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몸 긍정
보이기
자기 몸 긍정(혹은 자기 몸 긍정주의)은 사이즈, 모양새, 피부톤, 성별, 신체 능력에 관계없이 모든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촉진하는 사회 운동이다.[1] 인간의 생리적인 외모보다는 인간 몸의 기능성과 건강에 대한 평가에 중점을 둔다. 비슷한 개념에 초점을 둔 신체 중립성과도 유사하다.
빅 사이즈 운동복의 판매의 증가와 남성의 레깅스 구매에 자기 몸 긍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2]
관점
[편집]자기 몸 긍정주의자들은 인종, 성별, 섹슈얼리티, 신체적 능력과 같은 신체 사이즈 역시 우리 몸이 권력이나 바람직한 사회계층에 자리하는 여러 방식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3][4][5] 다시 말해, 누군가의 외모에 대한 판단은 본질적으로 그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고 사회에서의 권력을 효과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사다리의 특정 자리에 위치하게 한다는 것이다. 자기 몸 긍정주의는 신체적 매력에 대한 비현실적인 이상에 맞서고, 긍정적인 자기 몸 이미지를 확립하고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6][7] 핵심 신념은, 아름다움은 사회가 만든 구성 요소이며 이러한 요소가 개인의 자���감이나 가치를 결정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1][8] 개개인은 자신을 마음껏 사랑하는 동시에 자신의 신체적 특성을 인정하고 포용하도록 권장한다.[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Leboeuf, Celine (2019년 10월 1일). “What Is Body Positivity?: The Path from Shame to Pride”. 《Philosophical Topics》 (영어) 47 (2): 113–127. doi:10.5840/philtopics201947218.
- ↑ “'내 몸 긍정주의'…"빅사이즈 레깅스도 잘나가"”.
- ↑ Rice, Carla (2007년 3월). “Becoming “the fat girl”: Acquisition of an unfit identity”.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영어) 30 (2): 158–174. doi:10.1016/j.wsif.2007.01.001.
- ↑ Alptraum, Lux (2017년 6월 11일). “A Short History of ‘Body Positivity’”. 《SEX.RIGHT.NOW. WITH CLEO STILLER》. 2019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Cooper, C. (1998). “Fat and proud: The politics of size.”. Womens PressLtd.
- ↑ Cwynar-Horta, Jessiza (August 2016). “Documenting femininity: Body positivity and female empowerment on Instagram” (PDF).
- ↑ 가 나 Cwynar-Horta, Jessica (2016년 12월 31일). “The Commodification of the Body Positive Movement on Instagram”. 《Stream: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Communication》 8 (2): 36–56. doi:10.21810/strm.v8i2.203. ISSN 1916-5897.
- ↑ “15 Definitions Of Body Positivity Straight From Influencers & Activists” (영어). 2016년 6월 19일. 2024년 4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