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동계 올림픽 루지 남자 1인승
2022년 동계 올림픽 남자 1인승 루지 | ||||||||||
---|---|---|---|---|---|---|---|---|---|---|
개최국 | 중화인민공화국 | |||||||||
개최 도시 | 베이징 | |||||||||
개최 기간 | 2월 5일~2월 6일 | |||||||||
경기장 | 샤오하이퉈 봅슬레이 루지 트랙 | |||||||||
참가국 | 21개국 | |||||||||
참가 선수 | 34명 | |||||||||
메달리스트 | ||||||||||
| ||||||||||
« 2018 2026 » |
2022년 동계 올림픽 루지 |
2022년 동계 올림픽의 루지 남자 1인승 종목은 2022년 2월 5일과 2월 6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옌칭구 샤오하이퉈 봅슬레이 루지 트랙에서 진행됐다.[1] 독일의 요하네스 루트비히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본인의 개인 종목 첫 올림픽 우승이기도 하다.[2] 2위는 오스트리아의 볼프강 킨들이, 3위는 이탈리아의 도미니크 피슈날러가 차지했다. 킨들과 피슈날러는 이번이 첫 올림픽 메달 획득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디펜딩 챔피언은 다비트 글라이어셔로, 올림픽 직전 2021-22 루지 월드컵에서 10위에 올랐으며 이번 대회 출전권을 따냈다.[3] 지난 대회 은메달리스트인 크리스 매즈더도 출전권을 부여받았다. 동메달리스트 요하네스 루트비히는 2021-22 루지 월드컵에서 1위를 달리면서, 이번 대회의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혔다.[4] 같은 월드컵에서 볼프강 킨들이 2위, 2010년과 2014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펠릭스 로흐가 3위를 차지했다.
경기 결과 4차례의 시도 중 3차례에서 루트비히가 1위를 차지했으며, 그 중 두 기록은 트랙 레코드 기록을 경신했다. 킨들은 3차례에서 2위를 차지했고, 피슈날러 역시 3차례에서 3위를 차지했다.
예선
[편집]이번 대회에서는 총 35명의 선수가 출전하며, 각 국가당 최대 3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올림픽 시즌 기간에 획득한 점수를 합산한 것을 기반으로 출전권이 부여되며, 기준은 2021년 7월 1일부터 2022년 1월 10일까지이다.
남자 1인승 종목에서는 상위 50위 이내에 든 선수와 그 국가에게 출전권이 부여된다. 최대 3명 제한으로 남게 된 출전권은 32위 이내에 든 국가 중 두번째로 좋은 기록을 낸 해당국 선수에게 돌아가며, 그 다음에도 남은 출전권은 세번째로 좋은 기록을 낸 해당국 선수에게 돌아간다.
2021년 12월 17일 국제루지연맹은 예선 일정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1차 월드컵에서 참가선수 훈련 기간이 바뀌어 장비가 제때 조달되지 못한 탓에 일정이 바뀌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월드컵 시즌 기간 동안 총 7차례의 경기 결과를 토대로 하던 것이 4차례의 경기만 토대로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5]
2022년 1월 19일, 국제루지연맹은 올림픽 출전 선수 명단을 최종 확정했다.[6]
출전 현황
[편집]출전선수 | 총 출전권 | 국가 |
---|---|---|
3 | 18 | 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라트비아 이탈리아 미국 |
2 | 2 |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
1 | 15 | 캐나다 루마니아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 폴란드 영국 불가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체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조지아 일본 대한민국[a] |
35 | 35 |
- ↑ 단체 계주 종목 참가로 인한 출전권 부여.
결과
[편집]2월 5일 1-2차 시도, 2월 6일 3-4차 시도 경기가 치러지며, 총 네 차례의 기록을 합산하여 메달색이 가려진다.
순위 | 순서 | 이름 | 국가 | 1차 | 순위 | 2차 | 순위 | 3차 | 순위 | 4차 | 순위 | 합계 | 차이 |
---|---|---|---|---|---|---|---|---|---|---|---|---|---|
4 | 요하네스 루트비히 | 독일 | 57.063 TR | 1 | 57.438 | 2 | 57.043 TR | 1 | 57.191 | 1 | 3:48.735 | ||
1 | 볼프강 킨들 | 오스트리아 | 57.110 | 2 | 57.430 | 1 | 57.117 | 2 | 57.238 | 2 | 3:48.895 | +0.160 | |
10 | 도미니크 피슈날러 | 이탈리아 | 57.361 | 3 | 57.444 | 3 | 57.461 | 5 | 57.420 | 3 | 3:49.686 | +0.951 | |
4 | 2 | 펠릭스 로흐 | 독일 | 57.383 | 5 | 57.500 | 4 | 57.510 | 7 | 57.485 | 6 | 3:49.878 | +1.143 |
5 | 3 | 크리스테르스 아파료츠 | 라트비아 | 57.364 | 4 | 57.597 | 6 | 57.399 | 4 | 57.693 | 9 | 3:50.053 | +1.318 |
6 | 5 | 막스 랑겐한 | 독일 | 57.606 | 9 | 57.536 | 5 | 57.521 | 8 | 57.429 | 4 | 3:50.092 | +1.357 |
7 | 7 | 긴츠 베르진슈 | 라트비아 | 57.414 | 7 | 57.709 | 7 | 57.480 | 6 | 57.570 | 7 | 3:50.173 | +1.438 |
8 | 18 | 크리스 매즈더 | 미국 | 57.780 | 10 | 58.039 | 9 | 57.779 | 10 | 57.779 | 10 | 3:51.377 | +2.642 |
9 | 12 | 로만 레필로프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57.594 | 8 | 58.679 | 16 | 57.714 | 9 | 57.647 | 8 | 3:51.634 | +2.899 |
10 | 8 | 세묜 파블리첸코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57.786 | 11 | 58.115 | 10 | 57.955 | 13 | 57.793 | 11 | 3:51.649 | +2.914 |
11 | 24 | 레온 펠더러 | 이탈리아 | 57.814 | 12 | 58.211 | 11 | 57.855 | 11 | 57.960 | 14 | 3:51.840 | +3.105 |
12 | 6 | 니코 글라이어셔 | 오스트리아 | 59.110 | 27 | 58.351 | 14 | 57.370 | 3 | 57.452 | 5 | 3:52.283 | +3.548 |
13 | 21 | 터커 웨스트 | 미국 | 58.079 | 15 | 57.831 | 8 | 58.534 | 21 | 57.916 | 13 | 3:52.360 | +3.625 |
14 | 16 | 알렉산드르 고르바체비치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58.139 | 16 | 58.339 | 13 | 58.080 | 14 | 58.043 | 15 | 3:52.601 | +3.866 |
15 | 11 | 다비트 글라이어셔 | 오스트리아 | 57.407 | 6 | 58.240 | 12 | 58.908 | 26 | 58.617 | 20 | 3:53.172 | +4.437 |
16 | 22 | 알렉산더 펠라초 | 오스트레일리아 | 58.216 | 19 | 58.994 | 24 | 58.122 | 16 | 57.887 | 12 | 3:53.219 | +4.484 |
17 | 14 | 리드 와츠 | 캐나다 | 58.049 | 14 | 59.071 | 25 | 58.108 | 15 | 58.065 | 16 | 3:53.293 | +4.558 |
18 | 23 | 아르투르스 다르즈니엑스 | 라트비아 | 58.166 | 17 | 59.370 | 28 | 57.932 | 12 | 58.241 | 17 | 3:53.709 | +4.974 |
19 | 19 | 조너선 거스터프슨 | 미국 | 57.845 | 13 | 59.330 | 27 | 58.496 | 20 | 58.275 | 18 | 3:53.946 | +5.211 |
20 | 34 | 스반테 코할라 | 스웨덴 | 58.517 | 21 | 58.779 | 20 | 58.368 | 18 | 58.333 | 19 | 3:53.997 | +5.262 |
21 | 15 | 요제프 니니스 | 슬로바키아 | 58.205 | 18 | 58.764 | 19 | 58.856 | 23 | 진출 실패 | 2:55.825 | 없음 | |
22 | 20 | 안톤 두카치 | 우크라이나 | 58.873 | 25 | 58.726 | 18 | 58.408 | 19 | 2:56.007 | |||
23 | 26 | 루퍼트 스토딩어 | 영국 | 58.731 | 22 | 58.960 | 22 | 58.622 | 22 | 2:56.313 | |||
24 | 25 | 판둬야오 | 중화인민공화국 | 58.848 | 23 | 58.883 | 21 | 58.895 | 25 | 2:56.626 | |||
25 | 35 | 마테우시 소호비치 | 폴란드 | 58.863 | 24 | 59.196 | 26 | 58.867 | 24 | 2:56.926 | |||
26 | 32 | 마리안 스쿠페크 | 슬로바키아 | 58.956 | 26 | 58.976 | 23 | 59.051 | 27 | 2:56.983 | |||
27 | 13 | 안드리 만지 | 우크라이나 | 1:01.082 | 32 | 58.706 | 17 | 58.346 | 17 | 2:58.134 | |||
28 | 33 | 파벨 안겔로프 | 불가리아 | 59.555 | 29 | 59.753 | 29 | 59.545 | 29 | 2:58.853 | |||
29 | 17 | 발렌틴 크레추 | 루마니아 | 58.349 | 20 | 58.362 | 15 | 1:02.223 | 34 | 2:58.934 | |||
30 | 30 | 미하엘 레이세크 | 체코 | 59.542 | 28 | 59.945 | 31 | 1:00.080 | 32 | 2:59.567 | |||
31 | 27 | 사바 쿠마리타슈빌리 | 조지아 | 1:00.211 | 30 | 1:00.146 | 32 | 1:00.036 | 31 | 3:00.393 | |||
32 | 28 | 고바야시 세이야 | 일본 | 1:00.856 | 31 | 1:00.919 | 33 | 59.859 | 30 | 3:01.634 | |||
33 | 29 | 임남규 | 대한민국 | 1:02.438 | 34 | 59.794 | 30 | 59.538 | 28 | 3:01.770 | |||
34 | 31 | 미르자 니콜라예브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01.667 | 33 | 1:02.507 | 34 | 1:01.175 | 33 | 3:05.349 | |||
9 | 케빈 피슈날러 | 이탈리아 | 기권 |
각주
[편집]- ↑ Minji Seo (2021년 6월 16일). “Beijing 2022 Olympic Winter Games Competition Schedule Version 9” (PDF).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단체종목에서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남자 계주 금메달을 따낸 적이 있다.
- ↑ “Olympic luge champion David Gleirscher buys the ticket for Beijing”. 《The Observatorial》. 2021년 12월 22일.
- ↑ Reynolds, Tim (2022년 1월 13일). “Luge preview: A long, winding road took US to Beijing Games”. 《ABC news》.
- ↑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V Olympic Winter Games, Beijing 2022” (PDF). International Luge Federation. 2021년 12월 16일. 2021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 “XXIV Olympic Winter Games 2022 in Beijing - Quota places luge” (PDF). 《www.fil-luge.org/》. International Luge Federation. 2022년 1월 19일. 2022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