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역상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주역 상 : 第1卦~第30卦
주역 하 : 第31卦~第64卦

第一卦 乾

[편집]
天天 乾

乾 元亨利貞。

彖曰:大哉乾元,萬物資始,乃綂天。雲行雨施,品物流形,大明終始,六位時成,時乘六龍以御天。乾道變化,各正性命,保合太和乃利貞。首出庶物,萬國咸寧。
象曰:天行健,君子以自强不息。
初九: 潛龍勿用。
象曰:陽在下也。
九二: 見龍在田,利見大人。
象曰:德施普也。
九三: 君子終日乾乾,夕惕若,厲无咎。
象曰:反復道也。
九四: 或躍在淵,无咎。
象曰:進无咎也。
九五: 飛龍在天,利見大人。
象曰:大人造也。
上九: 亢龍有悔。
象曰:盈不可久也。

用九,見羣龍无首,吉。

象曰:用九,天德不可為首也。

건(乾) 원형이정(元亨利貞)
하늘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덕. 세상의 모든 것이 생겨나서 자라고 이루어지고 거두어짐을 뜻한다. 또는 사물의 근본이 되는 원리.[1]
단왈, 크도다 건원이여 만물의 본질로 시작한다. 이내 하늘을 통솔한다. 구름이 움직여 비를 내리고 기능이 형태를 결정한다. 끝나고 시작하는바를 크게 밝히고 육위가 때를 기다려 이룬다. 때에 타고 6룡이 하늘에서 논다. 건의 길은 변화이며 각각 성명을 바르게한다. 보전하고 합하여 크게 화합하니 이롭고 곧다. 머리가 여러 물질을 내고 만국이 다 안녕한다.
상왈,하늘이 강전히 운행한다. 군자가 스스로 강인하기를 멈추지않는다.
初九: 잠용물용(潛龍勿用)
용이 세상에 드러나지 않음은 쓰이지 않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상왈,양이 아래에 있는바이다.
九二: 견룡재전(見龍在田) , 이현대인(利見大人)
전(田)에 용이 드러난다. 대인을 뵈오니 이롭다.
상왈,덕이 광대하게 베풀어진다.
九三: 군자종일건건 석척약려 무구(君子終日乾乾,夕惕若厲,无咎)
군자는 종일 힘쓴다, 힘씀에 끝마무리까지 염려한다. 허물이 없다.
상왈,도는 계속해서 반복된다.
九四: 혹약재연 무구(或躍在淵,无咎)
혹 도약하더라도 연(淵)못이니 허물이 없다.
상왈,나아감에 허물이 없다.
九五: 비룡재천(飛龍在天) 이견대인(利見大人)
뜻하는바를 펼친다. 대인을 만나니 이롭다.
상왈,대인이 만드는바이다.
上九: 항룡유회(亢龍有悔)
항룡은 하늘과 더불어야하는 자신의 처지를 살피니 자신의 부족함을 뉘우친다.
상왈, 가득찬것은 오래갈수없다.
용구(用九) 현군룡무수(見羣龍無首) 길(吉)
양효(陽爻) 구(九)를 씀에,용의 무리를 만나 서로가 도우니,길하다.
상왈, 양을 쓰는것은 하늘의 덕이 일머리가 될수없는바이다.

文言曰:元者,善之長也。亨者,嘉之會也。利者,義之和也。貞者,事之幹也。君子體仁,足以長人。嘉會,足以合禮。利物,足以和。義貞,固足以幹事。君子行此四德者,故曰:乾,元、亨、利、貞。

문언왈, 원이라고하는것은 선한것의 우두머리다. 형이라고하는것은 아름다운바의 회통(會通)이다. 이로움이라고하는것은 옳은것들의 화합이다. 곧음이라고하는것은 일의 기틀인것이다.[2] 군자는 인으로 몸을 삼아 인류를 보전함으로써 족하다. 아름다움을 이해하니 예에 합치하면 족하다. 사물을 이롭게하니 화합함에 족하다. 의가 바르면 일의 기틀이 곤고해짐으로 족하다. 군자의 행동거지는 이 4가지 덕이니 고로 왈, 건은 '원형이정(元亨利貞)이다'라고 한다.[3]

初九,曰:潛龍勿用,何謂也?子曰:龍德而隱者也,不易乎世,不成乎名,遯世无悶。不見是而无悶。樂則行之。憂則違之。确乎其不可拔,潛龍也。

초구 왈, '잠룡물용'[4]은 소위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가? 공자왈, 용의 덕[5]은 은밀한것으로 세상에 의해 바뀌지않는다. 명예를 구하지않는다. 세상이 알아주지 못해도 (용의 덕은 군자에게 속한것도 아니며 이미 있었고 앞으로도 있는바로 세상에 쌓여있음으로 이로말미암아) 답답해 하지 않는다. 그것이 행하여지는바로 즐거워하고 그것이 어긋나는바로 괴로워한다. 그것이 발할수없는지경에서 메마른바로 잠룡이라고하는것이다.

九二,曰:見龍在田,利見大人。何謂也?子曰:龍德而正中者也。庸言之信,庸行之謹,閑邪存其誠,善世而不伐,德博而化。易曰:見龍在田,利見大人。君德也。

구이 왈, '견룡재전 이현대인'은 무엇을 말함인가? 공자왈, 용의 덕은 (객관성에서) 중립적으로 바른바이다. (이로써)믿는바가 언문에서 떳떳하며, 행동에서 자성함으로 떳떳하려한다. 사행(邪行)을 보위하여 그 성실함을 보존하고 세상을 선하게 함으로 벌하지않는다. 덕이 두루 널리 미치니 (세상이) 감화한다. 역왈, '(비루한)세상에서 용을 보니 훌륭한 인물을 만난바라 옳은것들의 회합이다' 라고하는것이다.

九三,曰:君子終日乾乾,夕惕若,厲无咎。何謂也?子曰:君子進德、脩業、忠信。所以進德也,脩辭立其誠;所以居業也,知至至之,可與幾也、知終終之,可與存義也。是故,居上位而不驕,在下位而不憂,故乾乾。因其,時而惕,雖危无咎矣。

'군자종일건건 석척약려무구'는 무엇을 말함인가? 공자왈, 군자는 덕으로 나아가니 그 업으로 이를 수련하고 믿는바에 충실한다. 덕으로 나아가는바는 그 언행을 세우기를 성실히하는것이다. 그 업에 거하는바는 그것의 지극한바에 이르는바를 아는것이다. 기미와 더불어 함께할수있고 그 끝이 끝나는바를 알아 의(義)에 의존할수있는것이다. 이런까닭에 위에 거해도 거만할수없고 아래에 처해도 고생이라 여길수없는것이다. 고로 건건(乾乾)하다한다. (따라서) 그것으로 인해 때가 두려워 비록 위태로우나 근심이 없는것이다.

九四,曰:或躍在淵,无咎。何謂也?子曰:上下无常非為邪也,進退无恒非離羣也。君子進德、脩業、欲及時也,故无咎。

구사 왈, '혹약재연 무구'는 무엇을 말함인가? 공자왈, 위와아래가 항상인것이 아닌것은 간사한바가 아니다. 진퇴가 항상인것이 아닌것은 무리가 흩어지는바가 아닌것이다. (이런까닭에) 군자는 덕으로 나아가고 그 업을 쌓으며 때에 이르기를 바라고 이것은 허물이 아니다.

九五,曰:飛龍在天,利見大人。何謂也?子曰:同聲相應、同氣相求、水流濕、火就燥、雲從龍、風從虎,聖人作而萬物覩。本乎天者,親上;本乎地者,親下。則各從其類也。

구오 왈, '비룡재천 이현대인'은 무엇을 말함인가? 공자왈, 같은 소리에 서로 응하고 같은 기운에 서로 구하는것은 물이 습함으로 번져 퍼지고 불이 건조함을 얻는바이며 구름이 용을 쫓고 바람이 호랑이를 따르는바이다. 성인[6]이 만물을 살펴 이른바이다. 하늘의 근본은 위에서 사랑하고 땅의 근본은 아래에서 사랑한다는것은 각각 그 동류를 따르는바이다.

上九,曰:亢龍有悔。何謂也?子曰:貴而无位;高而无民。賢人在下位而无輔,是以動而有悔也。

상구 왈, '항룡유회'는 무엇을 말함인가? 공자왈, (너무)귀하여 (처할)자리가 없고 (너무)높아서 (가까이)백성이 없다. 현인이 아래에 처하여 이를 돕고자 하나 도울수없다. 이것이 움직이나 뉘우침이 있겠다하는것이다. [7]

潛龍勿用,下也。見龍在田,時舍也。終日乾乾,行事也。或躍在淵,自試也。飛龍在天,上治也。亢龍有悔,窮之災也。乾元用九,天下治也。

잠용물용은 아래에 처함이다. 견룡재전은 때가 베풀어진바이다. 종일건건은 일이 행하여짐이다. 혹약재연은 스스로 시험함이다. 비룡재천은 위가 다스림이다. 항용유회는 궁극의 어려움이다. 건은 순수하고 왕성한 양의 기운으로 천하를 다스림이다.

潛龍勿用,陽氣潛藏。見龍在田,天下文明。終日乾乾,與時偕行。或躍在淵,乾道乃革。飛龍在天,乃位乎天德。亢龍有悔,與時偕極。乾元用九乃見天則。

잠용물용은 양기가 감춰진것이다. 견룡재전은 천하가 이치로 드러나는것이다. 종일건건은 때와 함께 두루 행하는것이다. 혹약재연은 건의 도가 새로워지는것이다. 비룡재천은 하늘의 덕이 이것에서 자리가 정해지는것이다. 항룡유회는 때와 함께 두루 궁극에 미치는것이다. 건은 순수하고 왕성한 양의 기운으로 하늘의 법칙을 보여준다.

乾元者始而亨者也,利貞者性情也。乾始能以美利利天下,不言所利大矣哉。

건원(乾元)은 시작이며 (다른것들로) 형통하는것이다. 이정(利貞)은 타고난 성품과 기질인것이다. 건의 시작은 천하의 이로움을 이롭게 함으로써 아름다우며, (이로써) 그 이로운바의 큼을 말하지 않는것이다.

大哉乾乎,剛健中正,純粹精也。六爻發揮,旁通情也,時乘六龍,以御天也。雲行雨施,天下平也。君子以成德為行,日可見之行也。

크도다 건이여, 강건한 가운데 바르도다 순수하여 순정한것이다. 육효가 발휘되는것은 때가 여섯 용을 일으켜 타는바이며 하늘이 제어하는바이다. 구름을 부르고 비를 뿌리니 천하가 (순리에 맞아)평화롭다. 군자는 덕을 이룸으로써 행동하고 나날이 그 덕행(의 커짐)을 보인다.

潛之為言也。隱而未見,行而未成,是以君子弗用也。

'잠(潛)'이 의미하는것은 은밀함이며 보이지 않음이다. 행하나 형성되지 않음이다. 이것이 군자가 쓰지 않는바이다.

九三,重剛而不中,上不在天,下不在田,故乾乾。因其時而惕,雖危无咎矣。

구삼은 거듭되는 강함이니 균형이 없다. 위가 하늘에 있지않다. 아래가 밭(세상)에 있지 않다. 고로 건건하다. 그 시기가 근심스러우나 비록 위태하여도 허물은 없는것이다.

九四,重剛而不中。上不在天,下不在田,中不在人,故或之。或之者,疑之也,故无咎。

구사는 거듭되는 강함이니 중심이 없다. 위가 하늘에 있지않다. 아래가 밭(세상)에 있지 않다. 중심에 사람이 있지 않다. 고로 그것을 의혹한다. 의혹(의심)한다는것은 그것을 (있을수있는 어떤경우에서나)혹시나하는것이다.(그럴일은없지만 만일에 대비하는것이다) 고로 허물은 없다.

夫大人者,與天地合,其德與日月合,其明與四時合,其序與鬼神合。其吉凶先天而天,弗違後天,而奉天時,天且弗違而況於人乎?況於鬼神乎?

무릇 대인이라고하는것은 천지와더불어 합치한것이다. 그 덕이 일월과 더불어 합치한것이다. 그 밝음이 사시에 합치한것이다. 그 길흉이 과거현재미래가 어긋나지않는다. 천시가 받들어주는바이다. 장차 하늘이 어긋내지않는데 하물며 사람에게서이겠는가? 하물며 귀신에게서이겠는가?

亢之為言也,知進而不知退,知存而不知亡,知得而不知喪。

'항(亢)'은 나아가는것은 알지만 물러나는것은 알지못함이다. 생존하는것은 알지만 사망하는것은 알지못함이다. 얻는바는 알지만 잃는바를 알지못함이다.

其惟聖人乎?知進退存亡,而不失其正者。其惟聖人乎?

성인말고 또 누가있겠는가? 진퇴존망을 알고 그 바름을 잃지않을자 성인말고 또 누가있겠는가?

第二卦 坤

[편집]
地地 坤

坤下坤上

坤,元亨。利牝馬之貞。君子有攸往,先迷後得,主利。西南得朋,東北喪朋。安貞,吉。
彖曰:至哉坤元,萬物資生,乃順承天。坤厚載物,德合无疆;含弘光大,品物咸亨。牝馬地類,行地无疆。柔順利貞,君子攸行。先迷失道,後順得常。西南得朋,乃與類行,東北喪朋,乃終有慶。安貞之吉,應地无疆。
象曰:地勢坤,君子以厚德載物。

初六,履霜,堅冰至。

象曰:履霜堅冰,陰始凝也。馴致其道,至堅冰也。

六二,直方大,不習无不利。

象曰:六二之動,直以方也。不習无不利,地道光也。

六三,含章,可貞。或從王事,无成有終。

象曰:含章可貞,以時發也。或從王事,知光大也。

六四,括囊,无咎无譽。

象曰:括囊无咎,慎不害也。

六五,黃裳,元吉。

象曰:黃裳元吉,文在中也。

上六,龍戰于野,其血玄黃。

象曰:龍戰于野,其道窮也。

用六,利永貞。

象曰:用六永貞,以大終也。

곤(坤)은 원형(元亨), 이빈마지정(利牝馬之貞) 군자유유왕(君子有攸往) 선미후득주리(先迷後得主利) 서남득붕(西南得朋) 동북상붕(東北喪朋) 안정길(安貞吉)

곤은 원형이다. 암말이 바르니 이롭다. 군자가 가는 바가 있어 처음은 어렴풋하나 나중은 주된 바를 얻으니 이롭다. 서쪽(방향)과 남쪽(방향)은 친구를 얻는다. 동쪽(방향)과 북쪽(방향)은 친구를 잃는다. 평안하니 바르어지고 바르어지니 길하다.
단왈, 곤은 근원에서 비롯하여 이른것이니 만물이 성기고 생기는것을 돕는다. 이내 하늘을 따라 순응하고 곤이 너그러움을 만물에 실는다. 덕에 합치하니 경계의 끝이없고 드넓고 광대한 빛을 머금으니 사물의 성정이 형통한바로 감응한다 말을 내어 기르니 땅이 베푸는바요 땅의 행함은 무궁한다. 유순함은 곧으니 이롭고 군자는 행함에 이를 본받아 여유로이 행하니 유연하게 생각하는바이다. 시작은 미약하고 어리숙하나 끝은 순응함으로 마땅한바를 얻는다. 서남은 친구를 얻고 이내 동류와 함께 행하고 동북은 친구를 잃으나 끝내 마침으로 경사로운바가 있다. 곧음이 평안하니 길하다는것은 땅이 순응하는바가 무강하다[8]는것이다.
상왈, 땅의 형세가 곤이다. 군자는 덕을 두텁게 함으로써 사물을 시행한다.[9]
初六: 리상(履霜),견빙지(堅冰至)
서리를 밟으나 얼음이 딱딱히 굳었다.
상왈, 서리를 밟으니 얼음이 굳었다는것은 음기가 한데 뭉치기 시작했다는것이다. 그도에 미치고 길들이면 얼어서 견고함에 이를는것이다.
六二: 직방대(直方大),불습무불리(不習無不利)
곧고 떳떳한 바가 크니,배움이 없어도 불리하지 않다.
상왈, 육이의 움직임은 두루 곧바르다. 능하지 않아도 불리하지않다. 땅의 도는 빛인것이다.
六三: 함장가정(含章可貞)[10][11] 혹종왕사(或從王事),무성유종(無成有終)
절제하는 바로 바를 수 있다. 왕사를 쫓으나 이룸은 없고 끝은 있다.
상왈, 구별을 참고견디니 때를 기다려 발하면 곧을수있다. 혹여 큰일을 쫓으나 빛을 알면 훌륭한것이다.
六四: 괄낭(括囊)[12],무구무예(无咎无譽)[13]
주머니를 동여메니 허물도 없고 명예도 없다.
상왈,주머니를 동여메니 허물도 없고 명예도 없다. 삼가함으로 손해는 없다.
六五: 황상(黃裳),원길(元吉)
노랑색 치마는 길함의 근원이다.[14]
상왈, 노랑색 치마는 길함의 근원이니 아름다움이 그안에 있는바이다.
上六: 용전어야(龍戰于野)[15],기혈현황(其血玄黃)[16][17]
용은 하늘에 거하고 그 다툼으로 피는 땅이 받는다.[18]
상왈, 용이 들판에서 싸우니 그 도가 궁한것이다.

용육(用六) ,이영정(利永貞)

음효(陰爻) 육(六)을 씀에 이로움은 꾸준히 절제하기 때문이다.
상왈, 육효를 사용함이 영원히 곧다는것은 성대함으로 끝을 내기때문이다.

文言曰:

坤至柔而動也剛,至靜而德方。後得主而有常,含萬物而化光。坤道其順乎!承天而時行。
積善之家,必有餘慶;積不善之家,必有餘殃。臣弒其君,子弒其父,非一朝一夕之故,其所由來者漸矣。由辯之不早辯也。易曰:「履霜,堅冰至。」蓋言順也。
直其正也,方其義也。君子敬以直內,義以方外,敬義立而德不孤。「直方大,不習无不利。」則不疑其所行也。
陰雖有美,含之。以從王事,弗敢成也。地道也,妻道也,臣道也。地道无成,而代有終也。
天地變化,草木蕃;天地閉,賢人隱。易曰:「括囊,无咎,无譽。」蓋言謹也。
君子黃中通理,正位居體,美在其中,而暢於四支,發於事業,美之至也。
陰疑於陽必戰,為其嫌於无陽也,故稱龍焉。猶未離其類也,故稱血焉。夫玄黃者,天地之雜也。天玄而地黃。

문언 왈,

곤은 지극히 유하니 움직임에 강한바이다. 곤은 지극히 안정되니 덕이 사방이 이른다. 후에는 그 주요한바가 되니 항상 (떳떳한 바가) 있는것이다. 만물을 함양하여 빛나는바가 있다. 곤의 도는 그것이 순리에 순응하는것이기때문이다. 하늘에 응하여 때에 맞는다.
선을 쌓는 집안에는 반드시 경사의 여유가있는바인것이다. 선행을 행하지못하여 선이 쌓이지않으면 반드시 넘치는 재앙이 있는것이다. [19] 신하가 윗사람을 시해하고 자식이 부모를 시해하는것이 어찌 하루아침의 연고이겠는가? 그 유래하는바가 점철되어 온것이 아니겠는가? 그 사연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것이다. 역왈, '서리를 밟으나 (이미) 그 굳음이 얼움처럼 단단함에 이르렀다'는것은 아마도 이를 (비유로써) 순화하여 말한것일것이다.
곧다는것은 그 바른바이다. 그 바르다는 것은 그 옳은바이다. 군자는 곧은바로 그 안을 공경하고 바른바로 그 밖을 순응한다. 의를 공경하고 이를 세우면 덕이 외롭지않다. '(옳고)바르니 곧고 (옳고)바르니 크다 배움이 없어도 이롭지 않음이없다.'는 것은 그 행하는바를 의심하지않게되는것이다.
음이 비록 아름다움이 있으나 이것을 머금고있을 뿐이다. 왕사를 쫓음으로써 감히 이루지 않는다. 지도는 처도일뿐이며 신도일뿐이다. 지도는 이루지 않으며 끝을 있게하는것을 위해 잇는다.
천지가 조화하면 초목이 우거지고 번성하며, 천지가 폐해지면 현인이 숨는다. 역왈, '주머니를 동여매니 허물도 없고 명예도 없다.'는것은 대개 이것을 삼가 일컬은것이다.
군자는 (환골탈태의)괴로움속에서 이치에 통하는것이다. 바름이 위치를 잡으니 몸체에 거하고 아름다움이 그중에 있게된다. 사지에 통하여 (사업의) 행동거지에까지 발하니 아름다움이 지극해지는것이다.[20]
음은 양에서 안정한다. 양이 없음에서 그 싫어하는바를 위해 반드시 (양을) 쟁취하려한다. 고로 용이라 칭하는것이다. 아직 그 동류를 떠나지 않은것과 같다. 고로 (동류의) 혈이라 칭하는것이다. 무릇 현황은 천지의 뒤섞임이다. 하늘은 검고 땅은 누렇다.

第三卦 屯

[편집]
水雷 屯

震下坎上

屯,元亨,利貞。勿用有攸往,利建侯。

彖曰:屯,剛柔始交而難生,動乎險中,大亨貞。雷雨之動滿盈,天造草昧,宜建侯而不寧。
象曰:雲雷,屯;君子以經綸。

初九,磐桓,利居貞,利建侯。

象曰:雖磐桓,志行正也。以貴下賤,大得民也。

六二,屯如邅如,乘馬班如,匪寇婚媾,女子貞不字,十年乃字。

象曰:六二之難,乘剛也。十年乃字,反常也。

六三,即鹿无虞,惟入于林中,君子幾不如舍,往吝。

象曰:即鹿无虞,以從禽也。君子舍之,往吝窮也。

六四,乘馬班如,求婚媾,往,吉无不利。

象曰:求而往,明也。

九五,屯其膏;小貞吉,大貞凶。

象曰:屯其膏,施未光也。

上六,乘馬班如,泣血漣如。

象曰:泣血漣如,何可長也。

둔(屯)은 원형이정(元亨利貞) 물용유유왕(勿用有攸往) 이건후(利建侯)[21]

둔(屯)은 머뭇거림이다. 가다 멈춤이다. 원형이정(元亨利貞)이다. 갈 바가 있어도 가지 않는 것 이다. 대신하는 바를 사용하여 이롭(게 할 수 있)다. [22]
단왈, 둔은 강유가 처음 서로 사귀어 어지러이 생겨난것이다. 험난함중에 움직이고 크게 형통하여 바르다. 뇌우의 움직임으로 가득 채운다. 하늘이 어둑새벽에서 초목을 낸다. 제후를 세움이 마땅하나 (아직) 안녕하지못하다.
상왈, 구름과 우뢰가 둔이니 군자가 벼리함의 일머리를 삼는다.

初九: 반환(磐桓) 이거정(利居貞) 이건후(利建侯)

머뭇거린다. 조신하게 거함이 이롭다. 대립(代立)이 이로움이 있다.
상왈, 비록 반석이 굳세어도 뜻이 바르게 행함이 중한바이다. 귀함으로써 천함에 아래에 처하니 크게 백성을 얻는바이다.

六二: 준여전여(屯如邅如) 승마반이(乘馬班如) 비구혼구(匪寇婚媾) 여자정부자(女子貞不字)십년내자(十年乃字)

둔(屯)은 어려움같다. 머뭇거림같다. 말을 타고 서성거린다. 도적이 아니면 혼사로 화친한다. 여자가 정(貞)하여 정(定)하지 않다가 십년 내에 정혼하다.
상왈, 육이의 어러움은 강함을 타는것이다. 오랜 세월이 지나도 늘 그러한바가 바뀔까 말까한다.

六三: 즉록무여(即鹿無虞) 유입어임중(惟入于林中) 군자기불여석(君子幾不如舍) 왕린(往吝)

사슴이 염려함이 없음은 산속에 오직 들어가 있음이다. 군가가 자세히 살펴 벌여놓지 않는다. 가는 바를 아낀다.
상왈, 사슴이 염려하지 않음은 날짐승이 따르는바이다. 군자가 집에 거하여 갈바가 궁색하다.

六四: 승마반이(乘馬班如) 구혼구왕(求婚媾往) 길무불리(吉無不利)

말을 타고 돌아온다. 혼사를 구하러 간다. 길하고 불리함이 없다.
상왈, 구해서 돌아오니 밝게 드러난다.

九五: 둔기고(屯其膏)소정길(小貞吉)대정흉(大貞凶)

둔은 장차 고약이다. 작은 것에서 길하고 큰 것에서 흉하다.
상왈, 그 살진 기름이 둔하니 아직 빛이 베풀기에 부족하다.

上六: 승마반이(乘馬班如) 읍혈련이(泣血漣如)

말을 타고 돌아온다. 피눈물을 흘린다.
상왈, 피눈물을 흘리듯이 어찌 길어지겠는가?

第四卦 蒙

[편집]
山水 蒙

坎下艮上

蒙,亨。匪我求童蒙,童蒙求我。初筮告,再三瀆,瀆則不告。利貞。

彖曰:蒙,山下有險,險而止,蒙。蒙亨,以亨行,時中也。匪我求童蒙,童蒙求我,志應也。初筮告,以剛中也。再三瀆,瀆則不告,瀆蒙也。蒙以養正,聖功也。
象曰:山下出泉,蒙;君子以果行育德。

初六,發蒙,利用刑人,用說桎梏,以往吝。

象曰:利用刑人,以正法也。

九二,包蒙吉,納婦吉,子克家。

象曰:子克家,剛柔節也。

六三,勿用取女,見金夫,不有躬,无攸利。

象曰:勿用取女,行不順也。

六四,困蒙,吝。

象曰:困蒙之吝,獨遠實也。

六五,童蒙,吉。

象曰:童蒙之吉,順以巽也。

上九,擊蒙,不利為寇,利禦寇。

象曰:利用禦寇,上下順也。

몽(蒙)은 형(亨)이다. 비아구동몽(匪我求童蒙) 동몽구아(童蒙求我) 초서고재삼독(初筮告再三瀆) 독즉불고(瀆則不告) 이정(利貞)

내가 어린아이를 구하는것이아니다. 어린아이가 나를 구하는것이다. 처음 점으로 고한다. 두세번 치는것은 점을 더럽히는것이다. 업신여기면 알려주지 않는다. 조신(操身)이 이롭다.
단왈, 몽은 산밑에 험함이 있는것이다. 험난하고 멈추었으니 몽이다. 몽은 형통한다. 형통함으로써 행한다. 때맞침인것이다. 내가 어린아이를 필요로하는것이 아니라 어린아이가 나를 필요로 하는것이다. 뜻이 서로 응한바이다. 처음 점이 고한바는 굳셈으로 중심이 있는것이다. 재차삼차 점치는것은 업신여기는것이다. 깔보면 (바르게)고할수없다. 더럽히고 업신여기는것은 어리석은바이다. (사리에)어두우나 바르게 키워나가면 거룩한 공덕을 이룰수있다.
상왈, 산아래에서 샘물이 솟는다. 몽이다. 군자는 행함의 결과를 (성찰하여) 덕을 키운다.


初六: 발몽(發蒙)[23] ,이용형인(利用刑人)[24],용탈질곡(用說桎梏) 이왕린(以往吝)[25]

사람이 모범을 따르게함이 이로운바는 교화이다. 마땅이 갈바를 어여삐여김에 법을 베푼다.
상왈, 사람이 모범을 따르게함이 이로운바가 바르게 드러난것이 법이다.

九二: 포몽길납부길자극가(包蒙吉,納婦吉,子克家)

아이를 감싸니 길하다. 아내를 받아들이니 길하다. 사람이 집을 다스린다.
상왈, 사람이 집안을 다스리는바는 강유를 절제한바이다.

六三: 물용취녀현금부불유궁무유리(勿用取女,見金夫,不有躬,无攸利)

여자는 취하는것이 아니다. 귀한사람을 맞이하는것이다. 스스로 하는바가 없으면 이로운바가 없다.
상왈,여자는 취하는것이 아니다. 가지려고 한다면 순리에 어긋난다.

六四: 곤몽린(困蒙,吝)

어리석어 곤란하다. 주저한다.
상왈, 곤란하고 어리석음이여, 홀로 열매를 맺기란 요원한것이다.

六五: 동몽길(童蒙,吉)

어린아이와 같다 길하다.
상왈, 어린아이의 복됨은 바람처럼 순리에 순응하는것이다.

上九: 격몽불리위구이어구(擊蒙,不利為寇,利禦寇)

(자신의)어리석은바를 맞딱뜨리다. 난리를 당하면 불리하나 제어하면 이롭다.
상왈, 난리를 당하면 불리하겠으나 (이또한) 제어하면 이로울수있다. 위아래가 서로 순응한다.

第五卦 需

[편집]
水天 需

[26] 有孚,光亨,貞吉。利涉大川。

彖曰:需,須也,險在前也,剛健而不陷,其義不困窮矣。需,有孚,光亨,貞吉,位乎天位,以正中也。利涉大川,往有功也。
象曰:雲上於天,需,君子以飲食宴樂。

初九,需于郊,利用恒,无咎。

象曰:需于郊,不犯難行也。利用恒,无咎,未失常也。

九二,需于沙,小有言,終吉。

象曰:需于沙,衍在中也。雖小有言,以終吉也。

九三,需于泥,致寇至。

象曰:需于泥,災在外也。自我致寇,敬慎不敗也。

六四,需于血,出自穴。

象曰:需于血,順以聽也。

九五,需于酒食,貞吉。

象曰:酒食,貞吉,以中正也。

上六,入于穴,有不速之客三人來,敬之終吉。

象曰:不速之客來,敬之終吉。雖不當位,未大失也。

수(需)는 유부광형정길(有孚,光亨,貞吉) 이섭대천(利涉大川)

수(需)는 (주고받음이)미쁘다. 빛나고 형통하다. 바르고 길하다. 이롭기가 큰강을 건널만하다.
단왈, 쓰임은 그 마땅함이다. 수고로움이 따른다. 강건함으로 그 의를 삼으니 어긋나지 않는다. 곤궁하지 않는다. 주고받음의 쓰임은 문물의 아름다움을 믿는것이다.[27] 바르니 형통하므로 길하다. 정중의 하늘의 높음에 위치한다. 큰강을 건너는바도 이롭다. 가는바 공이 있는것이다. [28]
상왈, 구름이 하늘에 생겨남이 수이다. 군자는 음식연악으로 오는바를 윤택케할뿐이다.[29]
初九: 수어교이용항무구(需于郊,利用恒,无咎)
공급은 경계에서 늘 이용되는바로 이롭다. 허물이없다.
상왈, 교외에서 서로 주고받음은 잘못된 행동인 바가 아니다. 늘 이것이 이롭다는것이 허물은 아니다. 아직 마땅한 바를 잃지 않았다.
九二: 수어사소유언종길(需于沙,小有言,終吉)
모래땅에서 주고받음은 말이 있으나 적고 끝은 길하다.
상왈, 물가에서 주고받음은 만연한 가운데 이른것이다. 비록 말이 적게는 있겠으나 끝내는 길하다.
九三: 수우니치구지(需于泥,致寇至)
진흙에서 주고받음은 난리(亂離)에 이른다.
상왈, 진흙탕에서 주고받음은 재앙이 다다른것이다. 내게 적이 이른것이다. 분함을 경계하면 패하지 않는다.
六四: 수어혈출자혈(需于血,出自穴)
다툼에서 주고받음은 스스로 안전한곳에서 나오는것이다.
상왈, 피를 흘리지 않으려면 듣고 응해줄수밖에 없다.[30]
九五: 수어주식정길(需于酒食,貞吉)
주식에서 주고받음은 바르고 길하다.
상왈, 술과음식은 여러 지친 몸과 마음을 위로하고 평안히 한다. [31]
上六: 입어혈유불속지객심인래경지종길(入于穴,有不速之客三人來,敬之終吉)
구멍으로 들어간다. 서두르지않는 손님3명이 올바가있다. 끝이 길함을 존중한다.
상왈, 로는 손님이 급하지 않으나 챙기는 바가 있으니 결국 길하다. 비록 마땅한 자리는 아니나 크게 잘못된것도 아니다.

第六卦 訟

[편집]
天水 訟

[32] 有孚,窒,惕,中吉,終凶。利見大人,不利涉大川。

彖曰:訟,上剛下險,險而健,訟。訟,有孚,窒,惕,中吉,剛來而得中也。終凶,訟不可成也。利見大人,尚中正也。不利涉大川,入于淵也。
象曰:天與水違行,訟,君子以作事謀始。

初六,不永所事,小有言,終吉。

象曰:不永所事,訟不可長也。雖小有言,其辯明也。

九二,不克訟,歸而逋,其邑人三百戶无眚。

象曰:不克訟,歸逋竄也。自下訟上,患至掇也。

六三,食舊德,貞厲,終吉。或從王事,无成。

象曰:食舊德,從上吉也。

九四,不克訟,復即命渝,安貞吉。

象曰:復即命渝,安貞,不失也。

九五,訟,元吉。

象曰:訟,元吉,以中正也。

上九,或錫之鞶帶,終朝三褫之。

象曰:以訟受服,亦不足敬也。

송(訟)은 유부질척중길종흉(有孚,窒,惕,中吉,終凶) 이현대인불리섭대천(利見大人,不利涉大川)

송사(訟事)함은 믿음,멈춤,걱정,운수(運數)가 있다. 대인을 뵈면 이롭고 대천(大川)을 건너기에는 이롭지 않다.
단왈, 송사는 위가 강하고 아래가 괴로워함이다. 위태로우나 능히 이를 튼튼히 할수있다. 송사인것이다. 송사에는 믿음이 있다. 막고 두려워하나 중심가운데에서 길하다. 강함이 오니 균형을 얻는것이다. 끝이 나쁘다는것은 송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못함이다. 대인을 보아야 이롭다. 중정을 존중해야하는것이다. 큰강을 건넘에 물속 구덩이에 빠지니 이롭지않다.
상왈, 하늘이 물과 더불어 어긋나게 움직이는바가 송사이다. 군자는 일을 만들때 시초를 잘 살피지않을수없다. [33]

初六: 불영소사 소유언 종길(不永所事,小有言,終吉)

일은 길지 않다. 말은 적다. 끝은 길하다.
상왈, 송사하는바가 길어지지않게 하는것은 일에 시간을 끌려고 하지 않음이다. 비록 간단한 말일지라도 그 판단을 분명케 할수있다.

九二: 불극송 귀이포 기읍인삼백호무생(不克訟,歸而逋,其邑人三百戶无眚)

송사를 참고견디지 않는다. 돌아오나 잡힌다. 그 마을사람 삼백호 인심을 얻으면 잘못됨은 없다.
상왈, 용납함을 참지못하고 돌이어 숨으려하나 붙잡힌다. 아래에서 위와 다투는것은 근심을 불러모으는것이다.

六三: 식구덕 정려 종길(食舊德,貞厲,終吉) 혹종왕사 무성(或從王事,无成)

음덕을 얻고 바름에 힘쓴다. 끝은 길하다. 혹 큰일을 쫓으려고하나 이루어지는것은 없다.
상왈, 옛것의 이로운바를 거저 얻으나 위를 따르므로 길하다.

九四: 불극송 복즉명유 안정길(不克訟,復即命渝,安貞吉)

송사를 참고견디지 않는다 다시 복귀하여 운명을 바꿀수있다. 평안하고 바르게하면 길하다.
상왈,복귀하여 운명이 변한다. 평안하니 바르다 잃는것이 없다.

九五: 송 원길(訟,元吉)

송사가 바라는바는 근본은 길한것이다.
상왈, 송사는 본디 균형을 맞추려고하는바 길한것이다.

上九: 혹석지반대 종조삼치지(或錫之鞶帶,終朝三褫之)

혹 가죽주머니와 띠를 얻으면 여러번끝에 그것을 취한다.
상왈, 송사로나마 복종을 하게됨은 역시 존중이 부족한 탓이었다.

第七卦 師

[편집]
地水 師

[34] 貞丈人吉,无咎。

彖曰:師,衆也。貞,正也。能以眾正,可以王矣。剛中而應,行險而順,以此毒天下,而民從之,吉又何咎矣。
象曰:地中有水,師;君子以容民畜衆。

初六,師出以律,否臧,凶。

象曰:師出以律;失律,凶也。

九二,在師中吉,无咎;王三錫命。

象曰:在師中吉,承天寵也。王三錫命,懷萬邦也。

六三,師或輿尸,凶。

象曰:師或輿尸,大无功也。

六四,師左次,无咎。

象曰:左次无咎,未失常也。

六五,田有禽,利執言,无咎。長子帥師,弟子輿尸,貞凶。

象曰:長子帥師,以中行也。弟子輿尸,使不當也。

上六,大君有命,開國承家,小人勿用。

象曰:大君有命,以正功也。小人勿用,必亂邦也。

사(師)는 정장인길(貞丈人吉),무구(无咎)

사(師)는 바른 장부(丈夫)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다.
단왈, 뭇 사람들은 곧고 바른것이다. 무리로써 바르게 할수있다면 우두머리인것이다. 강한 가운데 응한다. 힘써 행하니 순응한다. 이로써 천하를 근심하니 백성이 그것을 따른다. 길하며 또한 어찌 허물이겠는가?
상왈, 땅속에 물이 있다. 수인것이다. 군자가 백성을 포용함으로써 무르를 기른다.

初六: 사출이율 부장 흉(師出以律,否臧,凶)

마땅한바를 갖추어 출사(出師)한다. 어짊이 아니면 흉하다.
상왈, 무리가 규율로 나아가나 규율을 잃는다. 흉한것이다. [35]

九二: 재사중길 무구 왕삼석명(在師中吉,无咎,王三錫命)

사(師)가 길함중에 있으니 허물이없다. 왕이 신뢰함을 세번 보인다.
상왈, 무리가 길함가운데 있으니 하늘이 사랑하는이를 구원한다. 우두머리가 명을 내니 만방을 달랜다.

六三: 사역여시 흉(師或輿尸,凶)

사(師)에게 있어 혹여나 주검수레는 흉하다.
상왈, 출사는 혹 주검수렘와 같으니 대개 큰공을 바라지않는다.

六四: 사좌차 무구(師左次,无咎)

사(師)가 좌(左)를 차(次)로 하는바를 안다. 허물이 없다.
상왈, 왼쪽은 아직 쓰이지않은바이다. 명을 기다리니 아직 마땅한바를 잃지않았다.

六五: 전유금 이집언 무구(田有禽,利執言,无咎) 장자사사 제자여시 정흉(長子帥師,弟子輿尸,貞凶)

전(田)에있는 날짐승을 조심히 잡으니 이롭다. 장자는 군사를 거느리고 아우는 주검수레를 끄니 (이러한)바름은 흉하다(한다)
상왈,장자는 군사를 거느린다는것은 균형 가운데 행하는바이다. 아우는 주검수레를 끈다는것은 부당함을 당한다는것이다.

上六: 대군유명 개국승가 소인물용(大君有命,開國承家,小人勿用)

큰 임금은 (하늘의)명을 받아 나라를 열고 가업을 승계한다. 소인을 이러한 바를 쓸줄모른다.
상왈, 큰자는 명을 바르게 살펴서 공을 이룬다. 소인을 쓰지말라는것은 반드시 나라에 우환이 생기기때문이다.

第八卦 比

[편집]
水地 比

[36] 吉。原筮元永貞,无咎。不寧方來,後夫凶。

彖曰:比,吉也。比,輔也,下順從也。原筮,元永貞,无咎,以剛中也。不寧方來,上下應也。後夫凶,其道窮也。
象曰:地上有水,比;先王以建萬國,親諸侯。

初六,有孚,比之,无咎。有孚盈缶,終來有它,吉。

象曰:比之初六,有它吉也。

六二,比之自內,貞吉。

象曰:比之自內,不自失也。

六三,比之匪人。

象曰:比之匪人,不亦傷乎!

六四,外比之,貞吉。

象曰:外比於賢,以從上也。

九五,顯比。王用三驅,失前禽,邑人不誡,吉。

象曰:顯比之吉,位正中也。舍逆取順,失前禽也。邑人不誡,上使中也。

上六,比之无首,凶。

象曰:比之无首,无所終也。

비(比)는 길(吉)하다. 원서원영정 무구(原筮元永貞,无咎) 불녕방래 후부흉(不寧方來,後夫凶)

비(比)는 길(吉)하다. 점을 보고 근본을 길게 보존한다. 허물이 없다. 사방에서 도래하니 평안치않다. 그 나중은 대저 혼란하다.
단왈,비는 길한것이다. 맞는다는것은 돕는바이다. 아래가 순종하는것이다. 원래 점서는 본디 영원토록 곧다. 허물이 없다. 강건함으로 가운데 있는것이다. 사방에서 도래하여 평안하지않으면 상하가 응하는것이다. 후에는 그 도가 궁색해진다.
상왈,땅위에 물이 있다. 비는 선왕이 여러나라를 건설함으로써 제후를 봉한다.

初六: 유부 비지 무구(有孚,比之,无咎) 유부영관 종래유타 길(有孚盈缶,終來有它,吉)

비교하는바로 믿음을 둔다면 허물이 없다. 충만한 믿음이 종래에는 그것에서 길함이 있다.
상왈, 초육과 그것을 비교하니 다름이 있어 길한것이다.

六二: 비지자내 정길(比之自內,貞吉)

그것을 비교하여 스스로 추스리니 바르고 길하다.[37]
상왈, 그것을 비교하여 자성한다. 스스로 잃는바는 없게할수있다. [38]

六三: 비지비인(比之匪人)

견줌에는 인정이 없다.
상왈,비교하는바는 사람의 길로서 온전한것은 아니다. 따라서 역시 상처를 받을수밖에 없지않겠는가?

六四: 외비지 정길(外比之,貞吉)

(행실이) 드러남을 고르게하니 바르고 길하다.
상왈, 현명함에서 객관적으로 비교하니 질서를 세우는것이다.

九五: 현비 왕용삼구실전금읍인불성 길(顯比, 王用三驅 失前禽 邑人不誡,吉)[39][40]

비교하여 분명히 하니 왕이 쓰는바요, 사방중에 세방향에서 몰아갈때 앞에서 날아오는 날짐승은 놓아주어도 마을 사람은 (의심하여)경계하지않으니 길하다.
상왈, 비교하여 길함이 드러나니 정중에 위치한다. 역행을 버리고 순응을 선택하니 마주친 짐승은 잡지않는다. 읍인이 경계하지않고 위계가 균형을 맞춘다.

上六: 비지무수 흉(比之无首,凶)

두서없이 그것을 비교하는것은 흉이다.
상왈, 일머리없는바를 비교하니 끝나는곳이 없다.[41]

第九卦 小畜

[편집]
風天 小畜

小畜[42] 亨。密雲不雨,自我西郊。

彖曰:小畜,柔得位而上下應之,曰小畜。健而巽,剛中而志行,乃亨。密雲不雨,尚往也。自我西郊,施未行也。
象曰:風行天上,小畜,君子以懿文德。

初九,復自道,何其咎,吉。

象曰:復自道,其義吉也。

九二,牽復,吉。

象曰:牽復在中,亦不自失也。

九三,輿說輻,夫妻反目。

象曰:夫妻反目,不能正室也。

六四,有孚,血去惕出,无咎。

象曰:有孚。惕出。上合志也。

九五,有孚攣如,富以其鄰。

象曰:有孚攣如,不獨富也。

上九,既雨既處,尚德載,婦貞厲,月幾望,君子征凶。

象曰:既雨既處,德積載也。君子征凶,有所疑也。

소축(小畜)은 형(亨)하다. 밀운불우 자아서교(密雲不雨,自我西郊)

소축(小畜)은 형(亨)하다. 구름은 빽빽하나 비는 없다. 나로인해 해가저물고 땅은 메마르다.
단왈, 소축은 유연함이 위를 얻어 상하가 서로 응하는바이다. 소축은 강건한 바람이다. 강함이 그 중에 있이니 뜻이 행하여진다. 이내 형통한다. 구름은 빽빽하나 비는 없다는것은 마땅히 갈바인것이다. 나에게서 들녘은 서쪽이다. 아직 시행하지않았다.
상왈, 바람이 하늘위에서 움직인다. 소축은 군자가 글을 아름답게함으로 덕이 깊어지는것이다.

初九: 복자도 하기구 길(復自道,何其咎,吉)

다시 제자리를 찾아가니 어찌 그것이 허물이겠는가? 길하다.
상왈, 계속해서 스스로 제 갈길을 찾는다. 그 의의가 길한것이다.

九二: 견복 길(牽��,吉)

다시 이끄니 길하다.
상왈, 그 중심에서 거듭 이끄니 역시 스스로 잃는바는 없다.

九三: 여탈폭 부처반목(輿說輻,夫妻反目)

수레가 바퀴를 벗으니 부부가 반목한다.
상왈, 부부가 반목함은 실로 집안을 바르게 할수없다.

六四: 유부 혈거척출 무구(有孚,血去惕出,无咎)

믿음으로 피가 제거되고 두려움이 사라진다. 허물이없다.
상왈, 사랑한다는것은 믿음이 있다는것이다. 위와 그 뜻이 화합한것이다.

九五: 유부거여 부이기린(有孚攣如,富以其鄰)

믿음이 매이다. 그 이웃으로써 가멸다.
상왈, 믿음으로 이어지니 홀로 부요하지않다.

上九: 이우기처 상덕재 부정려 월기망 군자정흉(既雨既處,尚德載,婦貞厲,月幾望,君子征凶)

이미 비가 곳곳에 내리니 덕을 기리기 시작하고 여자는 바름을 힘쓰며 몇달에 걸쳐 그 조짐을 살핀연후에 군자는 흉을 정벌한다.
상왈, 이미 비가 곳곳에 내리니 덕이 쌓인것이다. 군자는 흉한것을 싫어함은 의혹이 있는(바를 아는)것이다.

第十卦 履

[편집]
天澤 履

[43] 虎尾,不咥人,亨。

彖曰:履,柔履剛也。說而應乎乾,是以履虎尾,不咥人,亨。剛中正,履帝位而不疚,光明也。
象曰:上天下澤,履;君子以辯上下,定民志。

初九,素履,往无咎。

象曰:素履之往,獨行願也。

九二,履道坦坦,幽人貞吉。

象曰:幽人貞吉,中不自亂也。

六三,眇能視,跛能履,履虎尾,咥人,凶。武人為于大君。

象曰:眇能視,不足以有明也。跛能履,不足以與行也。咥人之凶,位不當也。武人為于大君,志剛也。

九四,履虎尾,愬愬終吉。

象曰:愬愬終吉,志行也。

九五,夬履,貞厲。

象曰:夬履貞厲,位正當也。

上九,視履考祥,其旋元吉。

象曰:元吉在上,大有慶也。

리(履)는 호미 부질인 형(虎尾,不咥人,亨)

밟는다는것은 호랑이 꼬리다. 사람을 물지않으면 형통한다.
단왈, 이는 부드럽게 밟으니 강해진다는것이다. 기뻐하며 건에 응한다. 이것이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것이다. 사람을 깨물지 않으니 형통이다. 강함이 균형을 지킨다. 제위에 오르나 고생하지않으니 밝게 빛나는것이다.
상왈, 위는 하늘 아래는 연못이니 밟는다는것은 행실이다. 군자가 상하에 두루 미친다. 백성이 뜻을 펼쳐 안정된다.

初九: 소리 왕무구(素履, 往无咎)

본디 밟는바는 가는바이니 허물은 없다.
상왈, 꾸밈없이 신을 신는것은 가고자하는바가 있다는것이다. 홀로 가는것을 원하는것이다.

九二: 이도탄탄 유인정길(履道坦坦,幽人貞吉)[44]

밟는 길이 탄탄하다. 유인(幽人)인 바르고 길하다.
상왈, 차분한 사람은 곧으니 길하다는것은 균형을 지켜 스스로 어지럽히지않는다는것이다.

六三: 묘능시 파능이 이호미 질인 흉(眇能視,跛能履,履虎尾,咥人,凶) 무인위어대군(武人為于大君)

외눈이라도 볼수있고 다리를 절어도 밟을수있다. 호랑이 꼬리를 밟으니 사람을 문다. 흉하다. 무인이 대군이 된다.
상왈, 외눈이라도 밝다고해서 족하지는않는다. 절름발이라도 더불어 간다고해서 족하지는않는다. 사람을 질타하는것이 흉하다는것은 위치가 부당하다는것이다. 무인이 대군에게 행하게하는바가 있다는것은 뜻이 강하다는것이다.

九四: 이호미 색색종길(履虎尾,愬愬終吉)

호랑이 꼬리를 밟으나 두렵고두려우니 끝은 길하다.
상왈, 하소연하니 끝내 길한것은 뜻이 행하여진것이다.

九五: 쾌리 정려(夬履,貞厲)

터놓고 밟는다. 바름을 힘쓴다.
상왈, 터놓고 밟는다. 바름을 힘쓴다. 자리가 정당한것이다.

上九: 시리고상 기선원길(視履考祥,其旋元吉)

밟은바를 참고하고 조짐을 살핀다. 그 돌이키는바가 길하다.
상왈, 위에서 크게 길하다. 큰 경사가 있다.

第十一卦 泰

[편집]
地天 泰

乾下坤上

泰,小往大來,吉亨。

彖曰:泰,小往大來,吉亨。則是天地交而萬物通也,上下交而其志同也。內陽而外陰,內健而外順,內君子而外小人,君子道長,小人道消也。
象曰:天地交,泰;后以財成天地之道,輔相天地之宜,以左右民。

初九,拔茅茹以其彙,征吉。

象曰:拔茅征吉,志在外也。

九二,包荒。用馮河,不遐遺;朋亡。得尚于中行。

象曰:包荒,得尚于中行,以光大也。

九三,无平不陂,无往不復,艱貞无咎。勿恤其孚,于食有福。

象曰:无往不復,天地際也。

六四,翩翩,不富以其鄰;不戒以孚。

象曰:翩翩不富,皆失實也。不戒以孚,中心願也。

六五,帝乙歸妹,以祉,元吉。

象曰:以祉,元吉。中以行願也。

上六,城復于隍,勿用師,自邑告命,貞吝。

象曰:城復于隍,其命亂也。

태(泰)는 소왕대래 길형(小往大來,吉亨)

태는 작은바가 가고 큰바가 온다. 길하고 형통하다.
단왈, 태는 작은바가 가고 큰바가 온다. 길하고 형통하다. 즉 천지가 서로 사귀어 만물이 통하는바이다. 상하가 서로사귀어 그 뜻이 같은것이다. 안은 양이고 밖은 음이다. 안은 강건하고 밖은 순하다. 안은 군자요 그 밖은 소인이다. 군자의 길은 길고 소인의 길은 소멸한다.
상왈, 천지의 사귐이 태이다. 천지의 도를 이룬연후에 재물을 둔다. 천지의 마땅한바로 좌우의 백성을 서로 돕는다.[45]

初九: 발모여이기휘 정길(拔茅茹以其彙征,吉)

띠풀을 뜨으니 그들이 뭉쳐있는바로 취해진다. 길하다.
상왈, 띠풀을 뽑는것같이 나아가니 길하다. 뜻이 밖에까지 미친다.[46]


九二: 포황 용빙하 불하유붕망 득상우중행(包荒, 用馮河,不遐遺朋亡 得尚于中行)

거칢을 포용한다. 강을 건너는바가 있다. 머지않아 친구가 업신여김 당함을 따른다. 가운데에서 행함에 높임을 받는다.
상왈, 포황은 행하는중에 높임을 얻는다. 빛남이 크다. [47]

九三: 무평불피 무왕불복 간정무구(无平不陂,无往不復,艱貞无咎) 물휼기부 우식유복(勿恤其孚,于食有福)

평평함이 없으면 기울일수가 없고 가지않으면 돌아올바가 없다. 어렵게 바르니 허물이 없다. 그 믿는바를 근심하지말라 먹음에 복이있다.
상왈, 가는것이 없으면 돌아올것도 없다. 천지가 만난다.[48]

六四: 편편 불부이기린 불계이부(翩翩,不富以其鄰, 不戒以孚)

펄럭펄럭 나부낌은 그이웃으로 부유하지않음이니 믿음으로 경계하지않은바이다. 내심바란다.
상왈, 펄럭임은 부당함이다. 모두 실함을 잃는다. [49]

六五: 제을귀매이사 원길(帝乙歸妹以祉,元吉)

제을은 하늘이 내리는 행복으로 누이를 시집보낸다. 본디 길하다.
상왈, 행복은 근본이 길하다. 원하는바를행함는중에있다.[50]

上六: 성부우황 물용사 자읍고명 정린(城復于隍,勿用師,自邑告命,貞吝)

성은 해자로 겹겹이다. 군사를 쓰지않는다. 읍에 명을 고한다. 곧음이 인색하다.
상왈, 성은 해자(垓子)가 겹겹이다. 그 명이 어지럽다. [51]

第十二卦 否

[편집]
天地 否

坤下乾上

否之匪人,不利君子貞,大往小來。

彖曰:否之匪人,不利君子貞,大往小來。則是天地不交而萬物不通也,上下不交而天下无邦也。內陰而外陽,內柔而外剛,內小人而外君子,小人道長,君子道消也。
象曰:天地不交,否;君子以儉德辟難,不可榮以祿。

初六,拔茅茹以其彙,貞吉。亨。

象曰:拔茅貞吉,志在君也。

六二,包承,小人吉,大人否。亨。

象曰:大人否,亨。不亂羣也。

六三,包羞。

象曰:包羞,位不當也。

九四,有命,无咎,疇離祉。

象曰:有命无咎,志行也。

九五,休否,大人吉。其亡其亡,繫于苞桑。

象曰:大人之吉,位正當也。

上九,傾否,先否後喜。

象曰:否終則傾,何可長也。

비(否)는 지비인 불리군자정 대왕소래(之匪人,不利君子貞,大往小來)

비(否)는 사람이아닐 비(否)이다. 군자가 바름은 이익때문이 아니다. 큰것이 가고 적은것이 온다.
단왈, 비지비인 불리군자정 대왕소래(否之匪人,不利君子貞,大往小來) 즉 천지가 서로 사귀지 않음이다.이어서 만물이 통하지 않음이다. 상하가 사귀지않고 천하가 나라가 없음이다. 안은 음, 밖은양이고, 안은 유하고 밖은 강하다. 안은 소인,밖은 군자이다. 소인의 도가 길어지고 군자의 도가 소멸한다.[52]
상왈, 천지가 서로 사귀지않음이 비(否)이다. 군자가 덕을 검소하여 어지러움을 피한다. 녹(禄)으로 성(盛)할수없다.

初六: 발모여이기휘 정길형(拔茅茹以其彙,貞吉亨)

모여서 뭉친 덩어리진 띠풀을 뽑는다. 바르니 길하고 형통하다.
상왈, 띠풀을 뽑는다. 바르니 길하고 형통하다. 뜻이 군자에게있다. [53]

六二: 포승 소인길 대인비형(包承,小人吉,大人否亨)

이어짐을 포용한다. 소인은 길하고 대인은 막히나 (장차) 형통한다.
상왈,대인은 비이나 형한다. 무리를 어지럽히지안음이다.[54]

六三: 포수(包羞)

부끄러움을 포용한다.
상왈,포수는 위치가 마땅치않음이다. [55]

九四: 유명 무구 주리지(有命,无咎,疇離祉)

생명을 보존하니 허물은 없다. 무리가 그 복에 달라붙는다.
상왈, (따를)명이 있으니 허물이 없다. 뜻을 행한다. [56]

九五: 휴비 대인길 기망기망 계우포상(休否,大人吉。其亡其亡,繫于苞桑)

막힘도 쉬어간다. 대인이 길함이 어찌 망하겠는가 어찌망하겠는가. 뽕나무(잎)를 싸맨다.
상왈, 대인의 길함이다. 위가 마땅히 바르다.[57]

上九: 경부 선부후희(傾否,先否後喜)

기울어짐이 그친다. 먼저가 막힘이고 나중이 즐거워짐이다.
상왈, 막힘이 종국인즉 기운다. 어찌 길게가겠는가?[58]

第十三卦 同人

[편집]
天火 同人

離下乾上

同人于野,亨。 利涉大川,利君子貞。

彖曰:同人,柔得位得中,而應乎乾,曰同人。同人曰,同人于野,亨。利涉大川,乾行也。文明以健,中正而應,君子正也。唯君子為能通天下之志。
象曰:天與火,同人;君子以類族辨物。

初九:同人于門,無咎。

象曰:出門同人,又誰咎也。

六二:同人于宗,吝。

象曰:同人于宗,吝道也。

九三:伏戎于莽,升其高陵,三歲不興。

象曰:伏戎于莽,敵剛也。三歲不興,安行也。

九四:乘其墉,弗克,攻吉。

象曰:乘其墉,義弗克也,其吉,則困而反則也。

九五:同人,先號啕而后笑。大師克相遇。

象曰:同人之先,以中直也。大師相遇,言相克也。

上九:同人于郊,無悔。

象曰:同人于郊,志未得也。

동인(同人)[59] 우야 형 이섭대천 이군자정(于野,亨. 利涉大川,利君子貞)

야(野)에서 동인을 만나다. 형통하다. 큰강을건너도 이롭다. 군자가 바르니 이롭다.
단왈,동인은 유함이 위치를 잡고 중심을 얻는다. 그리고 건에 응한다. 왈 동인이다. 동인왈, 같은이가 들녘에 있다. 형통한다. 큰강을 건넘이 이롭다. 건이 행하는것이다. 문명이 튼튼함으로써 중심이 바르게 응한다. 군자의 바름인것이다. 오직 군자만이 천하의 뜻을 통하게할수있다.
상왈,하늘이 불과 함께한다. 동인은 군자가 그 동류로 사물을 변별한다.
初九:동인우문 무구(同人于門,無咎)
문을 나서 동인을 만나다. 허물이 없다.
상왈, 문밖으로 나가 사람과 함께하니 또 누가 허물이겠는가?
六二:동인우종 린(同人于宗,吝)
유유상종하니 인색하다.
상왈, 홀로 응해 무리를 지킴은 대체로 같을 수없다. 그 들녘의 의를 잃는다. 이미 애석할수있다.[60]
九三:복벌우장 승기고릉 삼세불여(伏戎于莽,升其高陵,三歲不興)
광활한 숲에 오랑캐가 숨어있으니 그 고지(高地)를 점한다. 여러해동안 일어남이없다.
상왈,광활한 숲에 오랑캐가 숨어있으니 적이 강한것이다. 여러해동안 일어나지않는것은 안전하게 행하는것이다.
九四:승기고 불극 공길(乘其墉,弗克,攻吉)
담장을 넘으려고하나 이김을 근심한다. 공격하면 길하다.
상왈, 담장을 넘으려고한다는것은 의가 곤고해 이기지못한다는것이다. 그것이 길하다는것은 곤고한즉 그것을 뒤집는것이다.[61]
九五:동인 선호도이후소 대사극상우(同人,先號啕而后笑。大師克相遇)
동인이 시작은 울부짖으나 뒤에는 웃는다. 큰 군사가 서로만나 다툰다.
상왈,동인의 우선은 중심에서 곧은것이다. 대사가 서로 만나 서로 이김을 말한다.
上九:동인우교 무회(同人于郊,無悔)
동인이 밖에서 만난다. 후회가 없다.
상왈, 함께할것을 구하나 더불어 함께할이가 없다. 뜻이 어찌 얻어지겠는가?[62]

第十四卦 大有

[편집]
火天 大有

乾下離上

大有,元亨。

彖曰:大有,柔得尊位,大中而上下應之,曰大有。其德剛健,而文明應乎天,而時行是以,元亨。
象曰:火在天上,大有;君子以竭惡揚善,順天休命。

初九:无交害,匪咎,艱則无咎。

象曰:大有初九,无交害也。

九二:大車以載,有攸往,无咎。

象曰:大車以載,積中不敗也。

九三:公用亨于天子,小人弗克。

象曰:公用亨于天子,小人害也。

九四:匪其彭,无咎。

象曰:匪其彭,无咎;明辨晰也。

六五:厥孚交如,威如;吉。

象曰:厥孚交如,信以發志也。威如之吉,易而无備也。

上九:自天佑之,吉无不利。

象曰:大有上吉,自天佑也。

대유(大有) 원형(元亨)

대유는 본디 형통한바이다.
단왈, 대유는 부드러움이 존귀한 자리를 얻어 거대함의 중심을 이루니 상하가 (제자리에서)그것을 응함이다.[63] 왈 대유이다. 그 덕이 강건하다. 글이 (사물을) 밝게 밝히니 때에 맞게 행함으로서 하늘에 응한다. 이것이 크게 형통하는바이다.
상왈, 불이 하늘위에 있다. 대유는 군자가 악을 다하게하고 선을 드러내는바이다. 천성을 바르게 이끌고 생명을 아름답게한다.[64]
初九:무교해 비구 난즉무구(无交害,匪咎,艱則无咎)
서로 해가없다. 허물이 아니다. 어려워도 허물없다.
상왈, 대유의 초구는 서로 (해됨과)해함이 없다. [65]
九二:대거이재 유유왕 무구(大車以載,有攸往,无咎)
큰수레에 적재한다. 갈바가있다. 허물이없다.
상왈, 큰수레에 실으니 쌓는중에 무너지지않는다.
九三:공용형우천자 소인불극(公用亨于天子,小人弗克)
공용은 천자에게 통한다. 소인은 그러하지 않다.
상왈,공의 자리는 천자에게 통하여 쓰는바이다. 소인은 (감당치못하니) 해롭다.
九四:비기팽 무구(匪其彭,无咎)
그 팽팽함이 아니다. 허물이없다.
상왈, 그 (크게됨에 허함이 있는) 팽팽함이 아니다. 허물이 없다. 밝게 분별하여 밝힌다.[66]
六五:궐부교여 위여 길(厥孚交如,威如,吉)
그믿음이 서로 사귐과 같다. 위엄이있다. 길하다.
상왈,믿음이 일어나 서로 사귀는것같이 믿음은 뜻으로써 발한다. 그 길함이 세(勢)같다. 쉽게 되어지니 (더이상) 꾸밈이없는것이다.
上九:자천우지[67] 길무불리(自天佑之,吉无不利)
하늘은 스스로 하는자를 돕는다. 길하고 이롭지않은바가없다.
상왈,대유는 아주 길하다. 하늘이 저절로 그것을 돕는것이다.

第十五卦 謙

[편집]
地山 謙

艮下坤上

謙,亨,君子有終。

彖曰:謙,亨,天道下濟而光明,地道卑而上行。天道虧盈而益謙,地道變盈而流謙,鬼神害盈而福謙,人道惡盈而好謙。謙尊而光,卑而不可逾,君子之終也。
象曰:地中有山,謙;君子以裒多益寡,稱物平施。

初六:謙謙君子,用涉大川,吉。

象曰:謙謙君子,卑以自牧也。

六二:鳴謙,貞吉。

象曰:鳴謙貞吉,中心得也。

九三:勞謙君子,有終吉。

象曰:勞謙君子,萬民服也。

六四:无不利,撝謙。

象曰:无不利撝謙;不違則也。

六五:不富,以其鄰,利用侵伐,无不利。

象曰:利用侵伐,征不服也。

上六:鳴謙,利用行師,征邑國。

象曰:鳴謙,志未得也。可用行師征邑國也。

겸(謙) 형(亨) 군자유종(君子有終)

겸은 형통한다. 군자는 결과가 있다.
단왈, 겸은 형통하니 천도가 (위에서)아래로 도우니 빛이 밝힘이요 땅의도는 (이에 맞추어 )낮추니 위가 행하여진다. 천도는 차고넘침을 덜어 겸손함을 더하고 땅의도는 차고넘침을 변하여 겸손함으로 흐르게한다.귀신은 차고넘침을 해하여 겸손함이 복되게하고 사람의 도는 차고넘침을 미워함으로 겸손함을 좋아한다. 겸손함은 존귀함으로 빛나고 낮추나 구차하지않으니 군자의 마무리이다.
상왈, 땅에는 산이있다. 겸손함은 군자가 많은것을 덜어 적은것을 더한다. 저울이 균형을 찾는다.[68]
初六: 겸겸군자 용섭대천 길(謙謙君子,用涉大川,吉)
겸손하도다 군자여, 큰강을 건너니 길하다.
상왈, 군자가 겸손하고 또 겸손하니 (스스로) 낮추어 자신을 이끈다.
六二:명겸 정길(鳴謙,貞吉)
겸손함이 드러나니 바르고 길하다.
상왈,겸손함이 울리니 바르고 길하다는것은 중심이 잡힌것이다.
九三:노겸군자 유종길(勞謙君子,有終吉)
힘써 겸손한 군자는 끝이있고 길하다.
상왈, 군자가 겸손함에 수고하니 만민이 탄복한다.
六四:무불리 위겸(无不利,撝謙)
이롭지않은바가없다. 겸손을 돕는바이다.
상왈, 겸손하여 자기를 낮추니 이롭지않은바가 없다. 이치가 틀림이 없다.
六五:불부 이기린 이용침벌 무불리(不富, 以其鄰 利用侵伐,无不利)
부유하지않다. 그 이웃과 더불어 침벌함이 이롭다. 이롭지않은바가없다.
상왈,침벌함이 이롭다는것은 불복함을 정벌한다는것이다.
上六:명겸 이용행��� 정읍국(鳴謙,利用行師,征邑國)
겸손함이 울리니 군사를 행함이 이롭다. 고을과 나라를 정벌한다.
상왈, 겸손함이 울려퍼지나 뜻을 아직 얻지못한것이다.(그러나 얻은연후에는) 군사를 행하여 나라들을 정복하는데 쓸수있다.[69]

第十六卦 豫

[편집]
雷地 豫
坤下震上

豫,利建侯行師。

彖曰:豫,剛應而志行,順以動,豫。豫順以動,故天地如之,而況建侯行師乎?天地以順動,故日月不過,而四時不忒;聖人以順動,則刑罰清而民服。豫之時義大矣哉!
象曰:雷出地奮,豫。先王以作樂崇德,殷薦之上帝,以配祖考。

初六:鳴豫,凶。

象曰:初六鳴豫,志窮凶也。

六二:介于石,不終日,貞吉。

象曰:不終日,貞吉;以中正也。

六三:盱豫,悔。遲有悔。

象曰:盱豫有悔,位不當也。

九四:由豫,大有得。勿疑。朋盍簪。

象曰:由豫,大有得;志大行也。

六五:貞疾,恒不死。

象曰:六五貞疾,乘剛也。恒不死,中未亡也。

上六:冥豫,成有渝,无咎。

象曰:冥豫,在上何可長也。

예(豫) 이건후행사(利建侯行師)

예는 제후를 세우고 군사를 행함이 이롭다.
단왈,예는 강이 응하여 그 뜻을 행한다. 순응은 움직임으로써 예측한다. 예측은 움직임으로써 순응한다. 고로 천지가 그와 같다. 그러므로 하물며 제후를 세우고 군사를 행함에있어서는 어떠하겠는가? 천지가 순리대로 움직인다. 고로 일월이 (서로) 지나침이없고 사계절이 (서로) 어긋남이 없다. 성인이 순리대로 움직인다고 하는것은 거스르는것을 형벌로 다스리니 백성이 복종하는바이다. 그 때를 미리 살핌은 그 의의가 매우 크지않은가?
상왈, 우뢰가 치니 (이에) 땅이 진동한다. 예(의 본)이다. 선왕들이 음악을 지어 이로써 덕을 숭상하는(데 이를 도운)바이다. 성대한 음악으로 상제에게 (제사)올리는 바를 (참작하여) 견줌으로써 이를 살펴 본받았다.
初六:명예 흉(鳴豫,凶)
미리 우니 흉하다는것이다.
상왈, 초육은 미리우는바이니 뜻이 아직 궁한데서 흉할수있다.[70]
六二:개우석 불종일 정길(介于石,不終日,貞吉)
돌사이에 끼니 하루가 끝나지 않는다. 바르면 길하다.
상왈, 하루가 끝나지 않으니 (아직 시간이 있다) 중심에서 바르고자하면 곧고길할것이다.
六三:우예 회 누유회(盱豫,悔。遲有悔)
처다보고나서 예상하니 후회한다. 늦음을 후회한다.
상왈, 미리 처다보니 후회가 있다. 위치가 부당한것이다.[71]
九四:유예 대유득 물의 붕개마(由豫,大有得。勿疑。朋盍簪)
연유로 예측하니 크게 얻는바가있다. 의심하지 말라 친구가 속히 덮는다.
상왈, 이유가있어 예상한다. 크게 얻음이 있다. 뜻이 크게행하여진다.
六五:정질 항불사(貞疾,恆不死)
병에 곧으니 항시 죽지않는다.
상왈, 육오는 바름이 급박한것이다. 강하게 오른다. 늘 죽는것은 아니다. 중심을 아직 잃지않았다.
上六:명예 성유유 무구(冥豫,成有渝,无咎)
어둠속에서 예측하니 변화하는것을 완성한다. 허물이없다.
상왈, 예상이 불분명하니 어찌 위에있어 장구할수있는가?[72]

第十七卦 隨

[편집]
澤雷 隨
震下兌上

隨,元亨,利貞,无咎。

彖曰:隨,剛來而下柔,動而說,隨。大亨貞,无咎,而天下隨時,隨之時義大矣哉!
象曰:澤中有雷,隨,君子以嚮晦入宴息。

初九:官有渝,貞吉。出門交有功。

象曰:官有渝,從正吉也。出門交有功,不失也。

六二:系小子,失丈夫。

象曰:系小子,弗兼與也。

六三:系丈夫,失小子。隨有求得,利居貞。

象曰:系丈夫,志舍下也。

九四:隨有獲,貞凶。有孚在道,以明,何咎。

象曰:隨有獲,其義凶也。有孚在道,明功也。

九五:孚于嘉,吉。

象曰:孚于嘉,吉;位正中也。

上六:拘系之,乃從維之。王用亨于西山。

象曰:拘系之,上窮也。

수(隨) 원형 이정 무구(元亨,利貞,无咎)

수는 본디 형통하고 바르면 이롭고 허물이없다.
단왈, 수, 강함이 오고 아래는 유(柔)하다. 움직이니 즐거워한다. 수(隨)이다. 크게 형하고 정하다. (이롭기도하고 바르기도하니)허물은 없다. 천하의 때를 따르니 때의 쫓음의 의의가 크지아니한가?[73]
상왈, 택(澤)중에 뢰가있다. 수는 군자가 날이 저뭄을 보고 평안히 쉼을 받아들인다.[74]

初九:관유유 정길 출문교이공(官有渝,貞吉。出門交有功)

기관은 변함이 있다. 바르면 길하다. 문을 나서 사귐에 공이있다.
상왈, 관은 대신 맡아서 다스리는것이다. 관은 변화에 응하는것이다. 바르게하니 길하다. 문밖을 나서 일을함이 있으니 공이 있다.[75][76]

六二:계소자 실장부(系小子,失丈夫)

소자를 이으나 장부를 잃는다.
상왈, 아이에게 매여 장부의 일을 놓는다.[77]

六三:계장부 실소자 수유구득 이거정(系丈夫,失小子。隨有求得,利居貞)

장부를 이으나 소자를 잃는다. 수는 얻음을 구하는 바이다. 거함이 바르면 이롭다.
상왈, 장부의 일을 쫓으니 아이를 돌보지못한다. 수는 구하여 얻음이다. 거함이 바르면 이롭다.

九四:수유획 정흉 유부재도 이명 하구(隨有獲,貞凶。有孚在道,以明,何咎)

수에 획득함이있다. 바르려고하나 근심이있다. 길이 밝으니 믿는바가있다. 어찌 허물이겠는가? [78]
상왈, 따르고 이에 획득한다. 그 의가 흉하다. 그 도에 믿음이있어 공을 밝힌다.

九五:부우가[79](孚于嘉,吉)

아름다운바를 믿는다 길하다.
상왈, 아름다움에서 믿는다는것은 그 중심이 잡혀 균형을 이룬것이(아름답다는것이)다.[80]

上六:구게지 내종유지 왕용형우서산(拘系之,乃從維之。王用亨于西山)

그것을 매고 구속하니 이내 유지하고 따른다. 왕이 서산에서 형통하여 쓰는바이다.
상왈, 그것을 매고 구속한다. 아주 궁하다.[81]

第十八卦 蠱

[편집]
山風 蠱
巽下艮上

蠱,元亨,利涉大川。先甲三日,後甲三日。

彖曰:蠱,剛上而柔下,巽而止,蠱。蠱,元亨,而天下治也。利涉大川,往有事也。先甲三日,後甲三日,終則有始,天行也。
象曰:山下有風,蠱;君子以振民育德。

初六:幹父之蠱,有子考,无咎,厲終吉。

象曰:幹父之蠱,意承考也。

九二:幹母之蠱,不可貞。

象曰:幹母之蠱,得中道也。

九三:幹父之蠱,小有悔,无大咎。

象曰:幹父之蠱,終无咎也。

六四:裕父之蠱,往見吝。

象曰:裕父之蠱,往未得也。

六五:幹父之蠱,用譽。

象曰:幹父用譽,承以德也。

上九:不事王侯,高尚其事。

象曰:不事王侯,志可則也。

고(蠱) 원형 이섭대천 선갑[82]삼일 후갑삼일 (元亨,利涉大川。先甲三日,後甲三日)

고는 본디 형통한다. 큰강을 건넘에 이롭다. 입제(立制)[83]는 시행에 앞서 수일을 두고 폐함있어 후에 수일을 둔다.
단왈, 충(蠱)은 강이 위에 유가 아래이다. 바람이 멈춤이다. 충이다. 충은 본디 형통하니 천하(의 질서)가 바로 잡히는것이다. 큰강을 건넘에 이롭다. 일이있어 가는것이다. '제도의 시행에 앞서 삼일 그리고 제도의 폐지에 뒤로 삼일(先甲三日,後甲三日)'은 종즉유시(終則有始), 끝남이 있는곳에 시작이 있다. 이것이 하늘의 행하는바이다.
상왈, 산아래로 바람이 있다 충이다. 군자는 백성를 구휼함으로써 그 덕성를 함양한다.

初六:간부지고 유자고 무구 려종길(幹父之蠱,有子考,无咎,厲終吉)

아버지의 주된 일을 자식이 있어 살피니 허물이 없다. 힘써 끝이 길하다.
상왈, 아버지의 주된 일은 생각으로 생각을 구원하는것이다.

九二:간모지고 북가정(幹母之蠱,不可貞)

어머지의 주된 일은 바를수없다. (어렵다.)
상왈, 어머지의 주된 일은 중도(中道)를 얻는것이다.

九三:간부지고 소유회 무대구(幹父之蠱,小有悔,无大咎)

아버지의 주된 일은 작은 후회는 있으나 큰 허물은 없다.
상왈, 아버지의 주된 일은 끝내는 허물이 없다.[84]

六四:예부지고 왕견인(裕父之蠱,往見吝)

관대한 아버지의 일은 가보면 소중하다.
상왈, 관대한 아버지의 일은 가나 얻지못한다.[85]

六五:간부지고 용예(幹父之蠱,用譽)

아버지의 주된일은 명예를 씀이다.
상왈, 아버지의 주된일은 명예를 씀이다. 덕으로써 구원한다. [86]

上九:불사왕후 고상기사(不事王侯,高尚其事)

왕후를 섬기지않는다. 그일이 높이어 높다.
상왈, 왕후를 섬기지않는다함은 그 의지가 본이 될수있다.[87]

第十九卦 臨

[편집]
地澤 臨
兌下坤上

臨,元亨,利貞。至于八月有凶。

彖曰:臨,剛浸而長。說而順,剛中而應,大亨以正,天之道也。至于八月有凶,消不久也。
象曰:澤上有地,臨;君子以教思无窮,容保民无疆。

初九:咸臨,貞吉。

象曰:咸臨貞吉,志行正也。

九二:咸臨,吉无不利。

象曰:咸臨,吉无不利;未順命也。

六三:甘臨,无攸利。既憂之,无咎。

象曰:甘臨,位不當也。既憂之,咎不長也。

六四:至臨,无咎。

象曰:至臨无咎,位當也。

六五:知臨,大君之宜,吉。

象曰:大君之宜,行中之謂也。

上六:敦臨,吉无咎。

象曰:敦臨之吉,志在內也。

임(臨) 원형 이정(元亨,利貞) 지우팔월유흉(至于八月有凶)

임은 본디 형통하다. 바름이 이롭다. 팔월이 되어 근심이 있다.
단왈, 임은 강이 나아가니 길어진다. 기쁘니 순응한다. 강한중에 응한다. 바름으로써 크게형통한다. 하늘의 도이다. 팔월에 이르러 흉함이 있다. 소멸하여 오래가지못한다.
상왈, 연못위에 땅이 있다. 임은 군자가 그 가르침을 생각하니 궁함이없다. 또한 백성을 보존함이 끝이없다.[88]

初九:함임 정길(咸臨,貞吉)

임을 온전케하니 바르고 길하다.
상왈, 임이 (감응하여)두루미치니 곧고 길하다. 뜻이 바르게 행하여진다.[89]

九二:함임 길무불리(咸臨,吉无不利)

임함에 다하니 길하다. 이롭지않는바가 없다.
상왈, 임함에 다하니 길하다. 이롭지않는바가 없다. 아직은 명(命)에 순응은 아니다.

六三:감임 무유리 기우지 무구(甘臨,无攸利。既憂之,无咎)

괜찮게 임하다. 이로운바는 없다. 이미 그것이 근심이다. 허물은 없다.
상왈, 괜찮게 임하나 위치가 부당하니 이미 그것을 근심한다. 즉 오래지않아 허물이다.

六四:지임 무구(至臨,无咎)

지극히 임하다. 허물은 없다.
상왈, 임에 이르다. 허물이 없다.

六五:지임 대군지의 길(知臨,大君之宜,吉)

임함을 알다. 대군의 알맞은 바이다. 길하다.
상왈, 대군의 마땅함이다. 그 (균형)가운데에서 행함을 말한다.

上六:돈임 길무구(敦臨,吉无咎)

임함에 힘쓴다. 길하고 허물없다.
임함에 힘쓰니 길하다. 뜻이 안에 있다. [90]

第二十卦 觀

[편집]
風地 觀
坤下巽上

觀,盥而不荐,有孚顒若。

彖曰:大觀在上,順而巽,中正以觀天下。觀,盥而不荐,有孚顒若,下觀而化也。觀天之神道,而四時不忒,聖人以神道設教,而天下服矣。
象曰:風行地上,觀;先王以省方,觀民設教。

初六:童觀,小人无咎,君子吝。

象曰:初六童觀,小人道也。

六二:窺觀,利女貞。

象曰:窺觀女貞,亦可丑也。

六三:觀我生,進退。

象曰:觀我生,進退;未失道也。

六四:觀國之光,利用賓于王。

象曰:觀國之光,尚賓也。

九五:觀我生,君子无咎。

象曰:觀我生,觀民也。

上九:觀其生,君子无咎。

象曰:觀其生,志未平也。

관(觀) 관이부천 유부옹야(盥而不荐,有孚顒若)

관은 대야이다 자리깔개가 아니다. 믿는바가 있어 엄숙한바와 같다.
단왈, 위에 있는 큰 살핌이 순리로 흐르니 손인것이다. (균형의)중심은 천하를 살펴서 바르게한다. 관이다. 대야로 씻어 깨끗히할뿐 (이것저것) 늘어놓지 않는다. 엄숙히 믿는바가있는것이다. 아래로 살펴서 화합하는것이다. 하늘의 신기한 도를 살펴보니 사계절이 (한치의 오차도 없이) 어긋나지않고 운행한다. 성인은 신묘한 도로써 가르침을 베풀고 천하가 이를 따르는것이다.
상왈, 바람이 땅위에서 운행한다. 관이다. 선왕이 사방을 성찰함으로써 백성을 살피고 가르침을 베푼다.

初六:동관 소인무구 군자린(童觀,小人无咎,君子吝)

어린아이가 본다. 소인은 허물이없다. 군자는 곤란하다.
상왈, 초육은 어린아이의 살핌이다. 소인의 도이다.

六二:규친 이여정(窺觀,利女貞)

엿보다. 여자가 바르니 이롭다.
상왈, 곧은 여자를 엿보니 이는 추할수있다.[91]

六三:관아생 진퇴(觀我生,進退)

내가 살아있음을 본다. 나아가고 물러난다.
상왈, 나는 누구인가? 과거와 미래를 살핀다. 아직 이치를 잃지않았다.

六四:관국지광 이용빈우왕(觀國之光,利用賓于王)

나라의 빛을 본다. 왕에게 손님이 있으니 이롭다.
상왈, 나라의 영광을 보게된다. 손님을 극진히한다.[92]

九五:관아생 군자무구(觀我生,君子无咎)

내가 살아있음을 본다. 군자가 허물이없다.
상왈, 내가 인생을 살펴본다. 백성을 살펴보는것이다.

上九:관기생 군자무구(觀其生,君子无咎)

그것이 살아있음을 본다. 군자는 허물이 없다.
상왈, 그 삶을 바라보니 (후회의 땅에서)뜻이 아직 평탄하지않다. [93]

第二十一卦 噬嗑

[편집]
火雷 噬嗑
震下離上

噬嗑,亨。利用獄。

彖曰:頤中有物,曰噬嗑,噬嗑而亨。剛柔分,動而明,雷電合而章。柔得中而上行,雖不當位,利用獄也。
象曰:雷電噬嗑;先王以明罰敕法。

初九:屨校滅趾,无咎。

象曰:屨校滅趾,不行也。

六二:噬膚滅鼻,无咎。

象曰:噬膚滅鼻,乘剛也。

六三:噬臘肉,遇毒;小吝,无咎。

象曰:遇毒,位不當也。

九四:噬乾胏,得金矢,利艱貞,吉。

象曰:利艱貞吉,未光也。

六五:噬乾肉,得黃金,貞厲,无咎。

象曰:貞厲无咎,得當也。

上九:何校滅耳,凶。

象曰:何校滅耳,聰不明也。

서합(噬嗑)은 형(亨)하다. 이용옥(利用獄)

서합은 형(亨)하다. 옥의 사용을 얻으니 이롭다.
단왈, 턱사이에 사물이 있다. 왈, 서합이다. 서합은 형통한다. 강유가 나뉜다. 움직이니 (자세히) 명료(明瞭)하게 드러난다. 뢰전이 합하여 비춤이 (밝힘으로 위엄이) 있다. (은밀한것을 드러낸다.) 부드러움이 중심을 얻어 위로 행한다. 비록 위치가 마땅하지 않으나 옥으로 사용함이 이로운바가있다.[94]
상왈,뢰전은 서합이다. 선왕이 법으로 단단히 타일러서 경계하고 벌로서 (이를)밝힌다.

初九:구교멸지(屨校滅趾) 무구(無咎)

구교멸지(屨校滅趾) 무구(無咎) :족쇄로 발을 묶는다. 허물이 없다.
상왈,족쇄로 발을 묶는다. (잘못될것을 미루어 알아) 행하지 않는다.[95]

六二:서부멸비(噬膚滅鼻) 무구(無咎)

살갗을 깨물어 코가 다한다. 허물은 없다.
상왈, 코는 냄새를 맡고 입은 고기를 씹는다. (음식을 먹기전에는 코로 냄새를 맡아 입에 침을 돋군다.) (차근차근)그 강한바를 기다린다.[96]

六三:서랍육(噬臘肉) 우독소린(遇毒小吝) 무구(無咎)

납일(臘日)납육(臘肉)을 씹는다. 근심을 만나나 인색함은 적다. 허물은 없다.
상왈, 근심을 만나고 위치는 적당치 않다.

九四:서건자득금시(噬乾胏得金矢) 이간정(利艱貞) 길(吉)

(뼈가 붙은)마른고기를 씹다가 황금화살을 얻는다. 올바름에 힘쓰니 이롭다. 길(吉)하다.
상왈, 바르고 길함으로 간신히 길하나 아직 빛을 발하지않는다.

六五:서건육득황금(噬乾肉得黃金) 정려무구(貞厲無咎)

마른 고기를 씹으니 황금을 얻는다. 올바름 , 곧음에 힘쓰니 허물은 없다.
상왈, 바름에 힘쓰니 허물은 없다. 마땅함을 얻는다.

上九:하교멸이(何校滅耳) 흉(凶)

차꼬에 메이니 귀가 다한다. 흉(凶)하다.
상왈, 형구[97]가 귀를 막으니 어떠한가? 들어도 (제대로 알아)들을수없다. [98]

第二十二卦 賁

[편집]
山火 賁
離下艮上

賁,亨。小利有攸往。

彖曰:賁,亨;柔來而文剛,故亨。分剛上而文柔,故小利有攸往。剛柔交錯,天文也;文明以止,人文也。觀乎天文,以察時變;觀乎人文,以化成天下。
象曰:山下有火,賁;君子以明庶政,无敢折獄。

初九:賁其趾,舍��而徒。

象曰:舍車而徒,義弗乘也。

六二:賁其須。

象曰:賁其須,與上興也。

九三:賁如濡如,永貞吉。

象曰:永貞之吉,終莫之陵也。

六四:賁如皤如,白馬翰如,匪寇婚媾。

象曰:六四,當位疑也。匪寇婚媾,終无尤也。

六五:賁於丘園,束帛戔戔,吝,終吉。

象曰:六五之吉,有喜也。

上九:白賁,无咎。

象曰:白賁无咎,上得志也。

분(賁)은 형(亨) 소리유유왕(小利有攸往)

꾸밈은 형이다. 갈바가있음이 이로우나 작다.
단왈, 비(賁)는 형통하다. 부드러움이 와 강함을 꾸며준다. 고로 형통하다한다. 강함이 위에서 나뉘어 부드러움을 꾸며준다. 고로 갈바가있음이 작은 이로움이다. 강과유가 서로 교착한다. 이로써 밝게 비추어 꾸며 빛낸다. 사람이 글을 얻은바이다. 시시각각의 변화를 살피니 천문을 보인다. 천하가 이루어져 돌아감으로 인간의 문명을 보게된다.
상왈, 산아래에 물이 있다. 비이다. 군자가 여러 법을 밝힘으로써 감히 송사를 꾸짖지않는다.

初九:분기지 사거이도(賁其趾,舍車而徒)

그 발이 날래다. 수레를 버리고 보행한다.
상왈, 수레를 버리고 보행한다. (걸어야하는 상황이라면) 어찌 마땅히 수레를 타려하겠는가?[99]

六二:비기수(賁其須)

그 수염을 꾸민다.
상왈, 그 수염을 꾸민다. 위와 더불어 흥한다.

九三:비여수여 영정길(賁如濡如,永貞吉)

꾸미니 온화하다. 바름이 길하고 오래간다.
상왈, 장구히 바르니 길하다는것은 끝내는 (침범하지못하니) 그것이 보존되는것이다.[100]

六四:비여파여 백마간여 비구혼구(賁如皤如,白馬翰如,匪寇婚媾)

희게 꾸미니 흰말의 털같다. 비적이 아니면 혼사로 화친한다.
상왈, 육사는 위치가 마땅한지 의심하는것이다. 비적이 아니면 혼사로 화친한다. 끝내 허물은 없다.

六五:비어구원 속면잔잔 린 종길(賁於丘園,束帛戔戔,吝,終吉)

무덤을 꾸민다. 비단묶음이 남는다. 인색하나 끝에는 길하다.
상왈, 육오의 길함이다. 기쁨이 있다.

上九:백비 무구(白賁,无咎)

깨끗하게 꾸민다. 허물이 없다.
상왈, 깨끗하게 꾸민다. 허물이 없다. 위가 그 뜻한바를 얻는것이다.

第二十三卦 剝

[편집]
山地 剝
坤下艮上

剝,不利有攸往。

彖曰:剝,剝也,柔變剛也。不利有攸往,小人長也。順而止之,觀象也。君子尚消息盈虛,天行也。
象曰:山附地上,剝;上以厚下,安宅。

初六:剝牀以足,衊貞凶。

象曰:剝牀以足,以滅下也。

六二:剝牀以辨,衊貞凶。

象曰:剝牀以辨,未有與也。

六三:剝之,无咎。

象曰:剝之无咎,失上下也。

六四:剝牀以膚,凶。

象曰:剝牀以膚,切近災也。

六五:貫魚,以宮人寵,无不利。

象曰:以宮人寵,終无尤也。

上九:碩果不食,君子得輿,小人剝廬。

象曰:君子得輿,民所載也。小人剝廬,終不可用也。

박(剝) 불리유유왕(不利有攸往)

박은 갈바가있으면 이롭지않다.
단왈, 박은 (줄어드는)깍임이다. 유가 변하여 강이다. 갈바가있으면 이롭지않다. 소인이 장성하는바이다. 순순히 그것이 멈춘다. 군자는 소식영허(천지 시운이 변하고 바뀜)를 존중한다. 하늘의 운행(천지자연의 섭리)이기 때문이다.
상왈, 산이 땅위에 붙여진다. 박이다. 위가 아래를 후하게 하니 집안이 평한하다.

初六:박상이족 무정흉(剝牀以足衊 貞凶)

평상다리를 깍아 업신여김이다. 곧으나 흉하다.
상왈, 평상다리를 깍아 업신여김은 아래를 능멸하는것이다.

六二:박상이변 멸정흉(剝牀以辨,衊貞凶)

평상을 바로잡으려 깍으니 업신여김이다. 곧으나 흉하다.
상왈, 평상을 바로잡으려 깍으니 (아직)업신여김이다. 아직 더불어함께함이없다.

六三:박지 무구(剝之,无咎)

그것을 깍으나 허물이없다.
상왈, 그것을 깍으나 허물이없다. 위아래가 떠난다.

六四:박상이부 흉(剝牀以膚,凶)

평상을 깍으니 속살이다. 흉하다.
상왈, 평상을 깍으니 속살이 드러난다. 재앙이 절박히 가깝다.

六五:관어 이궁인총 무불리(貫魚,以宮人寵,无不利)

물고기를 꿰다. 집사람들이 총애를 받는다. 불리함이없다.[101]
상왈, 집사람들이 총애를 받는다. 끝내 허물이없다.

上九:석과불식 군자득여 소인박려(碩果不食,君子得輿,小人剝廬)

큰열매를 먹지않는다. 군자가 가마를 얻었다. 소인이 그집을 깍는다.
상왈, 군자가 가마를 얻으니 백성이 싣는바이다. 소인이 그것을 깍으니 끝내 쓸수가 없다.

第二十四卦 復

[편집]
地雷 復
震下坤上

復,亨。出入无疾,朋來无咎。反復其道,七日來復,利有攸往。

彖曰:復亨;剛反,動而以順行,是以出入无疾,朋來无咎。反復其道,七日來復,天行也。利有攸往,剛長也。復其見天地之心乎!
象曰:雷在地中,復;先王以至日閉關,商旅不行,后不省方。

初九:不復遠,无只悔,元吉。

象曰:不遠之復,以修身也。

六二:休復,吉。

象曰:休復之吉,以下仁也。

六三:頻復,厲无咎。

象曰:頻復之厲,義无咎也。

六四:中行獨復。

象曰:中行獨復,以從道也。

六五:敦復,无悔。

象曰:敦復无悔,中以自考也。

上六:迷復,凶,有災眚。用行師,終有大敗,以其國君,凶;至于十年,不克征。

象曰:迷復之凶,反君道也。

복(復) 형 출입무질 붕래무구 번복기도 칠일래부 이유유왕(亨。出入无疾,朋來无咎。反復其道,七日來復,利有攸往)

복은 형이다. 나가고들어옴에 서두름이없다. 친구가 오니 허물이없다. 그왔던길로 어렵게돌아간다. 칠일에 다시온다. 갈바가있으면 이롭다.
단왈, 복은 형통하다. 강함이 오히려 움직임으로 순리로 행한다. 이것이 출입함에 서두르지않음이다. 친구가 오니 허물이없다. 그 길을 되돌아간다. 칠일이후로 회복한다. 하늘의 운행이다. 갈바가있으니 이롭다. 강함이 장구하다. 다시 돌아감이 복이니 그 천지의 본성을 보는도다!
상왈, 뢰가 땅속에있다. 복은 선왕이 동지와 하지에 관문을 폐했다. 상인과나그네가다니지못한다. 살피지않아 장차 뒤로미룬다. [102]

初九:불복원 무지회 원길(不復遠,无只悔,元吉)

멀어서 돌아가지않는다. 다만 후회가 없다. 본디 길하다.
상왈, 머지않아 돌이킨다. 수신함으로써이다.[103]

六二:휴복 길(休復,吉)

돌아가다 쉰다. 길하다.
상왈, 휴복이 길한것은 밑에서부터 인한것이다.

六三:빈부 려무구(頻復,厲无咎)

급히 거듭한다. 힘쓰니 허물없다.
상왈, 급히 실천함의 힘씀은 의로우니 허물이없다.

六四:중행 독복(中行 獨復)

가운데간다. 홀로 돌아간다.
상왈,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바른 행실을 홀로 돌아간다. (중)도를 쫓는것이다.[104]

六五:조복 무회(敦復,无悔)

돌아감을 아로새기니 후회없다.
상왈, 되돌아보아 아로새긴다. 후회가 없다. 스스로를 삼가함으로써 (균형의)중심을 잃지않는다.

上六:미복 흉 유재생 용행사 종유대패 이기국군 흉 지우십년 불극정(迷復,凶,有災眚。用行師,終有大敗,以其國君,凶,至于十年,不克征)

갈길을 헤매니 흉하다. 재앙이다. 행군을 하나 끝내 대패한다. 그나라임금때문에 흉하다. 십년이 다가도록 정복하지못한다.
상왈, 되돌아가는것에서 헤매니 흉하다. 군자의 도에 반하는것이다.

第二十五卦 无妄

[편집]
天雷 無妄

震下乾上

无妄,元亨,利貞。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
彖曰:无妄,剛自外來,而為主於內。動而健,剛中而應,大亨以正,天之命也。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无妄之往,何之矣? 天命不佑,行矣哉?
象曰:天下雷行,物與无妄;先王以茂對時,育萬物。

初九:无妄,往吉。

象曰:无妄之往,得志也。

六二:不耕獲,不菑畬,則利有攸往。

象曰:不耕獲,未富也。

六三:无妄之災,或系之牛,行人之得,邑人之災。

象曰:行人得牛,邑人災也。

九四:可貞,无咎。

象曰:可貞无咎,固有之也。

九五:无妄之疾,勿藥有喜。

象曰:无妄之藥,不可試也。

上九:无妄,行有眚,无攸利。

象曰:无妄之行,窮之災也。

무망(无妄)[105][106] 원형 이정 기비정유구 불리유유왕 (元亨,利貞。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

무망은 본디 형통하는바이다. 바르면 이롭다. 그 바르지않음은 재앙이다. 갈바가있어 이롭지않다.
단왈, 무망은 강함이 스스로 밖에서부터 와서 안에서 주가 된다. 움직여서 강건하고 강함이 중심에서 응한다. 바름으로서 크게 형통함이다. 우주의 섭리인것이다. 그것이 바르지않으니 잘못이 있다. 갈바가 있어 이롭지않다. 우주의 섭리가 돕지않는데도 행하겠는가?
상왈, 하늘아래에서 뢰가 행한다. 사물이 무망과 함께한다. 선왕이 때에 응하여 힘씀으로써 만물을 생육한다.

初九:무망 왕길(无妄,往吉)

허망하지않다. 가는바가 길하다.
상왈, 가는바가 허망하지않으니 뜻을 얻는것이다.

六二:불경획 불치여 즉이유유왕(不耕獲,不菑畬,則利有攸往)

경작을 제대로않했으나 얻는바가있다. 개간을 제대로하지않았는데 새밭인바가있다. 즉 가는바가있으면 이롭다는것이��.
상왈, 얻는바를 경작하지 않으니 아직 부유하지않은것이다.

六三:무망지재 혹계지우 행인지득 읍인지재(无妄之災,或系之牛,行人之得,邑人之災)

무망의 재앙은 혹 소가 매여 엮임과 같다. 행인이 얻는바가 될수있고 읍인의 재앙인바가될수있다.
상왈, 행인이 소를 얻는다. (망실)한 읍인의 재앙이다.

九四:가정무구(可貞,无咎)

바를수있으면 허물이 없겠다.
상왈, 바를수있으면 허물이 없겠다. (정직은 최선의 방책이다.) 견고함이 거기에 있다. [107]

九五:무망지질 물락유희(无妄之疾,勿藥有喜)

무망의 병은 기쁜바가 있으니 약하지않는다.
상왈, 무망의 약은 사용할수없는것이다.

上九:무망 행유생 무유리(无妄,行有眚 无攸利)

무망은 행함에 잘못될수있다. 이로운바없다.
상왈, 무망(無妄)의 궁극에는 망(妄)으로 통할수있으니 재앙인것이다.[108]

第二十六卦 大畜

[편집]
山天大畜
乾下艮上

大畜,利貞,不家食吉,利涉大川。

彖曰:大畜,剛健篤實輝光,日新其德,剛上而尚賢。能止健,大正也。不家食吉,養賢也。利涉大川,應乎天也。
象曰:天在山中,大畜;君子以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

初九:有厲利已。

象曰:有厲利已,不犯災也。

九二:輿說輹。

象曰:輿說輹,中无尤也。

九三:良馬逐,利艱貞。曰閑輿衛,利有攸往。

象曰:利有攸往,上合志也。

六四:童牛之牿,元吉。

象曰:六四元吉,有喜也。

六五:豶豕之牙,吉。

象曰:六五之吉,有慶也。

上九:何天之衢,亨。

象曰:何天之衢,道大行也。

대축(大畜) 이정 불가식길 이섭대천(利貞,不家食吉,利涉大川)

대축은 바름이 이롭다. 집안에서 먹는것이 아니니 길하다. 큰강을 건너니 이롭다.
단왈, 대축은 강건하니 독실함이 그 빛을 발한다. 매일매일 그 덕을 새롭게 한다. 강이 위에 있어 현명함이 높여진다. 능히 그 강건함을 멈출수있다. 크게 바른바이다. 집에서 먹는것은 음식만이 아니다. 현명함도 키우는것이니 길하다. 큰강을 건넘이 이롭다. 하늘에 감응한다.
상왈, 하늘이 산중에 있다. 대축이다. 군자가 다식함으로써 말함에 앞서 행동으로 보인다.(또는 언행일치한다.) 그것을 쌓으니 덕이다.

初九:유려이이(有厲利已)

벌써 이로움을 염려하는바가 있다.
상왈, 미리 이로운바(와 해로운바)를 두루 살피니 재앙이 범접하기 어렵다.

九二:여탈복(輿說輹)

수레가 (차여와 차축의) 복토가 벗겨지다. (수레가 짐을 쌓아 실을수없으니 이를 나를수없다.)[109]
상왈, 수레가 바퀴살의 수고로움을 헤아려 감사하니 허물이 그 곳에는 없다.

九三:양마축 이간정 왈한여위 이유유왕(良馬逐,利艱貞。曰閑輿衛,利有攸往)

좋은말이 쫓는다 어렵게바르니 이롭다. 왈,한가히 수레를 지킨다. 가는바가있어 이롭다.
상왈, 가는바가있어 이롭다는것은 위와 뜻이 맞은것이다.

六四:동시지곡 원길(童牛之牿,元吉)

어린돼지를 기르다. 원래 길하다.
상왈, 육사는 본디 길하다. 기쁜바가있다.

六五:분시지아 길(豶豕之牙,吉)

불깐돼지어금니 길하다.
상왈, 육오의 길함은 다행인바가있다.

上九:하천지구 형(何天之衢,亨)

잠시 하늘의 네거리이다. 형통하다.
상왈, 하늘의 사거리에 해당한다. (하늘의 때가 도우니)도가 크게 행해진다.[110]

第二十七卦 頤

[편집]
山雷 頤
震下艮上

頤,貞吉。觀頤,自求口實。

彖曰:頤貞吉,養正則吉也。觀頤,觀其所養也;自求口實,觀其自養也。天地養萬物,聖人養賢,以及萬民;頤之時義大矣哉!
象曰:山下有雷,頤;君子以慎言語,節飲食。

初九:舍爾靈龜,觀我朵頤,凶。

象曰:觀我朵頤,亦不足貴也。

六二:顛頤,拂經,于丘頤,征凶。

象曰:六二征凶,行失類也。

六三:拂頤,貞凶,十年勿用,无攸利。

象曰:十年勿用,道大悖也。

六四:顚頤吉,虎視眈眈,其欲逐逐,无咎。

象曰:顚頤之吉,上施光也。

六五:拂經,居貞吉,不可涉大川。

象曰:居貞之吉,順以從上也。

上九:由頤,厲吉,利涉大川。

象曰:由頤厲吉,大有慶也。

이(頤) 정길 관이 자구구실 (貞吉。觀頤,自求口實)

이는 바르니 길하다. 턱을 본다. 스스로 구실을 구한다.
단왈, 턱은 바르고 길하다. 바른것을 양육한즉 길한것이다. 턱을 본다. 그 양육하는바를 보는것이다. 스스로 입에 음식을 구한다. 그 스스로 양육함을 보는것이다. 천지가 만물을 양육하고 성인이 현자를 양육한다. 현자를 통해서 만민을 양육함이 미친다. 턱의 의(義)가 시의(時宜)함이 크도다.
상왈, 산밑에 뢰가 있다. 턱이다. 군자는 언어에 신실하니 음식을 절제한다.

初九:석이령구 관아염이 흉(舍爾靈龜,觀我朵頤,凶)

그 영묘한 거북이를 벌여놓고 내가 턱을 늘어트림을 본다. 흉하다.
상왈, 내가 턱을 늘어트림을 본다. 역시 귀함이 부족한것이다.

六二:전이 불경 우구이 정흉(顛頤,拂經,于丘頤,征凶)

꺼꾸로 기르다. 언덕에서 기르니 도리를 거스른다. 멀리나가나 흉하다.
상왈,육이는 정벌함이 흉하다. 행함이 동류(同類)를 잃은것이다.

六三:불이 정흉 십년물용 무유리(拂頤,貞凶,十年勿用,无攸利)

기름을 거스르니 바르더라도 흉하다. 십년동안 쓰지말라 이로운바가 없다.
상왈, 십여년이나 쓰지 못하니 도가 크게 어지럽다.

六四:전이길 호시탐탐 기욕축축 무구(顚頤吉,虎視眈眈,其欲逐逐,无咎)

꺼꾸로 기르나 이롭다. 호시탐탐 그것이 쫓을려고한다. 허물없다.
상왈, 턱이 서로에게 이르니 길하다. 위에서 빛이 (빛나니 두루)널리 퍼진다. [111]

六五:불경 거정길 불가섭대천(拂經,居貞吉,不可涉大川)

경과하여 다다르니 거함에 바르면 길하다. 큰강을 건널수없다.
상왈, 거함에 바르니 길함은 위를 따르고 순응하는것이다.

上九:요이 려길 이섭대천(由頤,厲吉,利涉大川)

웃는얼굴의 턱모양, 힘써노력하면 길하다. 큰강을 건너니 이롭다.
상왈, 턱의 연유는 힘쓰는바로 길하니 크게 (힘쓸수록 큰) 경사가 있다.[112]

第二十八卦 大過

[편집]
澤風 大過
巽下兌上

大過,棟橈,利有攸往,亨。

彖曰:大過,大者過也。棟橈,本末弱也。剛過而中,巽而說行,利有攸往,乃亨。大過之時義大矣哉!
象曰:澤滅木,大過。君子以獨立不懼,遯世无悶。

初六:藉用白茅,无咎。

象曰:藉用白茅,柔在下也。

九二:枯楊生稊,老夫得其女妻,无不利。

象曰:老夫女妻,過以相與也。

九三:棟橈,凶。

象曰:棟橈之凶,不可以有輔也。

九四:棟隆,吉。有它吝。

象曰:棟隆之吉,不橈乎下也。

九五:枯楊生華,老婦得士夫,无咎无譽。

象曰:枯楊生華,何可久也。老婦士夫,亦可醜也。

上六:過涉滅頂,凶,无咎。

象曰:過涉之凶,不可咎也。

대과(大過) 동요 이유유왕 형(棟橈,利有攸往,亨)

대과는 동자기둥이 구분다. 갈바가있어 이롭다. 형하다.
단왈, 대과는 큰것이 지나감이다. 마룻대가 굽는다. 본말이 약한것이다. 강함이 가운데를 지나간다. 바람이 다님을 기뻐한다. 갈바가 있으니 이롭다. 이내 형통한다. 대과는 의(義)의 시의(時宜)함이 크도다.
상왈, 연못이 나무들을 멸한다. 대과이다. 군자는 홀로 섬을 두려워않는다. 세상이 (모른체하고)회피해도 답답해하지않는다.

初六:자용백모 무구(藉用白茅,无咎)

하얀띠풀로 깔개에 쓴다. 허물없다.
상왈, 하얀띠풀을 깔개로 쓴다. 유(柔)함이 아래에 있는것이다.

九二:고양생제 노부득기여처 무불리(枯楊生稊,老夫得其女妻,无不利)

시든 버드나무 돌피를 자라게한다. 늙은이가 그여첩을 얻는다. 이롭지않음이없다.
상왈, 노부와 여첩이 서로 함께하니 (분수에) 넘친다.

九三:동요 흉(棟橈,凶)

지붕 용마루가 구분다. 흉하다.
상왈, 마룻대가 구불어지면 (더이상) 이를 도울수없다.

九四:동륭 길 유타린(棟隆,吉。有它吝)

마룻대가 높다. 길하다. 다른 근심이 있다.
상왈, 용마루가 융성하니 길하다. 아래가 굽어지지않는다.

九五:고양생화 노부득사부 무구무예(枯楊生華,老婦得士夫,无咎无譽)

시든 버드나무에 꽃이핀다. 할머니가 사부(士夫)를 얻는다. 허물도없고 명예도없다.
상왈, 고목 버드나무에 꽃이핀다. 어찌 오래일수있겠는가? 늙은여인이 사부(士夫)를 얻으니 역시 부끄러울수있다.

上六:과섭멸정 흉 무구(過涉滅頂,凶,无咎)

머리가 잠겨 건너지난다. 흉하다. 허물없다.
상왈, 과섭의 흉은 (위험한바이지) 허물은 아니다.[113]

第二十九卦 坎

[편집]
重坎 水
坎下坎上

坎,習坎,有孚維心,亨。行有尚。

彖曰:習坎,重險也。水流而不盈,行險而不失其信。維心亨,乃以剛中也。行有尚,往有功也。天險不可升也,地險山川丘陵也,王公設險以守其國,坎之時用大矣哉!
象曰:水洊至,習坎;君子以常德行,習教事。

初六:習坎,入于坎窞,凶。

象曰:習坎入坎,失道凶也。

九二:坎有險,求小得。

象曰:求小得,未出中也。

六三:來之坎坎,險且枕,入于坎窞,勿用。

象曰:來之坎坎,終无功也。

六四:樽酒簋貳,用缶,納約自牖,終无咎。

象曰:樽酒簋貳,剛柔際也。

九五:坎不盈,只既平,无咎。

象曰:坎不盈,中未大也。

上六:繫用徽纆,寘于叢棘,三歲不得,凶。

象曰:上六失道,凶三歲也。

감(坎) 습감 유부유심 형 행유상(習坎,有孚維心,亨。行有尚)

고생에 익숙하다. 오직 믿을것은 마음뿐이다. 형하다. 행함에 높은바가있다.
단왈, 늘 애태우니 거듭 위태로운것이다. 물이 흐르나 가득 차지않는다. 어렵게 행하나 그 믿는바를 잃지않는다. 오직 정성으로 형통한다. 강함으로 그 중심을 삼는다. 행동하는것은 우러를바가있고 가는것에는 공덕이있는것이다. 하늘이 험난하면 오를수없고 지형이 험난한것은 산천구릉인것이다. 왕과 공이 그 나라를 지킴에 험난함을 이용하여 힘입으니 감의 때를 사용한바가 크도다.
상왈, 물이 드디어 이른다. 감을 익힌다. 군자는 항상 덕을 행한다. 일에서 배우기를 힘쓰는것이다.

初六:습감 입우감담 흉(習坎,入于坎窞,凶)

고생에 익숙하다. 크고작은 구덩이에 들어간다. 흉하다.
상왈, 고생에 익숙하다. 고생에 들어간다. 길을 잃고 흉하다.

九二:감유험 구소득(坎有險,求小得)

구덩이는 위험이 있다. 작은 얻음을 구한다.
상왈,작은것을 구하고 얻는다. 아직 나아가지 않았다.

六三:래지감감 험차침 입우감담 물용(來之坎坎,險且枕,入于坎窞,勿用)

오고가니 괴롭다. 위험하고 또 방해한다. 크고작은 구덩이에 들어간다. 쓰지말라
상왈,오고가니 괴롭다. 끝내는 공이 없다.

六四:준주궤이 용부 납약자유 종무구(樽酒簋貳,用缶,納約自牖,終无咎)

술통의 술과 제기 두개, 장군[114]을 쓴다. 고생을 받고 스스로 깨우친다. 끝은 허물없다.
상왈,술통의 술과 제기 두개, 강함과 부드러움이 서로 만나 사귄다.

九五:감불영 지기평 무구(坎不盈,只既平,无咎)

구덩이가 차지않았다. 단지 이미 평평하다. 허물없다.
상왈,구덩이가 차지않았다. 중간이니 아직 크지않다.

上六:계용휘묵 치어총극 삼세부득 흉(繫用徽纆,寘于叢棘,三歲不得,凶)

맴에 아름다운 노끈을 쓴다. 덩굴가시에 둔다. 삼년동안 얻지못한다. 흉하다.
상왈,상육이 도를 잃는다. 세해가 흉하다.

第三十卦 離

[편집]
重離 火
離下離上

離,利貞,亨。畜牝牛,吉。

彖曰:離,麗也;日月麗乎天,百谷草木麗乎土,重明以麗乎正,乃化成天下。柔麗乎中正,故亨;是以畜牝牛吉也。
象曰:明兩作離,大人以繼明照于四方。

初九:履錯然,敬之无咎。

象曰:履錯之敬,以辟咎也。

六二:黃離,元吉。

象曰:黃離元吉,得中道也。

九三:日昃之離,不鼓缶而歌,則大耋之嗟,凶。

象曰:日昃之離,何可久也。

九四:突如其來如,焚如,死如,棄如。

象曰:突如其來如,无所容也。

六五:出涕沱若,戚嗟若,吉。

象曰:六五之吉,離王公也。

上九:王用出征,有嘉折首,獲其匪丑,无咎。

象曰:王用出征,以正邦也。

리(離) 이정 형 휵목우 길(利貞,亨。畜牝牛,吉)

리는 바르면 길하다. 형하다. 암소를 기른다. 길하다.
단왈, 이는 고운것이다. 아름다운것이다. 밝은것이다. 일월이 하늘에서 빛난다. 수많은 계곡에도 초목이 흙에서 돋아나는바이다. 바른것에서 빛남은 밝음의 중한바이다. 생기를 불어넣어 천하를 조화롭게 이룬다. 중심에서 바르다는것은 부드럽게 빛나는것이다. 고로 형통한다. 이것이 암컷 소를 기르는것이 길한바이다.
상왈, 밝음의 기능은 빛남에서 이루어진다. 대인은 밝음을 계승해서 사방을 비춘다.

初九:리착연 경지무구(履錯然,敬之无咎)

착각해서 밟는다. 그것을 공경하니 허물이없다.
상왈, 번거로우나 그것을 존중하니 허물을 피한다.

六二:황이 원길(黃離,元吉)

근심을 앓다. 본디 길하다.
상왈,황금빛은 본디 길하니 그 가운데에서 도를 얻는바이다.

九三:일측지리 불고결이가 즉대질지차 흉(日昃之離,不鼓缶而歌,則大耋之嗟,凶)

날이 기우니 헤어진다. 북이 아니고 그릇으로 노래한즉 아주 늙은이가 탄식한다. 흉하다.
상왈, 날이 기우는 빛이니 어찌 오래 갈수있겠는가?

九四:돌여기래여 분여 사여 기여(突如其來如,焚如,死如,棄如)

갑자기 그이후로 불사르고 죽고 버림 같다.
상왈,돌연 그 오는바같으니 준비하는바가 없다.

六五:출체타약 척차약 길(出涕沱若,戚嗟若,吉)

눈물이 나옴같고 근심하고 탄식함같다. 길하다.
상왈,육오의 길함은 왕과 신하가 서로 돕는바이다.

上九:왕용출정 유가절수 획기비축 무구(王用出征,有嘉折首,獲其匪丑,无咎)

왕이 출정을 한다. 머리를 꺽으니 기쁨이 있다. 그 소아닌것을 잡으니 허물없다.
상왈, 왕이 출정으로 천하의 여러 봉토를 평정한다.

참고
  1. 원형이정(元亨利貞)-원(元)은 근본을 살핌이다. 형(亨)은 순리를 살핌이다. 이(利)는 이로운바를 살핌이다. 정(貞)은 곧고 바름을 살피는것이다. 근본은 시작과 끝을 말한다. 순리는 받는것보다 주는것이 더 많은 것을 일컫는다. 이롭다는것은 족함과 부족함을 아는것이다. 바르다는것은 객관성을 살펴 어긋나지않게 조치한다는것이다. 모든 일에는 시작이 있고 사람의 일에는 최선이 있고 최선에는 부족함과 족함이 있고 족함과 부족함의 이롭고 해로운바는 깊이 헤아일수는있으나 사람의 일은 온전할수는있을뿐 완전할수는없기에 사리를 쫓아 판단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고 조치하기를 최선을 다하는것이다.
  2. 貞(곧을 정)- 곧음은 바름이다. 마음이나 뜻이 흔들림 없이 바르다는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의지가 확고하다는것이 아니다. 나의 의지와 다른이의 의지가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할수있다는것을 믿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이를 따른다는것이 아니다. 나 뿐만 아니라 누구나가 나아갈수있는 방향을 보고 그것을 믿는다는것이다. 그러기에 의지가 흔들림없이 바를수있다. 사람들을 도울수있는것이다. 이로써 곧음이 일의 기틀이 되는것이다라고 하는것이다.
  3. 역의 의의는 하나에서 같은것의 양면성을 드러내어 이로써 계속해서 양면성을 보이는바로 다양성을 다시 드러낸다. 이어서 같으면서 다른 그리고 다르면서 (통하여) 같은 여러 다양성을 밝히고 인식하고자 하는것이다.
  4. 용(龍) 상상의 동물 가운데 하나. 몸은 거대한 뱀과 비슷한데 비늘과 네 개의 발을 가지며 뿔은 사슴에, 귀는 소에 가깝다고 한다. 깊은 못이나 늪, 호수, 바다 등 물속에서 사는데 때로는 하늘로 올라가 풍운을 일으킨다고 한다.
  5. 용덕(龍德) 하늘의 덕. 또는 뛰어난 덕.
  6. 성인(聖人)의 기준은 사람을 돕는바이니 인류를 보전하는이이며 따라서 인간에게 연민을 갖는이이다.
  7. 천지의 도라고 하는것은 사람의 도가 거기서부터 오나 사람이 온전히 미칠수없음을 말한다. 그러나 사람이 부족하나 계속해서 따라야하기에 천지의 도라고 칭한다. 천지의 도는 이전에도 있었고 앞으로도 있는것이니 사람의 힘으로는 다하기 힘드나 사람이 그 안에서 태어나고 존재하는바로 그 높고 넓음을 따르니 사람이기에 부족함을 인정하고 뉘우치는것이다.
  8. 무강하다(無疆하다) 한이 없다,만세무강(萬世無疆) 오랜 세월에 걸쳐 끝이 없다.
  9. 시행권(施行權) 어떤 사업을 시행할 때, 모든 사업 부문을 총괄할 수 있는 권리.
  10. 함장(含章) 규범을 지키다. 절제하다.
  11. 정(貞) 곧을 정 - 곧을수있음은 구분지어 지키는바가 있기때문이다.
  12. 괄낭(括囊) 주머니 또는 자루를 동여매다. 본디 주머니 , 자루는 담기위해 있는것이다.
  13. 무구무예(无咎无譽) 허물도 없고 자랑도 없다.
  14. 치마는 외부를 막고 내부를 추스린다. 치마의 천은 직물이어야 물들일 수 있다. 천 직물은 수고로움으로 씨줄과 날줄로 짜여진다.
  15. 용전어야(龍戰于野) 용들이 야(野)에서 싸운다.
  16. 기혈현황(其血玄黃) 그 피가 검고 누렇다.
  17. 천지현황(天地玄黃) 하늘은 검고 땅은 누렇다. (천자문의 첫구절)
  18. 음(땅)의 도는 낮고 순함으로 그 덕이 온전하니 그 아름다운 덕이 양에까지 미친다. 양은 음과 더불으려고 하나 한편 양은 양이려고 하는 바가 있어 쇠퇴하지 않으려는 바가 있다.(陰之為道,卑順不盈,乃全其美。盛而不已,固陽之地,陽所不堪,故「戰於野」-周易正義 坤 上六)
  19. 받은 선행보다 준 선행이 많으면 남는 선행이 있고 받은 악행보다 준 악행이 많으면 남는 악행이 있다. 남는것이 적으면 자신에게서 그치나 남는바가 크면 세상에 미친다.
  20. 진선미(眞善美) - 선한것의 아름다움보다 더 아름다운것은 없고 바름으로 선한것보다 더 선한것은 없다.
  21. 이건후(利建侯) 제후를 세워 이롭다.
  22. 머뭇거림은 아직 우왕좌왕이 아님으로 잘 살피면 돕는 바가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바로서 하고자 하는 바를 얻을 수 있다.
  23. 발몽(發蒙) 지식수준이 낮거나 인습에 젖은 사람을 가르쳐서 깨우침.
  24. 이용형인(利用刑人): (마땅한)사람을 형벌함이 이롭다.
  25. 용탈질곡(用說桎梏) 이왕린(以往吝) 갈바를 어여삐여김으로써 질곡을 풀어준다.
  26. 需 水天 乾下坎上
  27. (需有孚光)공급은 빛이 빛를 발하는바와 같음이 있다.
  28. (需,待也。剛居於尊,安於險之道也。能制下,健以為用,君子待命而已,不可自任,則剛健終不陷也。君子觀其爲而動之,其義豈窮哉。五以險德而位於天,雖非坦道,强毅而制下也。剛中而有孚也。獲剛健之臣而不敢不説,則不勞而待其功矣。故光通而貞吉,復何險之有哉。是以利涉大川,而無險不濟也。文王君人也,得九五之位。仲尼位下也,居君子之事合,兩而待之,則上待下之能,下待上之命。觀是需之情可見矣-子夏易傳)수는 기다린다는것이다. 강한것은 험난한 길에도 안정되고 존귀하게 거한다. 능히 주변 환경을 제어하고 마땅히 쓸바를 쓸수있다. 군자는 명을 기다리지 스스로 자임하지 않으니 강건이 끝내 위태하지않는것이다. 군자는 사물의 돌아가는 이치를 살피니 어찌 그 의가 곤궁해지겠는가?
  29. (君子待命而不勞於慮,而得其治也,飲食宴樂而已。- 자하역전) 군자는 생명(과 천명)을 살피지 처한바를 스스로를 위해 하지는 않는다. 이로써 다스리는바를 얻고 음식과 연악일 따름이다.
  30. (자하역전-剛險居上,而承之難,從事者也。動而見傷矣。坎隂處下,幽穴之物,而今升之,待陽之運而出,難也。則不可不順以聽之)
  31. (자하역전)剛德中正,施令而治者也。治事已獲衆之奉,待其酒食而已
  32. 訟 天水 坎下乾上
  33. (相違而與處事,訟之象也。君子見其未著,防其未形,則逺訟也-자하역전)군자는 그 발생할수있는 여지를 살펴 그 어긋날바를 잘 다룸으로써 송사를 멀리하게된다.
  34. 師 地水 坎下坤上
  35. 軍誌曰:軍之所承於君者,師之可戰,君曰無戰,必戰可也。師不可戰,君曰戰之,無戰可也。故進不求其名,退不避其罪,本乎社稷之衛也。或以聽君主之制為律,豈足是哉。愼諸,其在授人以律乎。(자하역전 周易上經乾傳苐一卷 坎下坤上) 군지왈, 군사의 소임은 임금에게서 명령을 받드는것이다. 장수는 이로써 전쟁을 지휘할수있다. (이후에는) 임금이 전쟁을 하지 말라고하여도 (전쟁이 부득이한 경우) 전쟁을 할수있다. 장수는 임금이 전쟁을 하라고 하여도 (부득이한 경우) 전쟁을 하지 않을수있다. 이런까닭에 (전장에) 나아감에 그 명예를 구하지 않고 물러남에 그 죄를 피하지않는것이다. 오직 백성과 국가의 존망을 위하기 때문이다. 혹여 임금의 통제가 규율로써 명하여도 모두 이것으로 족하지않겠는가? 이것을 잘 살필려고 규율로써 인명을 받아둔것이다.
  36. 比 水地 坤下坎上
  37. (衆各保其所居也。能初以求比,是以吉也。知乎幾,辨乎微,爲天下首。比必自誠信盈於素分也。素分盈,則主恩及,而他吉來矣。자하역전 제8비괘)무리가 그 거하는바를 각기 보존한다. 비교하는것은 구하는것의 시작이다. 징후에서 살피고 조짐에서 분별한다. 천하의 머리가 된다.
  38. (제2괘 곤 문언전-積善之家,必有餘慶.積不善之家,必有餘殃)받은 선행보다 준 선행이 많으면 남는 선행이 있고 받은 악행보다 준 악행이 많으면 남는 악행이 있다. 남는것이 적으면 자신에게서 그치나 남는바가 크면 세상에 미친다.(세상의 사건은 무릇 나에게 상대가 있고나서야 생겨날수있다. 나의 본의는 내가 잘 살피수있으나 상대의 본심은 다만 겨우 짐작할수있을 뿐이다. 그러나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고 상대방을 제어하는 단서는 나에게서 나온다. 옛부터의 이의 폐단을 막고자 글로써 이것을 가두어놓으려하였으나 이는 결국 서로의 본성을 이성의 틀인 객관성에 가두어놓는것일 뿐이다. 이또한 방편이 아닌것은 아니다. 다만 정작 감성은 온전히 할수없으니 아쉬울뿐이다. 하지만 상대방의 의도와 상관없이 우리를 온전히 할수있는것은 나와 상대에 대한 연민을 갖는 방법뿐이다. 결국 선한 감성만이 우리 인류를 보존하는 유일힌 길이다는것이다)
  39. 삼구의 례(三驅之禮) 사방중에 세방향에서 몰아가면 짐승은 그 뜨인 한곳으로 달아난다. 날짐승의 경우 나를 앞으로해서 날아오는 날짐승은 놓아주고 나를 뒤로하고 날아가는 날짐승은 쏘아죽이는 법도이다.(周易正義,[疏]正義曰:「去之與來皆無失」者,若「比」道弘闊,不偏私於物,唯賢是親,則背己去者與來向己者,皆悉親附無所失也;言去亦不失,來亦不失。夫三驅之禮者,先儒皆云「三度驅禽而射之也」。三度則已,今亦從之,去則射之。褚氏諸儒皆以「為三面著人驅禽」,必知「三面」者,禽唯有背己、向己、趣己,故左右及於後皆有驅之。「愛於來而惡於去」者,來則舍之,是愛於來也;去則射之,是惡於去也。)
  40. (자하역전 제8편 비)為天下王也,背之以來,皆吾人也。則可以安天下矣。獨守其中,而私其應,為衆所觀,非顯其私歟。疾其背,而愛其向也。則失其不來者矣。邑有家者也,私也,豈王者顯私也。偏其私,故邑人不誡,王所使之,然也。雖顯,其吉。正其位而尊也。
  41. (계사전 상 제3장) 원시반종(原始反終) 시작이 있는곳에 끝이 있다. 시작이 있기에 끝남이 있고 이로써 끝에서 새로운 시작이 시작된다.
  42. 小畜 風天 乾下巽上
  43. 履 天澤 兌下乾上
  44. 유인(幽人) 어지러운 세상을 피하여 조용한 곳에 숨어 사는 사람.
  45. 자연스러운것이 근본이고 그 뒤에 필요한 인위적인것이 온다. 또는 자연스러움이 근본이나 인위적인것도 필요하다.
  46. 띠풀을 뽑으니 연달아 나온다. 군자의 도가 길다는바이다. 상하가 뜻이 교류한다. 그 무리를 이루어 나아가니 길하다. 안을 떠나 밖으로 나간다. 뜻을 구하니 그 것을 이룬다.
  47. 붕당이 어찌 흥함의 연유이겠는가? 뜻이 그가운데있음이다. 그 다스림을 잃지않는다.
  48. 평피는 험이다. 가는바가 있어야 돌아오리라
  49. 그무리와 더불어 뜻을 함께한다. 펄럭인다함은 이웃과 마땅치않아 가벼이 일어나고 스스로 대비하나 경계하지 않음이다.
  50. 고요하고 억직로하는바가 없다.무위이다. 귀함에 처하는것은 복이 있다. 이치는 그 가운데에서 얻는다.
  51. 밑이 위가 시킨바를 행한다. 그 뜻이 통한다. 종래에 통할수없다는것은 명이 혼잡함이다.
  52. 천지의 도는 각각 그 경우를 지키나 상하가 서로 그 뜻이 통하지 않는다.
  53. 성인(聖人)이 그때를 몸으로 하는바이다. 그 행함이 이롭다. 천지가 서로 사귀지않음은 군자가 작녹으로 영달하지 않음이다. 대저 길흉은 움직임에서 나니 움직임이 그 시작 혹은 그 끝남이니 금할수없다.
  54. 유함이 순리중에서 행한다. 그 위를 오른다. 소인이 한때의 중심을 얻으니 고로 한때의 길함을 획득했다한다. 군자가 그 큰 중심을 얻는것이 당연하나 그렇지 못함이다. 위에서 감싸줄지못한다. 이또한 소인이 아닐수없다. 반드시 세상을 피해 세속을 달리한다. 비천함에 안위하고 명을 보전하면 그후에는 비록 비(否)라도 끝은 통한다.
  55. 양의 위에 음이 가서 처한바이다. 수치로 욕봄에 이른다.
  56. 위로는 지존에 가깝고 아래로는 그 백성을 의지한다. 전심전력을 다하니 근심한다. 여러번의 휴식도 아니한다. 이미 명을 맡은바이다. 천함으로 위를 섬기고 바름으로 아래에 솔선수범한다. 그뜻이 햄함을 얻으니 역시 또한 어찌 허물이겠는가? 누가 그복을 아름답다하는가? 이에 행복에 이르는것이다.
  57. 대인이라고 하는것은 존망의 도를 아는것이다. 무리와 소인(또는 여러 적은 무리들)이 나란히 나아가 비록 바름을 온전히할수있고 비록 위치가 존귀함을 얻어도 그 위망을 걱정한다. 순리로 쫓아가고 감히 힘으로하지않는다. 막힘의 때에 쉰다. 그도를 곤고히한다. 그위치가 정당하다. 물질이 오히려 높지않다. 고로 그 길함을 보전하고 끝내 그 뜻을 얻는다.
  58. 막히는바의 끝을 (그러하지못하게)막는다. 이것이 기운다의 의미이리라 종국이 극에달한즉 변한다. 어찌 장구할수있겠는가? 군자라함은 그극에당할수있는것이다. 고로 먼저 막힌다. 곤궁함이 극에 당하면 자연히 통하는것이다. 고로 후에 기쁘다는것이다.
  59. 동인(同人) - 동지(同志), 어떤 일에 뜻을 같이하여 모인 사람.
  60. (동인13육이)不能大同守宗獨應。失其于野之義,可惜也已。
  61. (동인13구사)其義固不克也。求之不得也。困而反其則矣。乃遇其吉也。
  62. (동인13상구)居其外也。已過其内,無與同者,患爭之,悔則免矣。求同無與,志何得也。
  63. (자하역전14대유)柔得大中之位,而上下歸焉,無有逺邇,皆大有之也(부드러움이 거대함을 이루어 줌심에 있다. 상하가 어찌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겠는가? 없기도 하고 있기도한것 멀기도 하고 가깝기도한것 이것 모두가 대유의 바이다.)
  64. (자하역전)明得其時,上無不容也。善者,道之大也,故揚之���惡者,道之小也,故遏之。上舉其善則惡止矣。君子順其時,美其命而已,故大有之也。(밝음은 때가 맞음이다. 위가 용납하지않음이 없다. 선하다. 도의 큰바이다. 고로 그것을 일으킨다. 악한것은 도의 작은바이다. 고로 그것을 다하게 한다. 위가 그선함을 드높인즉 악이 그치지않겠는가? 군자는 그때를 순응한다. 이로써 그 사명이 아름답다. 고로 대유의 바이다.)
  65. 대저 그 풍성함을 바���기마련이다 해로운물건이란 (이미)있는것을 구하는것이다. 이것이 해로움이 오는바일것이다. 이러한 해로움은 서로 사귄것이다. 이것을 멀리함이 어찌 허물이겠는가?
  66. (자하역전)非明辨者不能至也。可謂智矣。剛能處柔者也。(구별하여 밝히지 않음은 지극함에 이를수없으니 이를 가리켜 어찌 지혜롭다할수있겠는가? 강함은 능히 부드러움에 처할수있(어야한)다.)
  67. 자천우지(自天佑之) 천우자우자(天佑自佑者):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
  68. (稱物平施)저울이 균형을 찾는다. 또는 저울로 물질을 공평하게 베푼다.
  69. (자하역전)上雖應三,二近相與,故中心未得也。徒聲鳴而已。然正應無爭,辭謙無怨,是以外助也。分衆受命,纔堪征邑國而已,非不利者也。(고로 중심을 아직 얻지못했다. 무리가 소리내어 울부짓는다. 정정당당히 응하나 (아직) 부딪쳐 다투지는않는다. 사양하고 겸손하니 원망은 없다. 이것이 그밖의 것을 돕는다는것이다. 무리를 나누고 명을 받든다. 기본이 (탄탄하여)견디니 읍국을 (다만)취할뿐이다. 이롭지않은바가아니것이다.)
  70. (자하역전)初有上應,樂有得志也。夫君子之心,靜而自居。知得喪之終始,而不遷其正,故其樂不極,其憂不沮,何患之及哉。小人之始得志,誇其大而極其志,極而不及,於禍者無之。(초효(初爻)가 상효(上爻)에 응함이 있다는것은 음악이 뜻을 얻음이 있다는것이다. 대저 군자의 마음은 안정하여 스스로 온전하다. 시작한바가 마침에서 그뜻을 잃음을 알고있으니 그 바름을 옮기지 않는다. 고로 그 즐거움이 극으로 치닫지 않는다. 그 슬픔이 도탄에 빠지지않는다. 어떻게 그 미치는바를 근심하리요.)
  71. (자하역전)遲而後至,疑懼旅於衆也。是以悔矣。 (지체하여 나중에 이르른다. 의심하고 두려운체 무리에서 떨어져나오는것이다. 이것이 후회함인 것이다.
  72. (자하역전)處於豫外,不知時之豫,昧於豫之成也。何可長哉。變而知歸,得无咎矣. (예상밖에처하니 미리 그때를 알지못한다. 예측이 불확실한것이다. 어찌 길게가겠는가?)
  73. (자하역전17수)剛中正,動而説,利而正,夫何咎哉。
  74. (자하역전17수)雷下於澤之中也。雷隨於澤,澤隨於雷。君子得物之情,而隨正之。則物來隨已正也。何所憂哉。故嚮暮入宴息,安之時也。(군자가 물정을 헤아려 그 바른 이치를 쫓는 즉 물질이 (그 성질로 말미암아) 아주 정확히 따라온다. 어찌 근심인것인가? 고로 날이 저물어감을 보고서 편히쉬러 들어간다. 평안의 때인것이다.)
  75. (자하역전)따른다는것은 보는것에서 주(主)되니 이로써 변화에 응할수있는것이다. (따라야되는 상황인데)따르지 않으면 길하지않다. 따를 수(隨)가 그 본질을 잃는다. 역시 길하지않다.
  76. (자하역전)與二相得,出門交有功也。(둘이서 함께하여 서로 얻는바가있다. 문밖을 나서 서로 사귐에 공이있는바이다)
  77. (자하역전)不顧其應,與時相得,動説相與,得隨之宜。五體隨而不戀初,遇之而有交。故二无凶,吉之戒也。( 그 응함을 돌아보지않는다. 때와 더불어 서로 얻는다. 움직이니 기쁨이있어 서로함께한다. 수의 마땅함을 얻는다.)
  78. (자하역전)得三而附,有獲者,私擅其民,正之凶也。以隨之時,協隨之義,竭誠奉主,立功明道,皆上之有也。夫何咎哉。(획득한다라고하는것은 사사로이 그 백성을 멋대로 하는것이니 바러야하나 그 안에 잘못됨이 생긴것이다.(그러나) 따름의 때에서 따름의 의로 협동하고 주인을 섬기고 정성을 다하면 길을 밝히고 공을 세울수있다. 모두 그 위에달렸다. 대저 어찌 허물이겠는가? )
  79. 아름다울 가(嘉) 아름답다고 하는것은 감정의 근본이지만 한편 이러한 구별하는바는 지식을 얻는 근원이되어준다. 선함도 아름답다고 칭하고 진실됨도 아름답다고 칭하는 연유이다.
  80. (자하역전)剛德居尊,有應而不係,盡下之宜,大通者也。中正而保位,利而貞也。信向於隨之嘉吉,則下皆隨之矣。(강한덕이 귀하게거한다는것은 매이지않고 응한다는것이다. 아래의 마땅함이 진력을 다하는것이다 크게형통한것이다.중심이바르어(균형을 이룬다.) 위치가 (안정되어) 보장된다. 이롭고바르다 따름의 기쁨을 바라보니 믿음이 길하다.이런즉 아래 모든것이 그것을 따름이 마땅하다.)
  81. (자하역전)隨者,下而隨也。下而隨之乃治,非大正之義也。治誠而不隨,則以力制可也。六無附而保其上,守於險阻可拘之,乃從維之以力 而後 至服而通命於逺志,治也。(따른다고하는것은 아래가 따른다는것이다. 그 아래가 따르면 이내 다스려진다. 크게 바름의 의의가 될수없다. 다스림에 정성스러워도 따르지 않을수있다. 그런즉 힘으로서 제어할수있다. 육(六)은 붙음없이 그 상(上)을 보호하고 험저에서 지켜 그것을 구속할수있다. 힘으로써 이내 따르고 그것을 유지할수있다. 뜻은 멀리있으나 명은 통하여 나중에는 복종함에 이르게되는것이다. 다스림인것이다. )
  82. 갑(甲)은 제사(制事)의 머리이니 대저 입제(立制)이다. (자하역전-甲者,制事之首也。夫立制者,必先究前弊之由,察其中,要其終。故先三日,以原之,然後更之,今及其先,乃及其後。後甲三日之正,故能合其時,而當於人心也。殷因於夏,周因於殷,故為之改命,創制天下法也)
  83. 입제(立制)제도나 법률 따위를 세움
  84. (자하역전)專之故,小悔,終成其志,故无咎也。(단독의 연유로 후회는작으나 마침내 그뜻을 이룬까닭에 허믈은 없는것이다.)
  85. (자하역전)柔之位,而以柔處之,不能敏於事也。是寛其事而无成也。復命得乎,往見吝矣,終无功也。(유의 위치이니 유함으로써 그것에 처하니 일에 민첩할수없다. 이것이 그일에 관대하나 성취함이 없는바이다. 명을 이행하나 (무엇을) 얻겠는가? 가보아도 주저한다. 끝내 공이 없다.)
  86. (자하역전)柔非能幹蠱也。事必有主之者矣,用德而不勞於力,五之謂歟。居得中正,衆之所荷,用譽之謂也。(유는 충의 주된바일수없다. 일이라는것은 반드시 주된바가 있는것인데 덕을 씀고 힘을 쓰지않는것이다. 오효의것은 소위 '편안한기운'이다. 중정을 얻어 거하고 무리의 메이는바이다. 명예를 쓰는것이 소위 이것이다.)
  87. (자하역전)剛上者,主之尚也,令之源也。終其事而不享其利,以髙尚為事,可企而則也。不事王侯,可以尚之也。(-그일을 마침에 그이익을 누리지않는다 높임을 높임으로써 섬김을 다한다. 기대할수있고 본으로삼을수있는것이다. -)
  88. (자하역전19임)澤上有地,地取潤於澤。剛臨於柔,小人取,則於君子思其敎,周而无已也。則能保民安衆而應其无疆也
  89. (자하역전)四為我應,能感柔也。則制之自我矣。豈肆其志哉。感其從正者也。故得吉矣。
  90. (자하역전)四五皆應於陽,上為至順,亦歸而從之,逺而志於陽,厚於君子之道,順時知機,吉。又何咎哉。(군자의 길에 후하니 기미를 알고 때를 순응한다. 길하다. 또한 어찌 허물이겠는가? )
  91. (자하역전20관)當大觀之時,不能逺於所觀,而顧覬覦為正,施於女子,守正則可矣。君子之醜也。
  92. (자하역전)履極臣位,順而承上,為上之巽,國之光也。煥乎可觀,利於用也。為王者之上賔。
  93. (자하역전20관)履極臣位,順而承上,為上之巽,國之光也。煥乎可觀,利於用也。為王者之上賔。
  94. (자하역전)剛物在頤中,曰噬嗑。故噬而嗑之,其道乃通,刑以齊之者也。分剛於柔,分柔於剛,象交得其情也。動而明之義皆得於理也。雷震電照,威以明之,隱無不彰,果辨之也。柔上治之主也,雖不若剛徳,而運於無所用獄,而正之者也。
  95. (자하역전)屨校,以木禁足,如履屨也。罪其初過之小也,懲而戒之,校足没趾而已,其咎不行。小人福不至於大罪,戒為治者不可以不禁其微。
  96. (자하역전)噬而得位,物不敢抗,噬膚之易也。乘剛者恃其強也,不可以輕,輕則反為害矣。噬深而滅巳,然後免於咎,乃得於中也。
  97. 형구(刑具)-죄인의 특정 신체 부위를 구속하는 장치 또는 형벌을 가하거나 고문을 하는 데에 쓰는 여러 가지 기구.
  98. (자하역전)서합의 끝이다. 죄가 엄중하니 극형에 이른다. 고로 그 형구로 귀에 부하를 준다. 신체를 벌하는것이니 흉하다. (噬嗑之終,罪不可掩,至於極刑,故荷負其校以没於耳,凶滅身也。小人為過之初,皆知其然也。不虞咎,大而不可脱也,徒聞其言而不能辨其終也,故耳其没矣。聽之罪也。)
  99. (자하역전)剛而未位,獨立其志,不趨其應,不茍乎乘也。故飾其趾,將徒行也。其義豈乘哉。明其時之不可也。
  100. (자하역전)剛以得位,兩柔附之,賁然而有文。濡如而沃,其潤雖阻,他應履位,相保可以長守。其正則物不能凌而獲其吉。
  101. (자하역전)剥上於五,為剥之主,能得其中。上承于陽,反止羣小,羣小由之貫魚。寵以宫人,不害外正,何不利焉。則終無尤矣。(박괘는 초효부터 오효에까지 이르러 그 가운데를 얻었다. 이로써 상효 양에 올라 응한다. 이러한 박괘의 상은 물고기들을 한줄로 관통하여 꿰어맨듯하다. 집에서 물고리를 꿰는것은 집안사람들이 총애받는바이다. )
  102. (자하역전)冬至陽潛,動於地中也。帝王者,體化合乾,故至日閉關絶行。不務察事,以象潛之勿用與時之,更始也。
  103. (자하역전)陽生也,復於初也。修身之道,生非而復,復之不逺也。不適於邪也。得大吉矣。
  104. (자하역전)諸陰或復利仁,而行也。四自應之,安仁而適也。時有其復,異於上,下行能得中,復以至於道也。
  105. 무망(无妄) :천뢰(天雷) 무망이다. 하늘에서 천둥이 내려치니 내가 나를 성찰하는 때를 알게된다.
  106. 무망(无妄) : 망령(妄靈)되지않다는것은 허망하지않다는것이 아니다. (망령될뻔했으니 재수가 없었다는것인가? 그렇지않다) 재수가 없다는것도 아니다. (이것이 역(易)이 역(易)인바인것이다) 준비가있음에 족하다는것이다. 준비가 돼있으니 순리(順理)가 함께 순응할수있다. 순리가 함께하면 상대를 용서할수있고 상대를 용서하게되면 내가 나를 용서할수있게되는것이다. 망령되지않게되는것이다.
  107. (자하역전)係於三,咎也。居尊守卑,正以承上,得民不以為私,猶可固其所有,而免於咎。
  108. (자하역전)乘於剛,上於尊而又爭。應窮高極危,妄之甚也。復何往哉,無所利也。
  109. (자하역전)大畜之下體為上之畜履無位,應中安其所畜,故脱輿輹而不往任上之畜也,終無尤也。
  110. (자하역전)大畜,冀其成也。剛上也。為柔上之,佐時行道,止健而致於治也。既成而大通矣,於何往而不可哉。故上九曰何以為也。雖天衢而通也,可謂大行也已矣。
  111. (자하역전)頤貴其止於正也,雖下顚養而得位,靜止施而不求,故吉也。非無情也。止以待時,故視其所視,不眶盱也,非無欲也。義然後取,待逐安其所也。頤之吉雖顚而無咎也。
  112. (자하역전)陽艮主也,五附之而保其尊,三應之而保其至,頤之得養,由上止而成也。居位擅民,厲之道,得時可尚,故吉。而有慶也。剛以濟衆,何險之有乎,是以利涉也。
  113. (자하역전)過涉襄危之極,罪咎之地也。況以柔終乎。過涉之深,滅其頂,頂滅身之終也,於何而咎哉。
  114. 장군-배불룩하고 목좁은 아가리 질그릇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