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룩
막룩 หมากรุก | |
---|---|
Years active | 불명, 싯두인 이전으로 추정 |
장르 | |
플레이어 | 2 |
셋업 타임 | 약 1분 |
플레이 타임 | 평균 20분에서 몇 시간까지 |
랜덤 찬스 | 없음 |
막룩(태국어: หมากรุก, 왕립타이식: mak ruk,[1] 발음 [màːk rúk]) 또는 막룩 타이(태국어: หมากรุกไทย; 왕립타이식: mak ruk thai, 발음 [màːk rúk tʰaj])은 타이의 보드게임으로, 6세기 인도 게임인 차투랑가 또는 이와 유사한 게임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진 타이식 장기이다.[2]
기본적으로 동일한 게임이 진행되는 캄보디아에서는 옥(ouk, 크메르어: អុក, 발음 [ʔok]) 또는 옥 짜뜨르앙(ouk chatrang, 크메르어: អុកចត្រង្គ, 발음 [ʔok.caʔ.ˈtrɑŋ])으로 알려져 있다.[3]
기원
[편집]14세기경 페르시아 상인들이 아유타야 왕국에 들어와 자신들의 문화를 전파하고 타이 왕국과 무역을 펼쳤다. 따라서 현재 형태의 시암 막룩은 이 시기 두 민족 간의 문화 교류를 통해 페르시아의 샤트란지 게임에서 직접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있다. 이는 막룩의 퀸 또는 "씨앗(เม็ด)"의 움직임이 본질적으로 샤트라니의 페르즈(ferz)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투랑가, 캄보디아명 옥 짜뜨르앙(អុកចត្រង្គ) 사이의 유사성과 "귀족(โคน, គោល)"의 행마법이 유사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게임이 인도에서 직접 유래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4][3] 머레이는 자신의 저서 《체스의 역사》에서 이 게임이 불교의 전래와 함께 전해졌을 것이라고 추측하였다.[4]
기물
[편집]체스 대응(영어) | 킹 (1) | 퀸 (1) | 비숍 (2) | 나이트 (2) | 룩 (2) | 폰 (8) | 승격 폰 (퀸) |
---|---|---|---|---|---|---|---|
한국어 표기 | 쿤 | 멧 | 콘 | 마 | 르어 | 비어 | 비어-응아이 |
태국어 표기 | ขุน | เม็ด | โคน | ม้า | เรือ | เบี้ย | เบี้ยหงาย |
RTGS | khun | met | khon | ma | ruea (rua) |
bia | bia-ngai |
의미 | 영주 | 씨앗 | 귀족 | 말 | 보트 | 조개껍데기 | 뒤집힌 조개껍데기 |
시작 위치에서 비어는 가로 3·6번째 줄에 배치된다. 멧은 쿤의 오른쪽에 배치된다.
규칙
[편집]기물 | 이동경로 | 이동방법 | |||||||||||||||||||||||||
---|---|---|---|---|---|---|---|---|---|---|---|---|---|---|---|---|---|---|---|---|---|---|---|---|---|---|---|
쿤(ขุน) |
|
장기의 장과 체스의 킹에 해당하는 최고등급의 말로서 모든 방향으로 한칸씩 움직일 수 있어 체스 킹과 움직이는 법이 같다. 쿤이 잡히거나, 외통수에 걸리면 게임이 끝난다. 쿤은 타이의 영주에 해당하는 칭호라고 한다. | |||||||||||||||||||||||||
르어(เรือ) |
|
직선방향으로 가로 세로 어디든지 갈 수 있는 말로, 체스의 룩, 장기의 차에 해당한다. 르어는 타이어로 보트라는 뜻이다. | |||||||||||||||||||||||||
마(ม้า) |
|
말모양의 기물로서, 직선으로 한칸, 대각선으로 한칸의 움직임을 하여, 체스의 나이트, 장기의 마와 비슷하다. 다만, 나이트같이 중간에 다른 말이 있어도 건너뛰어 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마보다 나이트에 가깝다. | |||||||||||||||||||||||||
콘(โคน) |
|
대각선 방향으로 한 칸, 또는 전진 방향으로 한 칸을 움직일 수 있는 말이다. 장기나 체스에는 같은 말이 없으나 일본 장기의 은과 같은 움직임이다. | |||||||||||||||||||||||||
멧(เม็ด) |
|
대각선 방향으로 한 칸만 움직일 수 있는 말이다. | |||||||||||||||||||||||||
비어(เบี้ย) |
|
앞으로 한 칸씩만 움직일 수 있으며, 대각선의 진행방향에 있는 적만 잡을 수 있어서, 체스의 폰과 같다. 다만, 체스 폰과 달리, 처음 시작할 때 두 칸을 움직일 수 없고, 앙파상으로 잡을 수도 없다. 자기 진영의 맨 첫칸을 1열로 봤을 때, 6열에 진입하면 승격할 수 있으며 "멧"과 움직임이 같아진다. 승격된 비어는 "비어-응아이"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기물을 뒤집어 승격됨을 표시한다. |
카운트 규칙
[편집]어느 쪽에도 비어가 없으면 게임을 특정 수 내에 완료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무승부로 선언된다. 기물을 잡으면 게임에서 선수의 마지막 기물에만 카운트가 다시 시작된다.
- 두 선수 모두 남은 비어가 없으면, 64수안에 외통수를 달성해야 한다. 불리한 쪽의 선수가 카운트하며 언제든지 카운트를 중단할 수 있다. 불리한 쪽의 선수가 유리한 쪽을 외통수하고 카운트를 중단하지 않으면 게임은 무승부가 된다.
불리한 쪽의 마지막 기물(쿤 제외)이 잡히면 불리한 쪽이 카운트를 시작하거나 앞서 언급한 카운트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이제 유리한 쪽은 남은 기물에 따라 다음을 기반으로 최대 이동수를 갖는다.:
- 르어가 2개 남았을 경우: 8수
- 르어가 1개 남았을 경우: 16수
- 르어가 남아있지 않고, 콘이 2개일 경우: 22수
- 르어와 콘이 없고, 마가 2개일 경우: 32수
- 르어가 남아있지 않고, 콘이 1개일 경우: 44수
- 르어와 콘이 없고, 마가 1개일 경우: 64수
- 르어,콘,마가 없고, 멧만 남은 경우: 64수
불리한 쪽은 양쪽 쿤을 포함하여 판에 남아 있는 기�� 수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도주 횟수를 세는 것을 발표한다. 승리한 쪽은 최대 숫자가 발표되기 전에 상대방의 쿤을 외통수 시켜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게임은 무승부로 선언된다. 이 과정에서 카운트 플레이어가 카운트를 중지하고 다시 카운트를 시작하기를 원할 경우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 남은 흑색 쿤을 상대로 백색이 2개의 르어와 1개의 마를 가지고 있다면 상대를 외통수하기 위해 3번의 이동이 가능하다(주어진 8수에서 총 기물 수 5를 뺀 값). 흑색이 백색 르어를 포획하면 흑색이 자신에게 불리하게 할 의사가 없는 한 카운트가 자동으로 다시 시작되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플레이어들은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흑색 쿤과 함께 도주하면서 카운트를 다시 시작한다.
체스와의 차이
[편집]- 체스에서는 폰이 다른 기물의 바로 앞 열에 배치되지만, 막룩의 비아는 그보다 한 칸 더 앞에 배치된다.
- 폰은 처음에 2칸 이동 가능하지만, 비아는 무조건 1칸으로만 이동한다. 또 앙파상이 없다.
- 체스의 퀸은 비숍과 룩을 합친 행마법을 가지나, 막룩의 퀸에 해당되는 멧은 대각선으로 1칸씩만 이동한다.
- 체스의 폰은 맨 마지막 열에 도달해야만, 퀸, 룩, 나이트, 비숍 중 하나로 승급하나, 비아는 상대편 비아의 초기 위치에 도달하면 무조건 오로지 멧과 동일한 기물로만 승급 할 수 있다.
- 비숍은 대각선으로 제한 없이 이동하고, 콘은 대각선과 직진 1칸으로 이동한다. 쇼기의 은장과 같다.
- 체스의 보드는 흑백으로 도색된 체커보드를 사용하지만, 막룩은 체커 무늬가 없다.
변형
[편집]표준, 공식 게임에 적용되지 않거나 프로 경기에서 폐기된 규칙이 있다. 이들을 수트라(sutra)라고 부른다. 첫 번째 자유이동은 캄보디아 옥의 자유이동과 유사하다.
- Sut Khun / สูตรขุน ("쿤 수트라") 체스의 캐슬링 규칙과 비교할 수 있다. 규칙에 따라 선수는 쿤이 아직 움직이 않는 한 마처럼 쿤을 다음 행의 빈 칸으로 이동 할 수 있다.
- Sut Met / สูตรเม็ด ("멧 수트라") 비공식적인 규칙에서 가장 인기 있는 수트라. 이는 플레이어가 멧과 비어를 멧 앞에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첫 자유이동이다. 이 수트라에서는 두 기물이 옮겨진다. 먼저 멧 앞에 있는 비어를 앞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멧을 비어가 방금 비운 빈 칸으로 이동하면 멧이 두 칸 앞으로 이동한다.
- Sut Ma / สูตรม้า ("마 수트라") 선수가 같은 수에 마와 비어를 해당 마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첫 자유이동이다. 이 수트라에서는 두 기물이 옮겨진다. 먼저, 마 앞의 비어를 마로부터 앞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마를 비어가 방금 비운 칸으로 이동한다.
- Takhaeng Ruea / ตะแคงเรือ ("르어 기울기") 하나 또는 두 개의 르어를 뒤집으며, 르어가 멧으로 변경된다. 이는 하나 또는 두개의 르어 위력을 감소시킨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หมากรุก”. 《thai-language.com》. 201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Murray, H. J. R. (1913). 《A History of Chess》 Reissu판.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27403-3.
- ↑ 가 나 “Ouk Chatrang – Makruk”. 《history.chess.free.fr》. 2023년 6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Murray, H. J. R. (1913). 〈Chapter VI Chess In Further India〉. 《A History of Chess》 Reissu판. Oxford University Press. 108쪽. ISBN 0-19-827403-3.
외부 링크
[편집]- MakrukThai AI หมากรุกไทย เอไอ
- "Alisa" The world strongest makruk program Archived 2016년 8월 15일 - 웨이백 머신
- How to play Thai Chess Archived 2010년 3월 1일 - 웨이백 머신
- How to play Thai Chess – by Ancient Chess.com
- Makruk at The Chess Variant Pages
- Makruk: Chess in Cambodia
- Ouk chatrang (Cambodian chess) and makruk (Thai chess)
- Free makruk chess pieces (svg file format)
- How to Play Makruk (หมากรุก): The Chess of Thai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