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질 (심리학)
보이기
기질(氣質, disposition)은 어떤 사람의 타고난 성질이다. 심리학에서 기질은 '자극에 대한 민감성이나 특정한 유형의 정서적 반응을 보여 주는 개인의 성격적 소질'이라고 표현해 볼 수 있다.[1]
정서
[편집]기질은 정서와 성격을 형성하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알려져있다. 여러 심리학자들이 기질이 선천적임에도 불구하고 정서와 성격이 아동기와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변화한다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것을 보고하고있다.[2][3][4] 이러한 맥락에서 자아의 정체감 형성 또한 지속적으로 변화의 과정을 격는것으로 보고하고있다.[5][6][7][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우리말샘) 기질
- ↑ (Lewis 1979)self-cognition
- ↑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47248481800164 Self-recognition in chimpanzees and orangutans, but not gorillas-Susan D.Suarez,Gordon G.Gallup Jr.
- ↑ “, https://srcd.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j.1467-8624.1992.tb01658.x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Knowledge of Self and Mother in One‐to Three‐Year‐Old Infants -Sandra Pipp M. Ann Easterbrooks Robert J. Harmon”. 2021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mpetence, affect, and motivational orientation within the classroom: Processes and patterns of change.-Harter, Susan
- ↑ (Erikson)self-identity,identity crisis
- ↑ Cross-sectional age changes in ego identity status during adolescence. - Journal ArticleDatabase: PsycARTICLES Philip W. Meilman
- ↑ James Marcia-Ego identity status: relationship to change in self‐esteem, “general maladjustment,” and authoritari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