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속가슴동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속가슴동맥
오른쪽 속가슴동맥과 그 가지들. 속가슴동맥은 'internal mammary artery'로 우측 상단에 표시되어 있다.
정보
기원빗장밑동맥
가지심장가로막동맥
앞갈비사이가지
근육가로막동맥
위배벽동맥
관통가지
정맥속가슴정맥
식별자
라틴어arteria thoracica interna
arteria mammaria interna
영어internal thoracic artery
internal mammary artery
MeSHD008323
TA98A12.2.08.029
TA24576
FMA3960

속가슴동맥, 내흉동맥(internal thoracic artery, ITA, 內胸動脈) 또는 내유동맥(internal mammary artery, IMA, 內乳動脈)은 가슴벽의 앞쪽과 유방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다.[1]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속가슴동맥은 복장뼈의 측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그 후 위배벽동맥근육가로막동맥으로 갈라지며 끝난다.

구조

[편집]

속가슴동맥은 빗장밑동맥의 시작 지점 근처에서 빗장밑동맥의 앞면으로부터 갈라져 나온다.[2][3] 너비는 1 ~ 2mm 정도이다.[4]

가슴우리의 안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복장뼈 측면으로부터 대략 1cm 떨어진 채로 주행한다.[3] 따라서 젖꼭지보다는 안쪽에 위치한다. 속가슴정맥을 동반하며 주행한다. 배바깥빗근보다 깊은쪽에서, 미주신경보다는 얕은쪽에서 주행한다.

성인의 속가슴동맥은 첫째 갈비사이공간에 있을 때 가장 복장뼈에 가까이 놓여 있다. 속가슴동맥과 복장뼈 가쪽 경계 사이의 간격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커져 여섯째 갈비사이공간에서는 1.1 ~ 1.3cm 정도가 된다. 어린이에서 이 간격은 0.5 ~ 1.0cm 정도이다.[5]

가지

[편집]

여섯째 갈비사이공간을 지난 뒤 속가슴동맥은 다음의 두 종말가지로 갈라지며 끝난다.

기능

[편집]

속가슴동맥은 가슴벽과 유방에 혈액을 공급한다.[1]

임상적 중요성

[편집]

우회술 이식편

[편집]

심장외과에서 관상동맥우회로이식술을 시행할 때 속가슴동맥은 이식편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맥 중 하나이다. 왼쪽 속가슴동맥은 왼앞내림동맥(LAD)에 이식했을 때 큰두렁정맥 이식편[6][7]이나 다른 동맥 이식편(노동맥, 왼위그물막동맥 등)보다 더 우월한 장기간 개존율을 보인다.[8] 왼앞내림동맥은 보통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혈관재형성 대상이 되는 혈관이다.[1]

성형외과에서는 양쪽 속가슴동맥을 유방절제술 이후 유방의 재건 시에 자가 유리피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둘째 갈비사이공간에서 유리피판이 나온 동맥으로 미세혈관 문합술을 수행한다.

추가 이미지

[편집]

각주

[편집]
  1. Kramer, R. S.; Morton, J. R.; Groom, R. C.; Robaczewski, D. L. (2018년 1월 1일),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Vasan, Ramachandran S.; Sawyer, Douglas B., 《Encyclopedia of Cardiovascular Research and Medicine》 (영어), Oxford: Elsevier, 700–729쪽, doi:10.1016/b978-0-12-809657-4.99754-0, ISBN 978-0-12-805154-2, 2020년 11월 12일에 확인함 
  2. Stewart, Charles E.; Urken, Mark L. (2009년 1월 1일), Wei, Fu-Chan; Mardini, Samir, 편집., “CHAPTER 18 - Deltopectoral flap”, 《Flaps and Reconstructive Surgery》 (영어) (Edinburgh: W.B. Saunders), 193–205쪽, doi:10.1016/b978-0-7216-0519-7.00018-6, ISBN 978-0-7216-0519-7, 2020년 11월 12일에 확인함 
  3. Barral, Jean-Pierre; Croibier, Alain (2011년 1월 1일), Barral, Jean-Pierre; Croibier, Alain, 편집., “13 - Vessels of the breast”, 《Visceral Vascular Manipulations》 (영어) (Oxford: Churchill Livingstone), 121–132쪽, doi:10.1016/b978-0-7020-4351-2.00013-2, ISBN 978-0-7020-4351-2, 2020년 11월 12일에 확인함 
  4. Markiewicz, Michael R.; Ord, Robert; Fernandes, Rui P. (2017년 1월 1일), Brennan, Peter A.; Schliephake, Henning; Ghali, G. E.; Cascarini, Luke, 편집., “43 - Local and Regional Flap Reconstruction of Maxillofacial Defects”, 《Maxillofacial Surgery (Third Edition)》 (영어) (Churchill Livingstone), 616–635쪽, doi:10.1016/b978-0-7020-6056-4.00044-7, ISBN 978-0-7020-6056-4, 2020년 11월 12일에 확인함 
  5. Jelicić N, Djordjević L, Stosić T (1996). “Unutrasnji grudni krvni sudovi (a. et vv. thoracicae internae) i njihov prakticni znacaj” [The internal thoracic blood vessels (internal thoracic arteries and veins) and their practical significance]. 《Srpski Arhiv Za Celokupno Lekarstvo》 (세르비아어) 124 (3–4): 58–61. PMID 9102819. 
  6. Kitamura, S; Kawachi, K; Kawata, T; Kobayashi, S; Mizuguchi, K; Kameda, Y; Nishioka, H; Hamada, Y; Yoshida, Y (1996). “Ten-year survival and cardiac event-free rates in Japanese patients with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revascularized with internal thoracic artery or saphenous vein graft: a comparative study”. 《Nippon Geka Gakkai Zasshi》 97 (3): 202–9. PMID 8649330. 
  7. Arima, M; Kanoh, T; Suzuki, T; Kuremoto, K; Tanimoto, K; Oigawa, T; Matsuda, S (2005). “Serial angiographic follow-up beyond 10 year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irculation Journal》 69 (8): 896–902. doi:10.1253/circj.69.896. PMID 16041156. 
  8. Cohen, G; Tamariz, MG; Sever, JY; Liaghati, N; Guru, V; Christakis, GT; Bhatnagar, G; Cutrara, C; 외. (2001). “The radial artery versus the saphenous vein graft in contemporary CABG: a case-matched study”. 《The Annals of Thoracic Surgery》 71 (1): 180–5; discussion 185–6. doi:10.1016/S0003-4975(00)02285-2. PMID 1121674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