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자 수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자 숫자에서 넘어옴)

한자 수사(漢字數詞)에는 일반적인 숫자와 갖은자가 있다. 여기서 갖은자는 대사자(大寫字)라고도 부르며, 돈의 액수 등을 기록할 때 함부로 고치지 못하도록 획이 더 많고 구성을 달리한 한자를 말한다.[1]

아라비아 숫자 한자 갖은자 읽기
0
1 壹, 壱
2 貳, 弍
3 叁, 參, 参
4
5
6
7
8
9
10
100
1000
10000

이 중 4, 6, 7, 8, 9, 100, 1000은 갖은자로 잘 쓰지 않는다.

정자 零이 갖은자다.

10000의 경우, 중국과 일본은 속자인 ‘万’을 간체자와 신자체로 사용하므로, 정자인 ‘萬’이 갖은자의 역할을 대신한다.

기타

[편집]

10단위의 다른 숫자를 나타내는 한자로 다음과 같은 것들도 있다.

  • 20: 廿 (입)
  • 30: 卅 (삽)
  • 40: 卌 (십)

중화권에서는 자주 쓰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실생활이나 사무 등에 쓰이는 예가 거의 없다.

현재까지 출판되는 서적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예는 대한성서공회의 「관주성경전서 개역한글판(1962년 초판 발행)」[2],「관주 성경전서 간이 국한문 개역 한글판」(1964년 초판 발행)을 들 수 있다.

위의 한자들은 대한민국의 KS X 1001 상용 한자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스물 입의 경우 다른 형태인 ‘卄’나 '廾(다른 나라에서는 받들 공이지만 대한민국에선 스물 입으로도 쓰임)'을 쓴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표기 차이

[편집]

한국어중국어의 1부터 1,000까지 숫자의 표기는 모두 같다.[3] 그러나 1,000 이상부터는 다르다. 중국어에서는 만, 천자리의 다음에 한자리 숫자가 올 경우, 그 바로 전 단위로 인식한다. 즉 一萬二는 중국어에서 10,002가 아닌 12,000을 나타낸다.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10,002를 나타낸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갖은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
  2. 본문 그림은 국민일보 2008년 8월 20일 기사내 그림 참고
  3. 한자 숫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