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국어의 고유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어의 고유어(韓國語의 固有語)는 다른 명칭으로 순우리말은 한국어 어휘 중 한자어외래어를 제외한 고유의 말이다. 토박이말, 탯말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고유어가 한글로만 표기된다고 해서 '한글 낱말' 또는 '한글'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으나, 이는 언어와 문자의 차이를 혼동한 것이다. 현재 서울특별시의 동(洞)명 중 일부와 세종특별자치시의 동명 전부는 고유어이다. 대한민국의 고유어 지명은 '서울'까지 포함한다.

음운론적 특징

[편집]

한국어에는 어두에 올 수 있는 음운이 제한되는 두음법칙이 있다. 예를 들어 어두에 [r], [l] 음이 오는 것을 한국어의 고유어에서는 피한다. 이것은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이 가진 특징으로, 한국어가 알타이어에 속한다고 보는 한국어 알타이어족설의 이론적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 다만 고유어 외에 한국어에 수용된 지 오래된 한자어 어휘들은 홀로 쓰이거나 어중에서는 [r] 소리를 내지만, 단어 속에서 어두에 올 때는 두음법칙의 적용을 받아 다른 소리로 바뀐다. 이것은 대한민국의 표준어에 적용되는 법칙이며, 북조선의 문화어에서는 두음법칙을 무시하고 어두에서도 ㄹ 소리를 적고 그대로 발음한다. 또, 유럽어에서 온 외래어들도 오래된 외래어나 초기 외래어 수용 때에는 남포(←lampo), 나디오(←radio)처럼 두음법칙에 의해 변음되었으나 외래어와의 접촉이 지속됨으로써 지금은 외래어의 어두 ㄹ 소리를 모두 수용하고 있다.

표기

[편집]

현대 한국어에서 고유어는 기본적으로 한글로 표기된다.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는 이두, 향찰 등을 이용해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고유어를 표기하였다.

의미 분화

[편집]

한자어의 유입으로, 비슷한 의미를 지닌 고유어와 한자어 사이에 세세한 의미의 차이를 갖는 단어의 쌍이 생기게 되었다. 대부분 고유어 쪽이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의미를 띠

같이 보기

[편집]
한자어 고유어
의미(意味)
시선(視線) 눈길
면(麵) 국수
상측(上側) 위쪽
하측(下側) 아래쪽
좌측(左側) 왼쪽
우측(右側) 오른쪽
승강장(乘降場) 타는 곳
국가(國家) 나라
이유(理由) 까닭
계란(鷄卵) 달걀
가사(歌詞) 노랫말
질문(質問) 물음
혜성(彗星) 꼬리별
봉밀(蜂蜜) 벌꿀
왕(王) 임금
지혜(智慧·知慧) 슬기
수도(首都) 서울
폭(幅) 너비
삼각(三角) 세모(난)
사각(四角) 네모(난)
죄(罪) 허물
신장(身長)
체���(體重) 몸무게
속도(速度) 빠르기
집합(集合) 모임
도로(道路)
백조(白鳥) 고니
자음(子音) 닿소리
모음(母音) 홀소리
비교(比較)하다. 견주다.
언어(言語)
민족(民族) 겨레
도검(刀劍)
질투(嫉妬) 강샘
귀신(鬼神)·신(神)
편지(便紙 ) 글월
산(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