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벨라트릭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벨라트릭스
Bellatrix
오리온자리를 나타낸 성도로, 벨라트릭스가 γ로 표시되어 있다.
오리온자리를 나타낸 성도로, 벨라트릭스가 γ로 표시되어 있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오리온자리 감마, 오리온자리 γ, γ Ori
플램스티드 명명법 오리온자리 24[1]
밝은 별 목록 HR 1790[1]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35468[1]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12740[1]
소천성표 BD +06°919[1]
히파르코스 목록 HIP 25336[1]
다른 이름 아마존 별[2], '여전사', 알 나지드[2], FK5 201[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오리온자리
적경(α) 05h 25m 07.86325s[3]
적위(δ) +06° 20′ 58.9318″[3]
겉보기등급(m) 1.64[4]
절대등급(M) −2.78[5]
위치천문학
적경 고유운동 –8.11 mas/yr[3]
적위 고유운동 –12.88 mas/yr[3]
연주시차 12.92 ± 0.52 mas[3]
성질
광도 ~6,400 L[6]
나이 1900만 년(±300만)[7]
분광형 B2Ⅴ
U-B 색지수 –0.86[4]
B-V 색지수 –0.21[4][8]
추가 사항
질량 8.4(+0.3,-0.1) M[7]
반지름 6 R[9]
표면온도 22,000 켈빈[10]
중원소 함량 (Fe/H) –0.25[11]
표면 중력 (log g) 3.60[10]
자전 속도 46 ± 8 km/s[10]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벨라트릭스(Bellatrix)는 오리온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다.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오리온자리 감마(Gamma Orionis)로 표기하며 이는 오리온자리 내에서 세 번째로 밝다는 뜻이다. 벨라트릭스의 겉보기 등급은 1.64로 밤하늘에서 스물 일곱 번째로 밝은 별이다.

관측 역사

[편집]

1963년까지 벨라트릭스는 다른 별의 광도 변화와 비교하기 위해 기준으로 삼은 별 중 하나였는데 이는 이 별의 밝기가 1.64에서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1988년 전천(全天)을 측광 분석한 결과 벨라트릭스의 겉보기 등급이 1.59에서 1.64까지 변하는 분출 변광성임이 밝혀졌다.[12]

특징

[편집]
좌로부터 벨라트릭스, 태양, 알골 B.

벨라트릭스의 질량은 태양의 8.4배이다. 나이는 약 2천만 년 정도로 추측되며[7] 우리 태양의 46억 년에 비하면 매우 짧으나 질량이 큰만큼 이미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모두 태우고 주계열성 단계를 벗어나 초거성 단계에 접어들었다.[6] 최외곽 대기의 유효 온도는 22,000 켈빈으로 우리 태양의 5778 켈빈에 비해 세 배 넘게 뜨겁다.[10] 이처럼 뜨겁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벨라트릭스가 청백색 빛을 뿜는 것으로 보인다.[13] 벨라트릭스의 각지름주연감광 효과를 고려했을 때 0.72 ± 0.04 밀리초각이다.[14] 이 별까지의 거리는 약 250광년인데[3] 거리를 이용하여 구한 별의 반지름은 대략 태양의 여섯 배이다.[9][6]

벨라트릭스는 오리온의 허리띠를 구성하는 세 별(알니타크, 알닐람, 민타카)처럼 한때는 오리온자리 OB1 성협의 구성원이었던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벨라트릭스가 앞의 세 별보다 지구에 훨씬 가까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뒤 앞의 가설은 신빙성을 잃었다.[6] 벨라트릭스는 동반 천체가 없는 홑별로 보인다.[15] 2011년 연구결과 벨라트릭스와 고유 운동을 공유하는 인접 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별 뒷배경의 항성 세 개가 동반천체일 가능성은 남아 있다.[7]

문화

[편집]

‘벨라트릭스’는 라틴어로 ‘여전사’라는 뜻이며 아부 마샤르 알-발키와 ‘세비야의 존’의 작품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이 이름은 원래 카펠라를 지칭했으나 15세기 비엔나 학교의 천문학자들이 오리온자리 감마로 지칭 대상을 바꿨으며 동시대 알폰소 성표에 수록되었다.[16] 벨라트릭스는 ‘아마존의 별’로도 불리는데 리차드 힌클리 엘런은 이 이름이 아랍어 ‘알 나지드’(정복자)에서 유래한 용어라고 주장했다.[2] 1275년 아랍권에서 제작된 천구의에 이 별은 المرزم 로 수록되어 있으며 그 뜻은 ‘사자’이다.[17] 벨라트릭스는 오리온자리의 네 항해별(천체 찾기에 이용되는 항성) 중 하나이기도 하다.[18]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이 별은 삼수오(参宿五)인데 이는 삼수 중 다섯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

17세기 알 악사시 알 무아킷의 성표에는 ‘멘키브 알 자우자 알 아이스르’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라틴어 Humerus Sinister Gigantis로 번역되었다.[19]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와다만 족은 벨라트릭스를 ‘반잔’으로 부르는데, 이는 ‘붉은 캥거루’ 리겔이 오리온자리가 하늘 제일 꼭대기에 있을 때 여는 의식에서 사용하는, 반짝거리는 색소라는 뜻이다. 오리온자리의 나머지 별들은 리겔의 의식 집행에 쓰는 도구거나 혹은 그를 돕는 수행원이라고 한다. 여기서 베텔게우스는 ‘야-준긴’으로 의식을 지켜보는 ‘깜박거리는 부엉이의 두 눈’이다.[20]

이누이트 족은 2월 말 ~ 3월 초 벨라트릭스와 베텔게우스가 해가 진 후 남쪽 하늘 높이 나타날 때를 봄이 시작되고 해가 길어지는 때로 인식해 왔다.

캐나다 배핀 섬과 멜빌 반도 원주민들은 두 별을 ‘아쿠뚜주크’(멀리 떨어져 위치한 두 별)로 불러왔다.[2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ELLATRIX -- Variable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 Allen, Richard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City, NY: Dover Publications Inc. 237쪽. ISBN 0-486-21079-0. 
  3. van Leeuwen, F. (2007년 11월).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4. Crawford, D. L.; Barnes, J. V.; Golson, J. C. (1971년 12월), “Four-color, Hbeta, and UBV photometry for bright B-type stars in the northern hemisphere”, 《Astronomical Journal》 76: 1058–1071, Bibcode:1971AJ.....76.1058C, doi:10.1086/111220 
  5. Lamers, H. J. G. L. M.; Harzevoort, J. M. A. G.; Schrijver, H.; Hoogerwerf, R.; Kudritzki, R. P. (1997). “The effect of rotation on the absolute visual magnitudes of OB stars measured with Hipparco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5: L25. Bibcode:1997A&A...325L..25L. 
  6. Kaler, James B., “BELLATRIX (Gamma Orion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7. Janson, Markus; 외. (2011년 8월), “High-contrast Imaging Search for Planets and Brown Dwarfs around the Most Massive Stars in the Solar Neighborhood”, 《The Astrophysical Journal》 736 (2): 89, arXiv:1105.2577, Bibcode:2011ApJ...736...89J, doi:10.1088/0004-637X/736/2/89 
  8. Wilson, R. E.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Carnegie Institute of Washington, D.C., Bibcode:1953GCRV..C......0W 
  9. Lang, Kenneth R. (2006), 《Astrophysical formul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1 3판, Birkhäuser, ISBN 3-540-29692-1 . 항성의 반지름(R*)은 다음과 같다.
  10. Lefever, K.; 외. (2010년 6월),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66 B-type stars in the field-of-view of the CoRoT satellite”, 《Astronomy and Astrophysics》 515: A74, arXiv:0910.2851, Bibcode:2010A&A...515A..74L, doi:10.1051/0004-6361/200911956 
  11. Massarotti, Alessandro; 외. (2008년 1월), “Rotational and Radial Velocities for a Sample of 761 HIPPARCOS Giants and the Role of Binarity”,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1): 209–231, Bibcode:2008AJ....135..209M, doi:10.1088/0004-6256/135/1/209 
  12. Krisciunas, K. (1994년 5월), “Further Photometry of alpha Ori and gamma Ori”, 《Information Bulletin on Variable Stars》 4028: 1, Bibcode:1994IBVS.4028....1K 
  13.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12-21, 2004,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14. Richichi, A.; Percheron, I.; Khristoforova, M. (2005년 2월), “CHARM2: An updated Catalog of High Angular Resolution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1: 773–777, Bibcode:2005A&A...431..773R, doi:10.1051/0004-6361:20042039 
  15. Eggleton, P. P.; Tokovinin, A. A. (2008년 9월),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16. Kunitzsch, Paul (1986). “The Star Catalogue Commonly Appended to the Alfonsine Tables”.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17 (49): 89–98. Bibcode:1986JHA....17...89K. 
  17. Dorn, B. (1829). “Description of the Celestial Globe Belonging to Major-General Sir John Malcolm, G.C.B., K.L.S., &c. &c., Deposited in the Museum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 (1): 371–392. doi:10.1017/S0950473700000513. 
  18. Bennett, George G. (2011), 《Complete On-Board Celestial Navigation 2011-2015》, DoctorZed Publishing, 172쪽, ISBN 0-9870924-0-5 
  19. Knobel, E. B. (1895년 6월).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429. Bibcode:1895MNRAS..55..429K. 
  20. Harney, Bill Yidumduma; Cairns, Hugh C. (2004) [2003]. 《Dark Sparklers》 Revis판. Merimbula, New South Wales: Hugh C. Cairns. 139–40쪽. ISBN 0-9750908-0-1. 
  21. MacDonald, John (1998). 《The Arctic sky: Inuit astronomy, star lore, and legend》. Toronto, Ontario/Iqaluit, NWT: Royal Ontario Museum/Nunavut Research Institute. 52–54, 119쪽. ISBN 9780888544278. 

좌표: 하늘 지도 05h 25m 07.9s, +06° 20′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