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니브흐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니브흐어
нивхгу
사용 지역 사할린섬, 아무르강, 홋카이도
언어 인구 200 명 (2010)
문자 키릴 문자
언어 계통 고립된 언어. 편의상 고시베리아어족에 분류함.
언어 부호
ISO 639-2 mis
ISO 639-3 niv 니브흐어

니브흐어(нивхгу) 또는 길랴크어(Gilyak)는 아무르강 유역과 사할린섬 북부에 분포한 니브흐족들이 쓰는 언어이다. 다른 어떠한 언어와도 계통이 확인되지 않은 고립된 언어이다. 현재 약 4,000명의 니브흐족 중 200명 정도만이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

계통 분류

[편집]

니브흐어는 어떤 언어와도 친족관계가 입증되지 않은 고립된 언어이며, 지리적으로는 고시베리아제어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니브흐어의 어휘 중에는 고시베리아 언어들, 퉁구스어족 언어들, 아이누어, 한국어과 유사성을 띈다고 지적된 것이 많다.

한편 일부 연구자들은 다른 실제 언어들과의 친연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마이클 포르테스큐는 북아메리카의 모산(Mosan) 제어와의 연관성을 제시했다.[1] 한편 포르테스큐는 2011년에는 니브흐어가 축치캄차카어족과 친족관계가 있으며 축치-캄차카-아무르어족을 이룬다고 주장했다.[2] 조셉 그린버그는 자신이 제안한 유라시아 제어 가설에 니브흐어를 포함시켰다.[3]

유하 얀후넨 등 몇몇 연구자들은 한국어와 니브흐어의 음운의 연관성을 지적한 바 있으며, 김방한 등은 한국어 기초 어휘 중 길랴크어적 요소에 주목한 바 있다.[4]

방언

[편집]

니브흐어에는 아무르 방언, 북사할린 방언, 남사할린 방언, 동사할린 방언 등 네 개의 방언이 있다. 사할린 섬의 니브흐족이 쓰는 방언과 아무르 강변의 니브흐족이 쓰는 방언은 어휘, 음운상의 차이점이 커서, 이들 방언을 개별 언어로 보고 "니브흐어족"이나 "아무르어족" 등의 용어를 쓰는 경우도 있다.

문법

[편집]

교착어 또는 포합어적인 특성을 가지며, 격 체계가 발달했으나 성이나 수의 일치는 없다. 주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형이다. 단어의 포합이 많으며 대상에 따라 수사가 변화한다. 한편 현대에는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포합이 극히 드물어지고 복수형을 표시하는 등의 변화를 보인다.

문자

[편집]
А а Б б В в Г г Ӷ ӷ Ғ ғ Ӻ ӻ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И и Й й К к К’ к’
Ӄ ӄ Ӄ’ ӄ’ Л л М м Н н Ӈ ӈ О о П п
П’ п’ Р р Р̌ р̌ С с Т т Т’ т’ У у Ў ў
Ф ф Х х Ӽ ӽ Ӿ ӿ Ц ц Ч ч Ш ш Щ щ
ъ Ы ы ь Э э Ю ю Я я

니브흐어는 키릴 문자를 쓴다.

음운론

[편집]

자음

[편집]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m n ɲ ŋ
파열음 무성음 p t c k q
유기음
마찰음 무성음 f s x χ h
유성음 v z ɣ ʁ
접근음 중설음 j w
설측음 l
탄음 무성음
유성음 r

순 마찰음은 약하게 조음되며, 양순음 [ɸ, β]과 순치음 [f, v]. 경구개 파열음은 다소간 마찰을 일으켜 [tʃʰ, tʃ]처럼 조음될 수 있다.[5] 니브흐어에는 단어 조합에 따라 형태소 맨 앞에 오는 파열음이 탄음이나 마찰음으로 바뀌는 자음 약화 현상이 있다.[5]

모음

[편집]
전설 모음 후설 모음
비원순 원순
고모음 ɪ u
중모음 ɪe ɤ o
저모음 æ

강세

[편집]

어느 음절에나 강세가 올 수 있지만 주로 첫 번째 음절에 둔다. 지역적 차이가 있으며 강세 차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최소 대립쌍은 극히 드물다.[6]

각주

[편집]
  1. Fortescue, M. (1998). Language relations across Bering Strait: reappraising the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evidence.
  2. Fortescue, Michael (2011). "The relationship of Nivkh to Chukotko-Kamchatkan revisited." Lingua, Volume 121, Issue 8, June 2011, 1359–1376. http://dx.doi.org/10.1016/j.lingua.2011.03.001
  3. Mattissen, Johanna (2001) Facts about the World's Languages, Nivkh. New England Publishing. ISBN 0-8242-0970-2p. 515.
  4. "우리 말엔 「길랴크어」의 일부가 삽입돼 있다”. 《중앙일보》. 1976년 5월 25일. 2023년 6월 4일에 확인함. 
  5. Hidetoshi Shiraishi (2000). “Nivkh consonant alternation does not involve hardening” (PDF). 《Journal of Chiba University Eurasian Society》 (3): 89–119. 2023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26일에 확인함. 
  6. Johanna Mattissen, Dependent-Head Synthesis in Nivkh: A Contribution to a Typology of Polysynthesis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3; ISBN 9027229651), pp. 8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