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문짝넙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문짝넙치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기어강
상목: 극기상목
(미분류): 전갱이류
목: 가자미목
과: 대문짝넙치과
속: 대문짝넙치속
종: 대문짝넙치
학명
Scophthalmus maximus
Linnaeus, 1758
보전상태


준위협(NT): 근미래에 위협에 처할 수 있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대문짝넙치(프랑스어: turbot 튀르보[tyʁbo][*])는 대문짝넙치과 대문짝넙치속의 상대적으로 큰 광어 종이다. 동북태평양, 발트해, 지중해해수기수 바닥에 사는 저어다. 식용어로서, 서식지 일대의 중요한 식량자원이다.[2]

몸의 형태가 대칭적인 정사각형에 가까우며, 최대 신장 1 미터, 체중 25 킬로그램까지 자란다.[2][3]

흑해에서 발견되는 광어는 예전에 대문짝넙치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별도의 종인 흑해대문짝넙치로 분류되고 있다.[4] 서북대서양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과거 캐나다에스파냐 사이에 "튀르보 전쟁"을 야기했던 어종은 대문짝넙치가 아니라 그린란드넙치다.[5]

최근 한국에서도 제주 일대에서 양식하여 활어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찰광어 또는 터봇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된다. 발트해와 지중해 인접 국가에서는 대문짝넙치를 필렛으로 가공하여 튀기거나 구워 먹는 반면 한국에서는 횟감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각주

[편집]
  1. Golani, D.; Kada, O.; Nouar, A.; Quignard, J.P.; Cuttelod, A. (2011). Scophthalmus maxim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1: e.T198731A9089507.  Downloaded on 27 March 2018.
  2. Froese, Rainer; Pauly, Daniel, 편집. (2019년 12월). Psetta maxima. 《Fishbase》. 
  3.  Chisholm, Hugh, 편집. (1911). 〈Turbot〉. 《브리태니커 백과사전27 11판.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4. (영어) Froese, Rainer, and Daniel Pauly, eds. (2006). 어류 정보 사이트 FishBase. {{{속}}}에 속한 종. 2006년 4월 판
  5. Stephens, T. (2009). 《International Court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2–214쪽. ISBN 978-0-521-88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