주 1]
사무총장 출신국가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1. 유럽 지역 5번째 선출

참조주

[편집]
  1. Stout, David (1996년 10월 26일). “Lord Gladwyn Is Dead at 96; Briton Helped Found the UN”. NY Times. 2008년 10월 31일에 확인함. 
  2. The United Nations: Trygve Haldvan Lie (Norway). Accessed 13 December 2006.
  3. The United Nations: Dag Hammarskjöld (Sweden). Accessed 13 December 2006.
  4. United Nations: U Thant (Myanmar). Accessed 13 December 2006.
  5. The United Nations: Kurt Waldheim (Austria). Accessed 13 December 2006.
  6. The United Nations: Javier Pérez de Cuéllar (Peru). Accessed 13 December 2006.
  7. The United Nations: Boutros Boutros-Ghali (Egypt). Accessed 13 December 2006.
  8. The United Nations: The Biography of Kofi A. Annan. Accessed 13 December 2006.
  9. “Ban Ki-moon is sworn in as next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United Nations.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