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크씨슬
밀크씨�� | |
---|---|
밀크씨슬의 꽃봉우리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
|
밀크씨슬(milk thistle), 또는 흰무늬엉겅퀴(학명: Silybum marianum)은 엉겅퀴류의 한 종이다. 국화과에 속하며, 한해살이 식물 또는 두해살이 식물로 분류된다. 전형적인 엉겅퀴의 특징인 붉은색에서 보라색 계열의 꽃과, 하얀 잎맥이 있는 반짝이는 옅은 녹색 잎이 있다. 남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이나 현재 전 세계에서 발견된다.
묘사
[편집]밀크씨슬은 직립형 초본으로 키가 30 ~ 200cm까지 자랄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뿔 모양을 하고 있다.[1] 뿌리가 퍼져나가는 영역은 최대 160cm이다. 줄기는 홈이 파여 있고 가벼운 솜털로 덮여 있곤 하다.[2] 현재까지 수집된 가장 큰 표본은 줄기의 속이 비어있었다.
잎은 길게 늘린 직사각형 형태로, 15에서 60cm 길이의 우상 잎인데 다른 엉겅퀴들과 마찬가지로 테두리에 가시가 돋아있다.[1] 솜털은 없으며, 우윳빛 잎맥이 있는 반짝이는 녹색 잎이다.[1]
꽃차례는 길이가 4~12cm이고 폭이 넓으며, 빨강-보라색이다. 꽃차례는 북반구에서는 6~8월에, 남반구에서는 12~2월에 핀다.[2] 꽃차례는 털이 없는 포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삼각형의 가시가 나 있다.
열매는 긴 흰색 깃털이 달린 검은색 수과로, 노란 고리모양의 띠가 바닥에 그려져있는 것이 특징이다.[3][1] 깃털은 민들레와 마찬가지로 낙하산의 역할을 하여 바람에 날려 멀리 흩뿌려질 수 있게끔 한다.[4]
분포
[편집]지중해 전역에 분포하며 유럽, 중앙아시아, 인도에서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에티오피아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5] 북아메리카, 태평양 군도, 콜롬비아 등에서도 외래종으로서 유입되었다.[2][6][7]
볕이 들고 따뜻한 초원에서 자라는데, 잡석들 사이에서도 자랄 수 있다. 건물의 외벽이나 연석 사이, 보도블럭 사이 등에서도 자주 관찰되나 건조하고 돌이 많은 환경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8][9] 화마가 훑고 지나간 지역에서도 관찰되는데 생태계 복원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0][11][12]
화학
[편집]시중에서 유통되는 밀크씨슬 추출물은 씨앗에서 추출한 것이다. 씨앗은 65~80%의 실리마린, 20~35%의 지방산(리놀레산 등)으로 구성되어있다.[13] 실리마린은 폴리페놀계 화합물로, 일곱 종류의 플라보노리그난과 한 종류의 플라보노이드를 가지고 있다.[13] 특히 이들 중 실리비닌은 간장약으로 사용된다.[13][14]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편집.). 〈Silybum marianum〉.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FNA)》. New York and Oxford – eFloras.org, 미주리 식물원,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경유.
- ↑ 가 나 다 《Flora of Australia Volume 37 : Asteraceae.》. Melbourne: CSIRO Publishing. 2015. ISBN 9781486304158.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 ↑ Rose, Francis (1981). 《The Wild Flower Key》. Frederick Warne. 388–9쪽. ISBN 978-0-7232-2419-8.
- ↑ “Milk Thistle”. 《www.fviss.ca》. Fraser Valley Invasive Species Society. 2021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Silybum marianum (L.) Gaertn..”.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Bernal; Gradstein; Celis (2019). 《Catálogo de plantas y líquenes de Colombia》. Bogotá: Instituto de Ciencias Naturales, Universidad Nacional de Colombia. 2016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Silybum marianum”. 《plantpono》.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 ↑ “Silybum marianum // Mariendistel”. 《galasearch.de》.
- ↑ Oberdorfer, Erich (c. 2001). 《Pflanzensoziologische Exkursionsflora für Deutschland und angrenzende Gebiete》 8.,ark überarb. u erg. Aufl판. Stuttgart. 967쪽. ISBN 3-8001-3131-5. OCLC 50980051.
- ↑ Lambert, Adam; D'antonio, Carla; Dudley, Tom (2010). “Invasive species and fire in California ecosystems”. 《Fremontia》 38 (2): 29–36. CiteSeerX 10.1.1.468.2022.
- ↑ Knapp, John (2010). “CATALINA ISLAND'S INVASIVE PLANT MANAGEMENT PROGRAM, WITH AN EMPHASIS ON INVASION AND PROTECTION OF OAK ECOSYSTEMS” (PDF). 《Catalina Island Conservancy》. Proceedings of an on-island workshop, February 2–4, 2007: 35–46. 2022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 ↑ Bean, Caitiln. “ELEMENT STEWARDSHIP ABSTRACT for Silybum marianum” (PDF). The Nature Conservancy.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Kroll, D. J.; Shaw, H. S.; Oberlies, N. H. (2007). “Milk Thistle Nomenclature: Why It Matters in Cancer Research and Pharmacokinetic Studies”. 《Integrative Cancer Therapies》 6 (2): 110–9. doi:10.1177/1534735407301825. PMID 17548790.
- ↑ Hogan, Fawn S.; Krishnegowda, Naveen K.; Mikhailova, Margarita; Kahlenberg, Morton S. (2007). “Flavonoid, Silibinin, Inhibits Proliferation and Promotes Cell-Cycle Arrest of Human Colon Cancer”.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143 (1): 58–65. doi:10.1016/j.jss.2007.03.080. PMID 17950073.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밀크씨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UC Davis profile for blessed thistle
- “밀크씨슬”. 《Plants for a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