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화 텅스텐
이름 | |
---|---|
IUPAC 이름
Tungsten carbide
| |
별칭
Tungsten(IV) carbide
Tungsten tetracarbid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31.918 |
EC 번호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UN 번호 | 3178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WC | |
몰 질량 | 195.85 g·mol−1 |
겉보기 | Grey-black lustrous solid |
밀도 | 15.63 g/cm3[1] |
녹는점 | 2,785–2,830 °C (5,045–5,126 °F; 3,058–3,103 K)[3][2] |
끓는점 | 6,000 °C (10,830 °F; 6,270 K) at 760 mmHg[2] |
Insoluble | |
용해도 | Soluble in HNO 3, HF[3] |
자화율 (χ)
|
1·10−5 cm3/mol[3] |
열전도율 | 110 W/(m·K)[4] |
구조 | |
Hexagonal, hP2[5] | |
P6m2, No. 187[5] | |
6m2[5] | |
a = 2.906 Å, c = 2.837 Å[5] α = 90°, β = 90°, γ = 120°
| |
Trigonal prismatic (center at C)[6] | |
열화학 | |
열용량 (C)
|
39.8 J/(mol·K)[4] |
표준 몰 엔트로피 (S
|
32.1 J/mol·K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음이온
|
Tungsten boride Tungsten nitride |
다른 양이온
|
Molybdenum carbide Titanium carbide Silicon carbid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탄화 텅스텐(Tungsten carbide, WC)은 강회색의 빛깔을 띠는 강인하고 단단한 물질이다.
제조
[편집]탄화텅스텐은 일반적으로 탄소 분말과 텅스텐 분말을 1400~1600℃에서 반응시켜 분말상태로 얻어낸다. 다른 방법으로는 삼산화텅스텐을 900~1200℃에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기체와 반응시켜 얻어내는 것과 육염화텅스텐을 670℃에서 수소와 메탄의 혼합물과 반응시켜 얻어내는 방법과, 그리고 육플루오린화텅스텐을 350℃에서 수소와 메탄올의 혼합기체와 반응시키는 것이 있다.
화학적 성질
[편집]탄화텅스텐은 화학적으로 대단히 안정하여 물과 수소와 반응하지 않는다. 내산성이 뛰어나 대부분의 산과 반응하지 않지만 플루오르화수소산에는 침식된다. 플루오린과는 상온에서 반응하고 염소와 400℃이상에서 반응한다.
물리적 성질
[편집]탄화텅스텐은 녹는점이 2870℃로 높아 내열성이 뛰어나다. 내마모성과 압축강도가 높고 경도 또한 커서, 모스 경도는 무려 9~9.5정도에 해당하며 비커스 경도는 1400~2400정도의 수치를 나타내고 로크웰 경도계로는 90정도의 수치를 기록한다. 영의 계수는 550Gpa이고, 부피탄성계수는 439Gpa, 전단탄성계수는 270Gpa이다.
구조
[편집]탄화텅스텐은 상온에서 육방정계의 구조를 가지고, 고온에서는 입방정계가 된다.
용도
[편집]얻어낸 탄화텅스텐 분말은 대개 코발트 분말과 혼합하여 1400℃에서 압축 성형한 후 소결시켜 초경합금을 만든다. 초경합금은 경도와 내열성이 고속도강보다 월등히 뛰어나 절삭공구로 많이 사용된다. 탄화텅스텐은 경도가 높아 연마제나 반지의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또한 내산성이 커서 볼펜볼로 만들기도 한다.
각주
[편집]- ↑ “보관된 사본”. 2012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Pohanish, Richard P. (2012). 《Sittig's Handbook of Toxic and Hazardous Chemicals and Carcinogens》 6판. Elsevier, Inc. 2670쪽. ISBN 978-1-4377-7869-4.
- ↑ 가 나 다 Haynes, William M., 편집. (2011).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2판. Boca Raton, FL: CRC Press. 4.96쪽. ISBN 1439855110.
- ↑ 가 나 Blau, Peter J. (2003). 《Wear of Materials》. Elsevier. 1345쪽. ISBN 978-0-08-044301-0.
- ↑ 가 나 다 라 Kurlov, p. 22
- ↑ Wells, A. F. (1984). 《Structural Inorganic Chemistry》 5판. Oxford Science Publications. ISBN 0-19-855370-6.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탄화 텅스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