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신부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신부주
貞信府主
고려의 태자비
재위 1260년 8월 2일 ~ 1274년 6월 18일
전임 태자비 유씨
이름
이칭 정화궁주(貞和宮主) · 정화원비(貞和院妃)
신상정보
출생일 미상
사망일 1319년 4월 14일(1319-04-14) (음력)
부친 시안공 왕인
모친 미상
배우자 충렬왕
자녀 1남 2녀
강양공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정신부주 왕씨(貞信府主 王氏, ? ~ 1319년 5월 4일(음력 4월 14일)[1]) 또는 정화궁주(貞和宮主), 정화원비[2](貞和院妃)는 고려의 제25대 충렬왕왕비이다.

생애

[편집]

가계

[편집]

신종의 손자[3]시안공 왕인의 딸로, 본관개성이다. 남편 충렬왕은 정신부주에게 친계로 9촌 조카뻘이 된다[4].

왕비 책봉

[편집]

충렬왕이 태자로 있던 1260년(원종 원년) 음력 11월 28일 태자비가 되었고[5], 1274년(충렬왕 즉위년) 음력 6월 충렬왕 즉위 후 정화궁주(貞和宮主)에 봉해졌다. 정화궁주는 충렬왕과 가장 먼저 혼인한 왕비였으나, 1274년(원종 15년) 음력 5월 원나라 세조의 딸인 제국대장공주와 결혼하면서[6] 제2비로 밀려났고, 약 40여 년간[2]을 별궁에서 거처해야 했다.

왕비 시절

[편집]

1275년(충렬왕 원년) 음력 12월, 제국대장공주가 아들(충선왕)을 낳은 것을 축하하는 연회가 벌어졌다. 이 연회에서 충렬왕은 명령을 내려 제국대장공주와 정화궁주의 자리가 같은 위치에 놓이게 했는데, 제국대장공주는 이를 자신과 정화궁주를 동격으로 취급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크게 분노하여 기어이 정화궁주의 자리를 옮기게 만들었다. 잠시 후 정화궁주가 무릎을 꿇고 제국대장공주에게 술잔을 올리자 충렬왕이 돌아보면서 눈짓을 하였는데, 제국대장공주는 이를 두��� "어째서 나를 흘겨보십니까? 정화궁주가 나에게 꿇어 앉아 그러는 것입니까?"라며 쏘아붙였다. 결국 연회는 곧바로 끝나고 말았다[7].

1276년(충렬왕 2년) 음력 12월에는 어떤 이가 당시 고려다루가치[8]으로 와 있던 석말천구의 관사에 익명서를 투입하는 일이 있었다. 익명서를 투입한 자는 익명서를 투입한 후 곧 "옷이 있거든 입고 밥이 있거든 먹어 다른 이의 소득이 되게 하지 말라."고 외쳤다. 다음날 석말천구가 이 사실을 충렬왕과 제국대장공주에게 고하였는데, 그 익명서에는 "정화궁주가 왕의 총애를 잃자 여자 무당을 시켜 공주(제국대장공주)를 저주하게 하고 있다. 또 제안공을 비롯한 43명이 불궤한 짓을 도모하여 다시 강화도로 들어가려고 한다." 라고 적혀 있었다. 이에 분개한 제국대장공주는 정화궁주를 나장에 가두고 그녀의 부고[9]를 봉쇄하였는데, 정화궁주는 유경의 도움으로 겨우 석방될 수 있었다.

1284년(충렬왕 10년) 음력 7월에는 정화궁주가 일반 백성을 잘못 알고 종으로 삼아 이 백성이 소송을 제기하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를 압량사건(壓良事件)이라고 한다. 당시 충렬왕의 명으로 정화궁주에게 유리하게 판결이 났다. 그런데 이 사건을 판결한 전법판서 김서가 판결 다음날 등창으로 갑자기 사망하고, 사건의 부당함을 간했던 이행검만이 홀로 목숨을 건지는 일이 있었다.[10][11].

이후 1297년(충렬왕 23년) 제국대장공주가 죽고, 이듬해인 1298년(충렬왕 24년) 충렬왕이 충선왕에게 선위한 후에 궁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때 작호도 정신부주(貞信府主)로 고쳤다[12]. 이후 충렬왕과 정화궁주는 거처를 상수궁으로 옮겨 함께 지냈으며[13], 충선왕은 충렬왕과 정화궁주를 봉영(奉迎)하는 의식을 올리기도 하였다[14].

사망

[편집]

1319년(충숙왕 6년) 음력 4월 14일 사망하였으며[1], 그 해 음력 11월에 장사지냈다[15]. 시호정화궁주(貞和宮主), 또는 정신부주(貞信府主)이며, 능호와 그 위치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후손

[편집]

충렬왕과의 사이에서 1남 2녀를 낳았다. 그녀의 소생인 강양공 왕자는 원래 충렬왕의 장남이나, 제국대장공주 소생인 충선왕에게 밀려 왕위에 오를 수 없었다. 그러나 강양공의 차남 왕고는 충선왕의 총애를 받아 나중에 심양왕의 자리에 오를 뿐 아니라[16], 이를 기반으로 하여 충선왕의 아들인 충숙왕의 왕위를 넘보거나 원나라에 충숙왕을 무고하여 곤란하게 하기도 하였다[17]. 또 그녀와 남매간인 서원후 왕영의 딸은 충선왕의 제4비 정비 왕씨이다[18].

기타

[편집]

가족 관계

[편집]

정신부주가 등장하는 작품

[편집]

각주

[편집]
  1. 《고려사》 권34 〈세가〉 권34 - 충숙왕 6년 4월 기해(己亥) 기사 - 정신부주 왕씨가 죽다
  2. 《동국통감》 권 42 고려기 13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강양공〉항목
  4. 정신부주 ← 시안공 ← 양양공 ← 신종 ← 인종 → 명종 → 강종 → 고종 → 원종 → 충렬왕
  5. 《고려사》권25〈세가〉권25 - 원종 원년 11월 - 왕인의 딸을 태자비로 삼다
  6. 《동국통감》 권 36 고려기 1274년
  7. 《동국통감》 권 37 고려기 1275년
  8. 원나라에서 총독이나 지사 등을 일컫는 단어로, 고려에도 내정간섭을 위해 1231년(고종 18년)부터 파견되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백과사전 참고
  9. 물건을 보관하던 창고를 말하며, 곳집 또는 곳간과 같은 말이다. 네이버 어학사전 참고
  10. 네이버 백과사전 - 〈김서〉항목
  11. 《동국통감》 권 38 고려기 1284년
  12. 네이버 백과사전 - 〈정화궁주〉항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3. 박영규 (2000년 3월 25일).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415쪽. ISBN 89-7527-154-4. 
  14. 《고려사》권89〈열전〉권2 - 정신부주 왕씨
  15. 《고려사》권35〈세가〉권35 - 충숙왕 7년 11월 - 정신부주를 장사지내다
  16. 《고려사》권91〈열전〉권4 - 강양공
  17. 박영규 (2000년 3월 25일).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416쪽. ISBN 89-7527-154-4. 
  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왕영〉항목
  19. 조병용 (2012년 2월 23일). “전등사, 유구한 역사 생으로 번지다”. 기호일보. 2012년 5월 31일에 확인함. 
  20. 김정봉 (2005년 3월 23일). “10여 년 만에 다시 찾은 전등사”. 오마이뉴스. 2012년 6월 1일에 확인함. 
  21. 네이버 책 -〈전등사〉
  22. 《고려사》권28〈세가〉권28 - 충렬왕 원년 2월 - 시안공 왕인이 죽다
  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왕고〉항목
  24. 《고려사》권35〈세가〉권3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