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해주 최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주 최씨
海州崔氏
해주 최씨의 종문.
나라한국
관향황해남도 해주시
시조최온(崔溫)
원시조소벌도리
집성촌황해도 해주시
충청남도 당진시
전라남도 화순군
전라남도 영암군
주요 인물최충, 최유선, 최유길, 최사제, 최사추, 최사량, 최약, 최용, 최윤의, 숙비 최씨, 최자, 최홍윤, 최춘명, 최유엄, 최안도, 최유, 최관, 최만리, 최호, 최황, 최경회, 최경창, 숙빈 최씨, 최규서, 최승희, 최덕신, 최상업, 최명헌, 최덕인, 최창윤, 최불암, 최한수, 최기선, 최창근, 최기산, 최종찬, 최정운, 최석식, 최재형, 최상목
인구(2015년)201,625명
비고해주 최씨 대종회

해주 최씨(海州崔氏)는 황해남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해주 아전 최온(崔溫)의 아들 최충(崔冲)이 1005년(고려 목종 8)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수태사(守太師) 겸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내사령(內史令)에 이르렀다.

역사

[편집]

해주 최씨(海州 崔氏)의 시조 최온(崔溫)은 고려 초기 해주의 목민관(牧民官)으로 선정을 베풀었으며, 후에 판이부사(判吏部事)에 이르렀다. 그 선조들이 누대에 걸쳐 해주(海州) 대녕군(大寧郡)에 세거하여 해주(海州)를 본관으로 삼았다.

최온의 아들 최충(崔沖)이 1005년(목종 8)에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수태사(守太師) 겸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내사령(內史令)에 이르렀으며, 문종 때 구재학당(九齋學堂)이라는 사학을 건립하여 인재들을 길러내어 해동공자로 추앙받는다.[1]

2세 최충(崔沖)

3세 최유선(崔惟善)과 4세 최사추(崔思諏)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고, 6세손 최윤의(崔允儀)는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50권)을 편찬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8명을 배출하였다. 조선 세종 때의 학자이자 청백리인 최만리(崔萬理),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에서 순절한 최경회(崔慶會) 등이 있고,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최규서(崔奎瑞)가 종묘에 배향되었다.

인물

[편집]
  • 최충(崔冲, 984년 ~ 1068년) : 해주의 아전 최온(崔溫)의 아들. 고려 목종(穆宗)조에 과거에 갑과로 급제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수태사(守太師) 겸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내사령(內史令)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 최유선(崔惟善, ? ~ 1075년) : 최충의 아들. 고려 현종(顯宗)조에 과거에 을과로 급제하고, 벼슬이 중서령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화(文和)이다.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하였다.
  • 최유길(崔惟吉) : 최유선의 아우. 수사공 섭상서령(守司空攝尙書令)을 지냈다.
  • 최사제(崔思齊, ? ~ 1091년) : 최유선의 아들. 고려 문종조에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문하시랑 판이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양평(良平)이다.
  • 최사추(崔思諏, 1036년 ~ 1115년) : 최충의 손자. 고려 문종조에 과거에 합격하여 숙종(肅宗)조에는 문하시중에 임명되고, 수태사 중서령에까지 이르렀다.
  • 최사량(崔思諒, ? ~ 1092년) : 18세 과거에 합격하여 고려 문종조에 공부시랑검교태사를 거쳐 좌복야 참지정사에까지 승진되었다. 시호는 강경(康敬)이다.
  • 최약(崔瀹) : 최사제의 아들. 고려 예종(睿宗)조에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예부상서 한림학사에 이르렀다.
  • 최윤의(崔允儀, 1102년 ~ 1162년) : 최충의 현손.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문하시랑 평장사 판이부사에 이르렀다. 《고금상정례(古今詳定禮)》 50권을 편찬하였으며, 의종(毅宗)의 묘정에 배향하였다.
  • 최자(崔滋, 1188년 ~ 1260년) : 고려 강종(康宗)조에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수태사 문하시랑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 최홍윤(崔弘胤, 1153년 ~ 1229년) :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문하시랑 평장사 수문전대제학에 이르렀다. 시호는 경문(景文)이다.
  • 최춘명(崔椿命, ? ~ 1250년) : 고려 고종조에 자주 부사(慈州副使)에 임명되었으며 벼슬이 추밀원부사에 이르렀다.
  • 최유엄(崔有渰, 1239년 ~ 1331년) : 최자의 아들. 충렬왕(忠烈王)조에 도첨의 찬성사를 역임하고, 벼슬이 정승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 최함(崔諴) :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중서시랑 평장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 최만리(崔萬理, ? ~ 1445년) : 최충(崔沖)의 12대손. 아버지는 최하(崔荷)이고, 어머니는 충주 지씨(忠州池氏)로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지용수(池龍壽)의 딸이다. 1419년(세종 1)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부제학을 지냈고, 세종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하였다.
  • 최황(崔滉, 1529년 ~ 1603년) :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90년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평난(平難)·광국(光國) 공신에 각각 3등으로 녹훈되고 해성군(海城君)에 봉해졌다.
  • 최경창(崔慶昌, 1539년 ~ 1583년) : 1568년(선조 1)에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1575년(선조 8)에 사간원정언에 올랐고, 대동도찰방(大同道察訪)과 종성부사(鍾城府使)를 지냈다.
  • 최규서(崔奎瑞, 1650년 ~ 1735년) : 1680년(숙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1723년 영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본관

[편집]

해주(海州)는 황해도 해주시의 지명이다. 고조선 시대에 고죽(孤竹)으로 불렸다. 본래 고구려의 내미홀군(內未忽郡)이다. 748년(신라 경덕왕 7) 폭지군(瀑池郡)으로 고쳤고, 936년(고려 태조 19) 남쪽으로 큰 바다에 임하였다고 하여 태조가 해주를 사명(賜名)했으며, 983년(성종 2)에 해주목으로 승격되었다. 1018년(현종 9)에 안서도호부로 개편되었고 예종(睿宗) 때 대도호부로 승격하였다. 1247년(고종 34)년에 다시 해주목으로 환원되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지역이 넓고 백성이 많으며, 관서(關西)의 큰 주로 최씨(崔氏), 정씨(鄭氏), 오씨(吳氏), 경씨(景氏) 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896년 황해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54년 북한의 관제 정비로 황해남도의 도 소재지가 되었다.

분파

[편집]
  • 교리공파(校理公派) - 최린
  • 사정공파(司正公派) - 최상기
  •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 최하
  • 문정공파(文貞公派) - 최숙
  • 집의공파(執義公派) - 최승순
  • 대녕군파(大寧君派) - 최단
  • 서운부정공파(書雲副正公派) - 최용
  • 전서공파(典書公派) - 최용기
  • 판사복시공파(判司僕寺公派) - 최용
  • 전한공파(典翰公派) - 최연
  • 진사공파(進士公派) - 최온
  • 생원공파(生員公派) - 최당
  • 좌랑공파(佐郞公派) - 최정
  • 현감공파(縣監公派) - 최각
  • 현감공만현파(縣監公派) - 최만현
  • 승지공파(承旨公派) - 최윤범
  • 진사공윤망파(進士公派) - 최윤망
  •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 최효종
  • 진사공윤탁파(進士公派) - 최윤탁
  • 좌윤공파(左尹公派) - 최안덕
  • 감찰공파(監察公派) - 최중습
  • 사평공파(司評公派) - 최제
  • 소윤공파(少尹公派) - 최덕해
  • 전서공하파(典書公派) - 최하
  • 해릉군파(海陵君派) - 최빈
  • 현감공우파(縣監公派) - 최우
  • 복야공파(僕射公派) - 최부

분관

[편집]
  • 용주 최씨(龍州 崔氏) 시조(始祖) 최광(崔光)이 고려시대에 용주부호장(副戶長)을 지냈다.
  • 청송 최씨(靑松 崔氏) 시조(始祖) 최세걸(崔世傑)은 통훈대부(通訓大夫)를 지내고 후에 어희장군(禦侮將軍)에 추증(追增)되었다.
  • 아산 최씨(牙山 崔氏) 시조(始祖) 최예립(崔禮立)은 해주최씨(海州崔氏) 시조 최온(崔溫)의 21세손으로 조선시대 사과(司果)를 지내고 선대(先代)부터 대대로 살아온 아산(牙山)에서 정주(定州)로 이주하였다.
  • 용궁 최씨(龍宮 崔氏) 시조(始祖) 최현(玄崔)은 고려 조에 평리부밀직사사(評理府密直司使)를 역임하였다.
  • 나주 최씨(羅州 崔氏) 시조(始祖) 최택(崔澤)은 조선 조에 예문관응교(藝文官應校)를 역임하였다.

항렬자

[편집]
  • 사정공파(司正公派) - 최상기(崔尙淇)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홍(鴻) 口직(稷) 병(丙) 口규(圭) 종(鍾) 口태(泰) 지(智) 口인(仁) 용(勇) 口신(信) 의(義) 口일(一) 춘(春) 口하(夏) 정(廷) 口상(商) 임(壬) 口원(元) 형(亨) 口기(起) 경(庚) 口규(揆) 진(震)
  • 현감공(각)파(縣監公(塙)派) - 최각(崔塙)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口석(錫)
봉(鳳)
口순(淳) 병(秉)
口현(鉉)
口섭(燮)
口현(炫)
재(在)
口식(植)
口호(鎬) 태(泰)
중(重)
口수(秀)
口선(善)
영(榮)
강(康)
口준(埈)
口종(種)
종(鍾)
용(容)
口영(泳)
口기(基)
동(東)
석(錫)
口훈(焄)
口호(浩)
규(圭)
주(柱)
口옥(鈺)
口희(熙)
연(演)
치(致)
口모(模)
口진(鎭)
희(熙)
원(源)
口균(均)
口영(榮)
현(鉉)
현(炫)
口철(澈)
口규(圭)
  • ���랑공파(佐郞公派) - 최정(崔埥)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口환(煥)
口형(炯)
재(載)
재(在)
동(東)
口석(錫)
口현(鉉)
口섭(燮)
口부(溥)
승(承)
재(在)
병(秉)
口식(植)
口현(鉉)
口섭(燮)
광(光)
口순(淳)
재(在)
口수(壽)
영(榮)
口호(鎬)
진(鎭)
口환(煥)
태(泰)
口구(求)
기(基)
口수(秀)
종(種)
口종(鐘)
영(榮)
口용(容)
청(淸)
口중(重)
치(致)
口백(栢)
종(鐘)
口석(錫)
영(煐)
口영(泳)
순(淳)
口균(均)
동(東)
口근(根)
은(銀)
口현(炫)
병(炳)
口용(容)
규(圭)
口배(培)
계(桂)
口옥(鈺)
종(鍾)
口욱(煜)
연(演)
口한(漢)
성(城)
口모(模)
상(相)
口황(鎤)
희(熙)
口영(榮)
하(河)
口균(均)
기(基)
口주(柱)
현(鉉)
口일(鎰)
희(熙)
口철(澈)
  • 생원공파(生員公派) - 최당(崔塘)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口환(煥) 성(聖)
수(秀)
口석(錫) 원(源)
병(秉)
口주(柱)
口섭(燮)
찬(燦)
재(在)
口규(圭)
口진(鎭)
진(鎭)
수(洙)
口택(澤)
口식(植)
근(根)
휴(烋)
열(烈)
규(圭)
지(址)
문(文)
口현(鉉)
口운(雲)
순(淳)
영(榮)
口영(榮)
口환(煥)
현(炫)
규(奎)
口기(基)
口현(鉉)
호(鎬)
태(泰)
口승(承)
口직(稙)
병(秉)
남(南)
口섭(燮)
口재(載)
철(喆)
종(鍾)
口용(鏞)
口수(洙)
  • 진사공(은)파(進士公(垠)派) - 최은(崔垠)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口호(鎬)
영(永)
영(永)
口부(溥)
口림(林)
口식(植)
병(炳)
형(炯)
口환(煥)
口재(在)
口규(奎)
口규(圭)
종(鍾)
현(鉉)
口호(浩)
口태(泰)
석(晳)
병(秉)
동(東)
口열(烈)
口현(炫)
口열(烈)
재(栽)
중(重)
치(致)
口한(釬)
口종(鍾)
口흠(欽)
태(泰)
원(源)
청(淸)
口근(根)
口주(柱)
口근(根)
용(熔)
병(炳)
봉(峰)
口균(均)
口배(培)
口재(在)
용(鏞)
진(鎭)
용(鏞)
口용(湧)
口철(澈)
口영(泳)
상(相)
상(相)
병(柄)
口희(熙)
口걸(杰)
口희(熙)
규(奎)
균(均)
진(珍)
口황(鍠)
口옥(鈺)
口연(鍊)
종(淙)
승(承)
용(溶)
口영(榮)
  • 전한공파(典翰公派) - 최연(崔堧)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옥(玉) 口석(錫) 口부(溥) 병(秉) 口섭(燮) 재(在) 口호(鎬) 태(泰) 口수(秀) 영(榮) 口중(重) 종(鍾) 口영(泳) 동(東) 口현(炫) 규(圭) 口옥(鈺) 연(演) 口모(模) 희(熙) 口균(均) 현(鉉) 口철(澈)
  • 교리공파(校理公派) - 최린(崔璘)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口한(翰)
동(東)
영(永) 口근(根) 병(炳)
형(炯)
찬(燦)
口기(基)
口준(埈)
口균(均)
용(鎔)
석(錫)
종(鍾)
口순(淳)
口원(源)
口철(澈)
상(相)
권(權)
근(槿)
口환(煥)
口열(烈)
口욱(煜)
재(在)
규(圭)
중(重)
口호(鎬)
口현(鉉)
口연(鍊)
태(泰)
홍(洪)
하(河)
口모(模)
口식(植)
口환(桓)
경(炅)
영(煐)
충(沖)
口곤(坤)
口배(培)
口은(垠)
진(鎭)
용(鏞)
명(銘)
口택(澤)
口구(求)
口수(洙)
주(柱)
병(秉)
수(秀)
口희(熙)
口현(炫)
口섭(燮)
치(致)
요(堯)
경(坰)
口선(善)
口옥(鈺)
口선(銑)
승(承)
한(漢)
만(滿)
口표(杓)
口직(稙)
口림(林)
  •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 최하(崔河)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口원(元) 정(貞)
응(應)
口범(範) 명(明)
대(大)
형(亨)
국(國)
준(俊)
호(鎬)
인(仁) 口호(鎬) 태(泰) 口수(秀) 영(營) 口중(重) 종(鍾) 口영(泳) 동(東) 口현(炫) 규(圭) 口옥(鈺) 인(寅) 口모(模) 희(熙) 口균(均) 현(鉉) 口철(澈)
  • 문정공파(文貞公派) - 최숙(崔淑)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석(錫) 口순(淳)
口부(溥)
병(秉) 口섭(燮) 재(在) 口호(鎬) 제(濟) 口수(秀) 영(榮) 口중(重) 종(鍾) 口영(泳) 동(東) 口현(炫) 규(圭) 口진(鎭) 연(演) 口모(模) 형(炯) 口배(培) 현(鉉) 口원(源)
  • 집의공파(執義公派) - 최승순(崔承順)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종(鍾) 口부(溥) 병(秉) 口훈(勳) 재(在) 口석(錫) 해(海) 口식(植) 우(禹) 口기(基) 용(鎔) 口택(澤) 영(榮) 口희(熙) 규(圭) 口은(銀) 한(漢) 口모(模) 형(炯) 口균(均) 현(鉉) 口철(澈)

왕실과의 인척관계

[편집]

고려

[편집]

조선

[편집]

집성촌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