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모음근
짧은모음근 | |
---|---|
정보 | |
이는곳 | 두덩뼈 아래가지의 앞쪽 표면과 두덩뼈몸통 |
닿는곳 | 넙다리뼈의 작은돌기와 거친선 |
동맥 | 깊은넙다리동맥 |
신경 | 폐쇄신경 |
작용 | 엉덩관절 모음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adductor brevis |
영어 | adductor brevis muscle |
TA98 | A04.7.02.027 |
TA2 | 2629 |
FMA | 22442 |
짧은모음근(adductor brevis muscle) 또는 단내전근(短内轉筋)은 두덩근과 긴모음근 바로 깊은쪽에 위치하는 넓적다리의 근육이다. 엉덩관절 모음근에 속하며 주된 기능은 넓적다리를 안쪽으로 당기는 것이다.[1] 짧은모음근과 다른 엉덩관절 모음근들은 양 발로 서 있을 때 몸통의 좌우 움직임을 안정화하거나, 움직이는 면 위에 서 있을 때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말을 탈 때 넓적다리를 누르거나 축구나 수영 중에 발 안쪽으로 무언가를 찰 때도 이용된다. 마지막으로는 달리기나 부하에 저항하는 힘을 낼 때(스쿼트, 점프 등)에 넓적다리의 굽힘에 기여한다.[2]
구조
[편집]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두덩뼈의 몸통과 아래가지에서 좁게 시작된다. 이는곳은 두덩정강근과 바깥폐쇄근 사이에 위치한다. 세모꼴이던 짧은모음근은 넓어져 거친선의 위쪽 부분에 닿는다. 이 닿는곳은 두덩근의 닿는곳 바로 가쪽, 긴모음근의 위쪽에 있다.
위치 관계
[편집]앞면에는 두덩근, 긴모음근, 폐쇄동맥의 앞가지, 폐쇄정맥, 폐쇄신경이 존재한다.
뒷면에는 큰모음근, 폐쇄동맥 뒤가지, 폐쇄정맥, 폐쇄신경 등이 있다.
가쪽 경계에는 바깥폐쇄근과 엉덩허리근이, 안쪽 경계에는 두덩정강근과 큰모음근이 위치한다.
짧은모음근의 닿는곳 근처에서 관통동맥들 중 중간의 것이 짧은모음근을 뚫고 지나간다.[3]
신경 분포
[편집]폐쇄신경의 앞가지와 뒤가지가 둘 다 짧은모음근에 분포한다.[4]
기능
[편집]엉덩관절 모음근으로 주로 알려져 있으며 엉덩관절 굽힘근으로도 기능한다. 넙다리뼈를 가쪽으로 돌릴지 안쪽으로 돌릴지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추가 이미지
[편집]-
넓적다리 안쪽의 깊은층 근육들
참고 문헌
[편집]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473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Saladin, Kenneth (2010). 《Anatomy &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6판. McGraw-Hill. ISBN 978-0-07-337825-1.
- ↑ Moore, Keith (1999). 《Clinically Oriented Anatomy》 5판.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 Wilson, Erasmus (1851). 《The anatomist's vade mecum: a system of human anatomy》. John Churchill. 260–1쪽.
- ↑ Miura M, Nakamura E, Kato S, Usui T, Miyauchi R (August 1994). “The true nature of the adductor brevis dually innervated by the anterior and posterior branches of the obturator nerve in humans”. 《Okajimas Folia Anatomica Japonica》 71 (2–3): 67–82. doi:10.2535/ofaj1936.71.2-3_67. PMID 7808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