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성 홍반
보이기
결절성 홍반 | |
---|---|
연쇄상 구균 인두염을 겪은 환자의 결절성 홍반 | |
진료과 | 피부과 |
결절성 홍반(結節性紅斑, Erythema nodosum, EN)은 지방층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염증 질환의 하나로, 닿으면 따가운 홍반이나 혹이 발생하며 정강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다양한 질병에 의해 발병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0일 안에 자연스럽게 치유된다.[1] 12~20세 사이의 젊은 사람들에게 흔히 나타난다.
증상
[편집]결절성 홍반의 첫 증상은 독감과 같은 증상이다.[2] 발열, 허약함, 관절통을 수반할 수 있다.
병인
[편집]결절성 홍반은 여러 질병과 관련되어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
- 특발성
질환 중 약 30~50%의 경우 결절성 홍반의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3]
- 감염[4]
- 연쇄상구균 감염 - 어린이의 경우 가장 흔한 촉매 요인이다.[5]:488
- 결핵의 1차 감염
- 폐렴 미코플라스마
- 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
- 예르시니아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 콕시디오이데스 이미티스
- 묘소병
- 암 - 다음을 포함한다.[6]
치료
[편집]결절성 홍반은 일반적으로 3~6주 안에 스스로 치유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병인이 알려져 있지 않은 가운데 병변이 지속적인 경우 아이오딘화 칼륨을 사용할 수 있다. 치유가 어려운 경우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콜히친을 사용할 수 있다.[9][10]
각주
[편집]- ↑ Pedro-Pons, Agustín (1968). 《Patología y Clínica Médicas》 (스페인어) 6 3판. Barcelona: Salvat. 193쪽. ISBN 84-345-1106-1.
- ↑ Erythema nodosum information http://www.gosh.nhs.uk/medical-information/search-for-medical-conditions/erythema-nodosum/erythema-nodosum-information/ Archived 2014년 7월 14일 - 웨이백 머신
- ↑ 가 나 Mert, A; Ozaras, R; Tabak, F; Pekmezci, S; Demirkesen, C; Ozturk, R (2004). “Erythema nodosum: an experience of 10 years”. 《Scandinav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36 (6–7): 424–7. doi:10.1080/00365540410027184. PMID 15307561.
- ↑ Schwartz, RA; Nervi, SJ (2007년 3월 1일). “Erythema nodosum: a sign of systemic disease”. 《American family physician》 75 (5): 695–700. PMID 17375516.
- ↑ William D. James; Timothy G. Berger; Dirk M. Elston.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 clinical dermatology.》 11판. [London]: Saunders/ Elsevier. ISBN 1437703143.
- ↑ 가 나 다 라 Gilchrist, H; Patterson, JW (Jul–Aug 2010). “Erythema nodosum and erythema induratum (nodular vasculitis): diagnosis and management”. 《Dermatologic therapy》 23 (4): 320–7. doi:10.1111/j.1529-8019.2010.01332.x. PMID 20666819.
- ↑ Bohn S, Buchner S, Itin P (1997). “Erythema nodosum: 112 cases. Epidemiology, clinical aspects and histopathology”. 《Schweiz Med Wochenschr》 127 (27–28): 1168–76. PMID 9324739.
- ↑ Rogerson SJ, Nye FJ (1990년 8월 11일). “Hepatitis B vaccine associated with erythema nodosum and polyarthritis” (PDF). 《BMJ》 301 (6747): 345. doi:10.1136/bmj.301.6747.345. PMC 1663612. PMID 2144199.
- ↑ Mat C, Yurdakul S, Uysal S, Gogus F, Ozyazgan Y, Uysal O, Fresko I, Yazici H (2005). “A double-blind trial of depot corticosteroids in Behcet's syndrome”. 《Rheumatology (Oxford)》 45 (3): 348–52. doi:10.1093/rheumatology/kei165. PMID 16263779.
- ↑ Yurdakul S, Mat C, Tuzun Y, Ozyazgan Y, Hamuryudan V, Uysal O, Senocak M, Yazici H (2001). “A double-blind trial of colchicine in Behcet's syndrome”. 《Arthritis Rheum》 44 (11): 2686–92. doi:10.1002/1529-0131(200111)44:11<2686::AID-ART448>3.0.CO;2-H. PMID 1171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