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2022년 동계 올림픽 루지 남자 1인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2년 동계 올림픽
남자 1인승 루지

개최국 중화인민공화국
개최 도시 베이징
개최 기간 2월 5일~2월 6일
경기장 샤오하이퉈 봅슬레이 루지 트랙
참가국 21개국
참가 선수 34명
메달리스트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 2018
2026 »

2022년 동계 올림픽루지 남자 1인승 종목은 2022년 2월 5일2월 6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옌칭구 샤오하이퉈 봅슬레이 루지 트랙에서 진행됐다.[1] 독일의 요하네스 루트비히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본인의 개인 종목 첫 올림픽 우승이기도 하다.[2] 2위는 오스트리아의 볼프강 킨들이, 3위는 이탈리아의 도미니크 피슈날러가 차지했다. 킨들과 피슈날러는 이번이 첫 올림픽 메달 획득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디펜딩 챔피언은 다비트 글라이어셔로, 올림픽 직전 2021-22 루지 월드컵에서 10위에 올랐으며 이번 대회 출전권을 따냈다.[3] 지난 대회 은메달리스트인 크리스 매즈더도 출전권을 부여받았다. 동메달리스트 요하네스 루트비히는 2021-22 루지 월드컵에서 1위를 달리면서, 이번 대회의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혔다.[4] 같은 월드컵에서 볼프강 킨들이 2위, 2010년과 2014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펠릭스 로흐가 3위를 차지했다.

경기 결과 4차례의 시도 중 3차례에서 루트비히가 1위를 차지했으며, 그 중 두 기록은 트랙 레코드 기록을 경신했다. 킨들은 3차례에서 2위를 차지했고, 피슈날러 역시 3차례에서 3위를 차지했다.

예선

[편집]

이번 대회에서는 총 35명의 선수가 출전하며, 각 국가당 최대 3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올림픽 시즌 기간에 획득한 점수를 합산한 것을 기반으로 출전권이 부여되며, 기준은 2021년 7월 1일부터 2022년 1월 10일까지이다.

남자 1인승 종목에서는 상위 50위 이내에 든 선수와 그 국가에게 출전권이 부여된다. 최대 3명 제한으로 남게 된 출전권은 32위 이내에 든 국가 중 두번째로 좋은 기록을 낸 해당국 선수에게 돌아가며, 그 다음에도 남은 출전권은 세번째로 좋은 기록을 낸 해당국 선수에게 돌아간다.

2021년 12월 17일 국제루지연맹은 예선 일정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1차 월드컵에서 참가선수 훈련 기간이 바뀌어 장비가 제때 조달되지 못한 탓에 일정이 바뀌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월드컵 시즌 기간 동안 총 7차례의 경기 결과를 토대로 하던 것이 4차례의 경기만 토대로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5]

2022년 1월 19일, 국제루지연맹은 올림픽 출전 선수 명단을 최종 확정했다.[6]

출전 현황

[편집]
출전선수 총 출전권 국가
3 18 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라트비아
이탈리아
미국
2 2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1 15 캐나다
루마니아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
폴란드
영국
불가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체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조지아
일본
대한민국[a]
35 35
  1. 단체 계주 종목 참가로 인한 출전권 부여.

결과

[편집]

2월 5일 1-2차 시도, 2월 6일 3-4차 시도 경기가 치러지며, 총 네 차례의 기록을 합산하여 메달색이 가려진다.

순위 순서 이름 국가 1차 순위 2차 순위 3차 순위 4차 순위 합계 차이
1 4 요하네스 루트비히 독일 57.063 TR 1 57.438 2 57.043 TR 1 57.191 1 3:48.735
2 1 볼프강 킨들 오스트리아 57.110 2 57.430 1 57.117 2 57.238 2 3:48.895 +0.160
3 10 도미니크 피슈날러 이탈리아 57.361 3 57.444 3 57.461 5 57.420 3 3:49.686 +0.951
4 2 펠릭스 로흐 독일 57.383 5 57.500 4 57.510 7 57.485 6 3:49.878 +1.143
5 3 크리스테르스 아파료츠 라트비아 57.364 4 57.597 6 57.399 4 57.693 9 3:50.053 +1.318
6 5 막스 랑겐한 독일 57.606 9 57.536 5 57.521 8 57.429 4 3:50.092 +1.357
7 7 긴츠 베르진슈 라트비아 57.414 7 57.709 7 57.480 6 57.570 7 3:50.173 +1.438
8 18 크리스 매즈더 미국 57.780 10 58.039 9 57.779 10 57.779 10 3:51.377 +2.642
9 12 로만 레필로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57.594 8 58.679 16 57.714 9 57.647 8 3:51.634 +2.899
10 8 세묜 파블리첸코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57.786 11 58.115 10 57.955 13 57.793 11 3:51.649 +2.914
11 24 레온 펠더러 이탈리아 57.814 12 58.211 11 57.855 11 57.960 14 3:51.840 +3.105
12 6 니코 글라이어셔 오스트리아 59.110 27 58.351 14 57.370 3 57.452 5 3:52.283 +3.548
13 21 터커 웨스트 미국 58.079 15 57.831 8 58.534 21 57.916 13 3:52.360 +3.625
14 16 알렉산드르 고르바체비치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58.139 16 58.339 13 58.080 14 58.043 15 3:52.601 +3.866
15 11 다비트 글라이어셔 오스트리아 57.407 6 58.240 12 58.908 26 58.617 20 3:53.172 +4.437
16 22 알렉산더 펠라초 오스트레일리아 58.216 19 58.994 24 58.122 16 57.887 12 3:53.219 +4.484
17 14 리드 와츠 캐나다 58.049 14 59.071 25 58.108 15 58.065 16 3:53.293 +4.558
18 23 아르투르스 다르즈니엑스 라트비아 58.166 17 59.370 28 57.932 12 58.241 17 3:53.709 +4.974
19 19 조너선 거스터프슨 미국 57.845 13 59.330 27 58.496 20 58.275 18 3:53.946 +5.211
20 34 스반테 코할라 스웨덴 58.517 21 58.779 20 58.368 18 58.333 19 3:53.997 +5.262
21 15 요제프 니니스 슬로바키아 58.205 18 58.764 19 58.856 23 진출 실패 2:55.825 없음
22 20 안톤 두카치 우크라이나 58.873 25 58.726 18 58.408 19 2:56.007
23 26 루퍼트 스토딩어 영국 58.731 22 58.960 22 58.622 22 2:56.313
24 25 판둬야오 중화인민공화국 58.848 23 58.883 21 58.895 25 2:56.626
25 35 마테우시 소호비치 폴란드 58.863 24 59.196 26 58.867 24 2:56.926
26 32 마리안 스쿠페크 슬로바키아 58.956 26 58.976 23 59.051 27 2:56.983
27 13 안드리 만지 우크라이나 1:01.082 32 58.706 17 58.346 17 2:58.134
28 33 파벨 안겔로프 불가리아 59.555 29 59.753 29 59.545 29 2:58.853
29 17 발렌틴 크레추 루마니아 58.349 20 58.362 15 1:02.223 34 2:58.934
30 30 미하엘 레이세크 체코 59.542 28 59.945 31 1:00.080 32 2:59.567
31 27 사바 쿠마리타슈빌리 조지아 1:00.211 30 1:00.146 32 1:00.036 31 3:00.393
32 28 고바야시 세이야 일본 1:00.856 31 1:00.919 33 59.859 30 3:01.634
33 29 임남규 대한민국 1:02.438 34 59.794 30 59.538 28 3:01.770
34 31 미르자 니콜라예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01.667 33 1:02.507 34 1:01.175 33 3:05.349
9 케빈 피슈날러 이탈리아 기권

각주

[편집]
  1. Minji Seo (2021년 6월 16일). “Beijing 2022 Olympic Winter Games Competition Schedule Version 9” (PDF).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2. 단체종목에서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남자 계주 금메달을 따낸 적이 있다.
  3. “Olympic luge champion David Gleirscher buys the ticket for Beijing”. 《The Observatorial》. 2021년 12월 22일. 
  4. Reynolds, Tim (2022년 1월 13일). “Luge preview: A long, winding road took US to Beijing Games”. 《ABC news》. 
  5.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V Olympic Winter Games, Beijing 2022” (PDF). International Luge Federation. 2021년 12월 16일. 2021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6. “XXIV Olympic Winter Games 2022 in Beijing - Quota places luge” (PDF). 《www.fil-luge.org/》. International Luge Federation. 2022년 1월 19일. 2022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