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논쥐
보이기
작은논쥐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과: | 쥐과 | |
아과: | 쥐아과 | |
속: | 시궁쥐속 | |
종: | 작은논쥐 (R. losea) | |
학명 | ||
Rattus losea | ||
(Swinhoe, 1871) | ||
아종 | ||
| ||
작은논쥐의 분포 | ||
작은논쥐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작은논쥐(Rattus losea)는 시궁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중국과 라오스, 대만, 태국, 베트남에서 발견된다.[1]
특징
[편집]꼬리 길이 128~175mm를 제외한 몸길이가 120~185mm인 보통 크기의 설치류이다. 발 길이는 23~32mm이고, 귀 길이는 18~21mm, 몸무게는 최대 90g이다.[3] 털은 부드럽고 무성하다. 등 쪽은 누르스름한 갈색을 띠는 반면에 배 쪽은 희끄무레한 흰색이다.
생태
[편집]땅 위에서 주로 생활하는 육상성 동물이고, 야행성 동물이다. 먹이 상황에 따라 개체수 변동이 크다. 농작물이 자라는 땅을 굴을 파기 위해 파헤치기 때문에 농부들은 해충으로 간주한다. 먹이는 주로 식물이다.
분포 및 서식지
[편집]중국 대륙과 대만, 하이난섬, 인도차이나에 널리 분포한다. 해발 1,000m 이하의 목초지와 덤불 지대, 망그로브숲, 경작지 등에서 서식한다.
아종
[편집]3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R. l. losea - 타이완섬 및 펑후 제도
- R. l. exiguus (Howell, 1927) - 중국 윈난성과 구이저우성 남동부, 광시 좡족 자치구, 광둥성, 푸젠성, 저장성, 장시성, 후난성, 장수성 남부, 안후이성, 후베이성, 베트남, 라오스 중부와 남부, 태국, 캄보디아 남부와 남서부
- R. l. sakeratensis (Gyldenstolpe, 1917) - 하이난섬
각주
[편집]- ↑ 가 나 Aplin, K. 2016. Rattus losea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7).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19341A115147406. https://dx.doi.org/10.2305/IUCN.UK.2016-3.RLTS.T19341A22440620.en. Downloaded on 14 July 2020.
- ↑ 가 나 Musser, G.G.; Carleton, M.D. (2005). “SPECIES Rattus losea”.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47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Charles M. Francis, A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ISBN 978-0-691-135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