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자성
보이기
보자성, 보자력, 항자기성(Coercivity)은 자기가 없어지지 않고 외부 자기장을 견딜 수 있는 강자성 물질의 능력을 측정한 것이다. 보자성은 일반적으로 에르스텟 또는 암페어/미터 단위로 측정되며 HC로 표시된다.
전기공학 및 재료과학의 유사한 특성인 전기 보자성(electric coercivity)은 탈분극되지 않고 외부 전기장을 견딜 수 있는 강유전성 재료의 능력이다.
보자력이 큰 강자성체를 자기경질이라 부르며, 영구자석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보자력이 낮은 물질은 자기적으로 부드럽다. 후자는 변압기 및 인덕터 코어, 기록 헤드, 마이크로파 장치 및 자기 차폐에 사용된다.
같이 보기
[편집]출처
[편집]- Chen, Min; Nikles, David E. (2002). “Synthesis, self-assembly, and magnetic properties of FexCoyPt100-x-y nanoparticles”. 《Nano Letters》 2 (3): 211–214. Bibcode:2002NanoL...2..211C. doi:10.1021/nl015649w.
- Gaunt, P. (1986). “Magnetic viscosity and thermal activation energy”. 《Journal of Applied Physics》 59 (12): 4129–4132. Bibcode:1986JAP....59.4129G. doi:10.1063/1.336671.
- Genish, Isaschar; Kats, Yevgeny; Klein, Lior; Reiner, James W.; Beasley, M. R. (2004). “Local measurements of magnetization reversal in thin films of SrRuO3”. 《Physica Status Solidi C》 1 (12): 3440–3442. Bibcode:2004PSSCR...1.3440G. doi:10.1002/pssc.200405476.
- Kneller, E. F.; Hawig, R. (1991). “The exchange-spring magnet: a new material principle for permanent magnets”.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27 (4): 3588–3600. Bibcode:1991ITM....27.3588K. doi:10.1109/20.102931.
- Livingston, J. D. (1981). “A review of coercivity mechanisms”. 《Journal of Applied Physics》 52 (3): 2541–2545. Bibcode:1981JAP....52.2544L. doi:10.1063/1.328996.
외부 링크
[편집]- Magnetization reversal applet (coherent rotation)
- For a table of coercivities of various magnetic recording media, see "Degaussing Data Storage Tape Magnetic Media" (PDF), at fujifilmus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