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군 (중국)
전한
[편집]한서 지리지 주석에서는 고제 때 설치됐다 하나, 실제로는 경제 3년(기원전 154년) 교동왕 유웅거가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해 자결하고 교동나라가 폐지된 이후 교동군을 분할해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1]
청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0만 3292호, 50만 2693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액현 | 掖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 |
추현 | 腄[2]縣 | 옌타이 시 남서 | 지비산사(之罘山祠)가 있다. 거상산(居上山)이 있고, 성상수(聲洋水)가 나와서 동북으로 바다에 들어간다. |
평도후국 | 平度侯國 | 칭다오시 핑두 시 북서 | |
황현 | 黃縣 |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 | 내산(萊山)과 송림내군사(松林萊君祠)가 있다. |
임구현 | 臨朐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북 | 해수사(海水祠)가 있다. |
곡성현 | 曲成縣 | 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 | 삼산만리사사(參山萬里沙祠)가 있다. 양구산(陽丘山)이 있고 치수(治水)가 나와 남으로 기(沂)에서 바다에 들어간다. 염관(鹽官)이 있다. |
모평후국 | 牟平侯國 | 옌타이 시 서 | |
동모현 | 東牟縣 | 옌타이 시 무핑 구 | 철관(鐵官)과 염관(鹽官)이 있다. |
현현 | 㡉縣 |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동 | 백지내왕사(百支萊王祠), 염관이 있다. |
육리현 | 育犂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서 | |
창양후국 | 昌陽侯國 | 웨이하이 시 원덩 구 남 | 염관이 있다. |
불야현 | 不夜縣 | 웨이하이 시 룽청 시 북 | 성산일사(成山日祠)가 있다. |
당리현 | 當利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 | 염관이 있다. |
노향현 | 盧鄕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 |
양악후국 | 陽樂侯國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 | |
양석현 | 陽石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 |
서향후국 | 徐鄕侯國 | ? |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액(掖) | 액통(掖通) |
평도(平度) | 이로(利盧) |
황(黃) | 의모(意母) |
임구(臨朐) | 감구(監朐) |
모평(牟平) | 망리(望利) |
동모(東牟) | 홍덕(弘德) |
창양(昌陽) | 숙경정(夙敬亭) |
불야(不夜) | 숙야(夙夜) |
당리(當利) | 동래정(東萊亭) |
양악(陽樂) | 연악(延樂) |
양석(陽石) | 식명(識命) |
후한
[편집]13성 104,297호 484,393호를 거느렸다. 후한말 190년 요동군의 군벌이었던 공손도가 본군을 점령하고 잠시 군에 영주(營州)을 신설한 적이 있었다.[4][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황현 | 黃縣 |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 | |
모평현 | 牟平縣 | 옌타이 시 서 | |
견후국 | 惤候國 |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서 | |
곡성후국 | 曲城候國 | 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 | |
액후국 | 掖候國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 과향(過鄕)이 현경내에 있었다. |
당리후국 | 当利候國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 | |
동모후국 | 東牟候國 | 옌타이 시 무핑구 | |
창양현 | 昌陽縣 | 웨이하이 시 원덩 구 남 | |
노향현 | 盧鄕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 |
장광현 | 長廣縣 | 옌타이시 라이양시 동 | 낭야국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검추현 | 黔陬縣 | 칭다오시 자오저우시 남서 | 낭야국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개정(介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
갈노현 | 葛盧縣 | 우섭정(尤涉亭)이 있었다. | |
불기후국 | 不其候國 | 칭다오시 지모시 남서 | 낭야국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위진
[편집]277년(서진 무제 함녕 3년) 불기현, 장광현과 복구된 창양현이 신설된 장광군으로 내속되면서 6현 6,500호를 거느리는 작은 군이 되었다. 영가의 난이 일어났을 때 본군 출신이었던 청주자사 조억(曹嶷)이 후조에 저항하면서 버티고 있었으나 석호에게 무너지면서 후조의 땅이 되었다.[6]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액후상 | 掖候相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 군의 치소가 있었다. |
당리후국 | 當利候國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 | |
노향현 | 盧鄕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 |
곡성현 | 曲城縣 | 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 | |
황현 | 黃縣 |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 | 래산(萊山), 송림래군사(松林萊君祠)가 현경내에 있었다. |
견현 | 惤縣 |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서 |
북위
[편집]470년(북위 헌문제 황흥 4년)청주에서 신설된 광주에 내속되었다. 동래군은 4현 19,195호 62,044명을 거느렸다. 서진대 동래군에 속했던 황현과 견현은 오호십육국시대에 신설된 동모군으로 이관되었으며 당리현은 장광군으로 이관되었다.[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액현 | 掖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 군의 치소로 액산사(掖山祠), 수양산(秀陽山), 부산(斧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서곡성현 | 西曲城縣 | 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잠장진(蚕庄鎭) 서북 | 황흥연간 곡성현을 분리하면서 신설되었다. 창석산(倉石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동곡성현 | 東曲城縣 | 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잠장진(蚕庄鎭) 동남 | 헌문제시기 황흥연간에 곡성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창구(昌丘), 일산(日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노향현 | 盧鄕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 고군산(高君山), 방산(方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수
[편집]수나라 초기, 장광군이 통폐합되면서 군역이 확장되었다.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군이 폐지되고 광주(光州)가 설치되었다. 585년(수 문제 개황 5년)래주(萊州)로 개명되었다. 9현 90,351호를 거느렸다.[8]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액현 | 掖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 북제때 곡성현, 당리현이 통폐합되었다. 부산(缶山), 액수(掖水), 광수(光水)가 현경내에 있었다. |
교수현 | 膠水縣 | 칭다오 시 핑두 시 | 601년 장광현(長廣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명당산(明堂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노향현 | 盧鄕縣 |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 북제때 정성현(挺城縣)과 노향현이 모두 폐지되었는데,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노향현만 복구되었으며 정성현지역은 현의 일부가 되었다. |
즉묵현 | 即墨縣 | 칭다오 시 지모 시 | 북제때 불기현과 함께 폐지되었는데 596년 복구되었고 불기현지역이 현의 일부가 되었다. 대로산(大勞山), 마산(馬山)이 현경내에 있었고 바다건너에 전횡도(田橫島)가 있었다. |
관양현 | 觀陽縣 | 옌타이 시 하이양 시 북 서가점진(徐家店鎭)일대 | 북주때 폐지되었으나 596년 복구되었다. 이때 모주(牟州)가 신설되면서 모주의 속현이 되었지만 대업초 모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
창양현 | 昌陽縣 | 라이양 시 옌타이 시 조왕장(照旺庄) 창양로일대 | 거신산(巨神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황현 | 黃縣 | 옌타이 시 룽커우 시 | 동모군, 장광군의 2개군에 속했는데 북제때 동모군이 장광군에 통폐합되었다. 개황초 동모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
모평현 | 牟平縣 | 옌타이 시 펑라이시 남 | 모산(牟山), 용산(龍山), 금산(金山), 구목산(九目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문등현 | 文登縣 | 웨이하이 시 원덩구 | 북제때 신설되었다. 석교(石橋), 문등산(文登山), 척산(斥山), 지부산(之罘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군수·태수
[편집]전한
[편집]- 범륭(? ~ 기원전 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