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성
보이기
증거법 |
---|
영미법 시리즈 |
증거의 종류 |
증언 · 물증 |
전자증거 · 무죄입증 증거 |
과학적 증거 · 물적 증거 |
목격자지목 · DNA증거 |
거짓말 |
관련성 |
입증책임 · 증거기초 |
공공복리예외 · 오염 · 성격증거 |
습관증거 · 유사사실 |
진위확인 |
관리 연속성 · 주지의 사실 |
최량증거원칙 · 자기확증문서 · 오래된 문서 |
증인 |
증인적격 · 증언거부특권 |
직접신문 · 교호신문 · 재직접신문 |
탄핵증거 |
기록된 기억 · 전문가증언 |
사망자 규정 |
전문증거와 예외 |
영국법 · 미국법 |
자백 · 업무상 기록 |
흥분 상태의 언급 · 임종시의 진술 |
일방 당사자의 자인 · 오래된 문서 |
이익에 반하는 진술 · 현장성 감각 인상 · 부대상황 사실 |
권위학술서 · 비언어적 행동 |
미국법의 다른 영역 |
계약법 · 불법행위법 |
재산법 과 미국의 유언신탁법 |
형법 · 증거법 |
관련성(relevance)는 증거로 허용되려면 그 증거가 담고 있는 정보가 반드시 쟁점과 관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연방증거법은다음과 같이 관련성을 규정하고 있다.
연방증거법 제401조
관련성 이 있는 증거란 그 소송에 대한 결정을 함에 있어 중요한 어떤 사실이 그 증거가 없을 때보다 그 증거에 의하여 더 존재 가능성이 있게 인정되거나, 반대로 존재 가능성이 없게 여겨지도록 만드는 경향성이 있는 증거를 말한다.
논리적 관련성
[편집]중요한 사실을 증명하거나 반박하는 결과가 있는 사실이 논리적 관련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예를 들어 위키백과를 이용하는데 한번도 돈을 내지 않은 사실은 위키백과가 무료라는 주장을 증명하는데 논리적 관련성이 있다.
법적 관련성
[편집]불공평한 편견, 쟁점혼돈, 배심원 현혹, 재판지연, 시간 낭비 등 단점과 이익형량을 하여 증거로 채택할 가치가 있는지를 보고 관련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살인죄로 재판을 하는 중 잔혹하게 난도질 당한 피해자 시신을 촬영한 칼러사진은 논리적 관련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법적 관련성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배심원의 감정을 자극 불공평한 편견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 증거법
[편집]결과가 있는 사실이 다툼의 여지가 있어야 관련성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아서 베스트, 미국 증거법 (사례와 해설), 탐구사 2009. ISBN 9788989942207
- 류영욱, 이야기 미국법, 책과나무, 2013 ISBN 9788998528782
- 김기태, Evidence, 신성, 2011. ISBN 9788963610245
- 신동운, "자백의 신빙성과 거짓말탐지기 검사결과의 증거능력," 경사 이회창 선생 희갑기념, 법과 정의, (1995), 2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