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구 선화당 측우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구 선화당 측우대
(大邱 宣化堂 測雨臺)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과거 사진
종목보물 (구)제842호
(1985년8월 9일 지정)
수량1기
시대조선시대
소유국유
관리기상청
주소서울특별시 동작구 여의대방로16길 61
(신대방동, 기상청)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대구 선화당 측우대(大邱 宣化堂 測雨臺)는 대구 감영의 선화당에 있던 측우대[A]를 말한다.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보물로 지정되었다.[2] 공식 명칭은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이다.

개요

[편집]

세종실록》에 따르면, 땅 속에 스며들거나 웅덩이에 고인 물을 통해 강우량을 재던 그 때까지의 부정확한 측정방법을 대신하여, 측우기를 만들어 측우대에 설치하고 강우량을 전국적으로 측정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영조 46년에 세종조의 옛 제도에 따라 측우기를 만들어 창덕궁과 경희궁의 양궐과 8도 양도에 설치하여 우량의 다소를 측정하게 하였다. 양운관에 높이 포백 1척, 길이 8촌의 석대를 만들고 대 위에 길이 1촌의 원형 구멍을 파서 측우기를 올려놓았다. 이 때에 만들어진 측우기는 1917년에 모두 7기가 남아 있었으며, 그 대석은 4개 있었다고 조선고대관측기록보고에 보고되어 있다. 현재 측우기는 모두 멸실되어 한 점도 남아 있지 않고, 대석도 본 유물만 남아 있다.

이 측우대는 화강암 기둥으로 가운데 직경 16cm, 길이 4.3cm의 구멍이 있고, 앞면 한 가운데에는 측우대, 뒷면에는 '건륭경인오월조'라 새겨져 있다. 이를 통하여 조선 영조 46년에 제작된 측우대임을 알 수 있다. 1917년 조사 때 대구 감영 선화당 뜰에 측우기와 함께 있었던 것을 인천 관측소로 옮겼다. 이후 측우기는 없어지고 대석만 남아 있다가 1950년 국립기상대[3]로 옮겼다.

이 유물은 한국전쟁 때 총격으로 몇 군데의 총탄 자국이 남아 있지만 제작연대가 확실한 측우대로는 유일하다. 특히 《영조실록》의 기록과 부합되는 것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
  1. 측우기를 올려 놓고 측정하던 대(臺)는 측우기의 존재를 확인해 주는 유물로 유일하게 대한민국에만 있다.[1]
출처
  1. 대구 선화당 측우대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2. 관보 제10111호 1985년 8월 9일. 5-6쪽. 5쪽. 문화공보부고시제645호. 국보및보물지정. 문화공보부장관. 2016년 5월 20일 확인함.
  3. 현재의 기상청.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동 소재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