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2호
아리랑 2호 (KOMPSAT 2) | |
임무 정보 | |
---|---|
관리 기관 | KARI |
COSPAR ID | 2006-031A |
발사일 | 2006년 7월 28일 |
발사체 | 로콧 |
발사 장소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
임무 기간 | 9년 |
우주선 정보 | |
중량 | 765 kg |
크기 | 직경 2 m, 높이 2.6 m |
전력 | 1kW |
궤도 정보 | |
궤도 | SSO |
근지점 | 656.2999877929688 km |
원지점 | 680.9000244140625 km |
주기 | 98.5999984741211 분 |
이심률(e) | 0.0017455226043239236 |
궤도 경사(i) | 98.0999984741211° |
탑재체 | |
탑재체 | 별 추적기, S밴드 안테나, 다중대역 광학 카메라, 영상자료 전송 안테나, 태양전지판, 이차면경 방열판 |
해상도 | 1 m 흑백, 4 m 컬러 |
아리랑 2호는 2006년 7월 28일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가 발사한 다목적실용위성(KOMPSATⅡ)이다. 대한민국이 개발한 10번째 인공위성인 이 위성은 러시아의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ICBM을 개량한 흐루니체프사의 고체 연료 추진 방식 발사체인 로콧(ROCKOT)에 실려 고도 685 km 로 발사되었다. 지구 위 685 km 의 궤도를 하루 열네 바퀴 반씩 돈다.
아리랑 2호는 총 2633억 원의 개발비를 들였으며 1999년부터 7년의 개발 기간이 소요되었다. 고해상도 전자광학카메라는 이스라엘의 ELOP 사와 공동개발하였고 본체 및 체계 분야는 EADS 아스트리움 사의 기술자문을 바탕으로 독자개발하였다.
이스라엘 ELOP사와 MSC(Multi Spectral Camera) 렌즈를 공동 개발하는 일정이 2년 동안 지연되어 전체적인 발사가 지연되기도 했지만, 성공한 것은 대단한 일이다. 직경 60cm인 이 렌즈의 해상도는 흑백 1m급(가로, 세로 1m가 점 하나로 표시됨), 천연색 4m급이다. 1m급 해상도는 90년대 중반까지 미국 군사용 정찰위성의 해상도였다. 현재는 60 cm 해상도의 퀵버드 위성이 세계 최고의 상용위성 해상도를 자랑하고 있다. 현재 미국 군사용 정찰위성 KH-12는 대략 15cm의 해상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리랑 2호의 MSC는 80cm 직경의 망원경 (렌즈 직경은 60 cm)에 전자 장치를 포함해 길이가 1.6m에 달하며[1] , 무게는 대략 250㎏정도이다. 또한 4개의 밴드를 이용해 한번에 가로, 세로 15km 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2] 개발 예산은 600억 원이다.
아리랑 2호는 대한민국 제작 기술 비율이 70%가 넘는다.[3] 아리랑 2호 개발 전 대한민국의 위성 개발 기술자급도는 65%에 불과했으나, 이제는 설계 80%, 제작 70%, 조립 및 시험 90%가 대한민국에서 제조되는 능력을 갖추게 됐다. 아리랑 2호의 공식 수명은 3년이지만, 3년씩 연장해 9년을 사용하였다. 2015년 10월부터 탑재체 모듈 및 센서, 지상국 운영시스템 등 운영기기 노후화로 인해 추가적인 임무연장 없이 수명종료 시까지 차세대 위성기술연구용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4]
한편 대한민국은 아리랑 2호의 성공으로 미국, 러시아,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일본에 이어 세계 7번째 1미터급 해상도 관측 위성 보유국이 되었다. [5]
아리랑 1호와 2호는 똑같은 궤도를 30분 간격으로 돌며, 지구를 하루에 14바퀴반 돌면서 한반도 상공을 평균 세 차례가량 통과한다. 아리랑 2호가 지닌 위성카메라는 광학카메라기 때문에 밤 시간대거나 구름이 끼어 있으면 촬영이 불가능하다.[6]
아리랑 2호는 685 km 상공에서 100분 만에 지구를 한 바퀴씩 돈다. 하루에 지구를 14바퀴 반씩 돌며 1회전마다 20분간 사진을 찍어 지구로 전송한다. 한반도는 2분 정도면 촬영이 가능하다.[7]
2005년 7월 대한민국과 미국·중동 일부 지역 촬영 영상은 한국항공우주산업과, 나머지 국외 지역 촬영 영상은 프랑스의 스팟이미지와 판매대행 계약을 맺었다. 2006년 현재 1 m 급 해상도로 가로·세로 15 km 지역을 찍은 위성 영상의 국제가격은 한 장에 약 1만달러에 이른다. 이에 따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목적실용위성 2호가 설계 수명인 3년 동안 5400만 달러의 영상 판매 수입을 올려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8]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한반도를 2분 동안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 후 10초 정도면 사진 영상을 스크린할 수 있다. 고화질의 영상을 얻기까지는 2시간 정도가 걸린다.[9]
연표
- 1998년 가을
- 1999년 봄
- 2004년 8월
- ELOP사와 KARI, MSC 개발완료 (개발비 600억원)
- 2004년 12월 17일
- MSC, 대전 KARI에 도착
- 2005년 7월
- 2005년 12월
- MSC의 메모리보드에서 결함 발견
- 2006년 7월로 발사연기
- 2006년 1월 20일
- 2006년 7월 28일
- 오후 4시 5분
- 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흐루니체프사의 로콧 로켓에 의해 발사
- 오후 5시 25분
- 아프리카 케냐의 말린디(Malindi) 지상국과 첫 교신 성공
- 오후 5시 44분
- 오후 10시 58분
- 대전 지상국과 첫 교신 성공
- 오후 4시 5분
참여 기관
사용 용도
- 대규모 자연 재해 감시
- 각종 자원의 이용 실태 조사
- 지리 정보 시스템 구축 지원
- 지도 제작
- 군사용 정찰
개발된 기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11]
- 수소 저장 기술
-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해 극저온 환경에서도 용접을 할 수 있는 기술
- 유압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
- 태양전지판 저온 환경 전개 시험 장치대
- 실시간 데이터 입출력 모사 장치
- 인공위성 분리 신호 발생 회로
- 복사열 전달 차단용 열차폐막 제작 기술
- 로컬버스 이용 통신
- 이리듐 촉매 성능 측정 장치
- 펄스 노이즈 인가 장치
각주와 참고 자료
- ↑ 한국형 1미터급 위성 카메라 완성, YTN TV, 2004-10-19
- ↑ <연구실 탐방> 항공우주연구원 위성응용그룹, 디지털타임스, 2004-10-21
- ↑ 아리랑2호 위성개발팀, 150명이 6년 구슬땀…5월'카운트다운' [매일경제신문] 2006-01-02
- ↑ “아리랑 2호 고생했어”...9년 임무 마치고 은퇴 매일경제신문 2015-10-05
- ↑ [우리도 우주로 간다] (2) 우리 하늘 지키는 우리 위성 [조선일보] 2005-01-07
- ↑ '한반도의 눈' 아리랑 2호, 9월부터 본격 임무 한국경제 2006-07-31
- ↑ 아리랑2호 관측용…무궁화5호 통신용 파이낸셜뉴스 2006-07-30
- ↑ 백두산길 지프 행렬 ‘찰칵’…미 맨해튼 쪽빛바다도 또렷 한겨레 2006-08-30
- ↑ 다목적 위성 아리랑2호 첫 시험영상… 뚜렷한 백두천 천지 디지털타임스 2006-08-30
- ↑ <과학과 기술> 아리랑2호 제자리돌기 언제까지, 문화일보, 1999-09-20
- ↑ 아리랑 2호 특허만 37건 확보 … 수소車·특수용접 등 응용가능, 한국경제, 2006-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