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지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지진(일본어: 東海・東南海・南海地震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지신[*])은 난카이 해곡 일대에서 도카이 지진, 도난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이 동시에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예상되는 연동형 대지진이다. 3연동지진(三連動地震)이라고도 한다.

스루가만에서 규슈에 걸친 태평양 연안에는 필리핀 해 판유라시아 판수렴 경계난카이 해곡이 길게 뻗쳐 있다. 이 해곡은 100년-150년 간격으로 주기적인 대지진(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을 반복한다고 생각된다. 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지진들은 모두 이 주기적 고유지진인데, 도카이 지진은 스루가만, 도난카이 지진은 엔슈나다구마노나다, 난카이 지진은 기이 수도도사만을 각각 진원으로 가정되어 있다. 이 세 지진의 발생시기가 겹쳐서 동시에 발생할 경우가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지진 3연동지진으로 상정되는 것이다.

역사적 사례를 살펴볼 때, 비교적 사료가 갖추어져 있는 호에이, 안세이, 쇼와 시대의 5개 지진을 모델로 각 진원지역이 단독 또는 동시발생하는 경우를 추정하고 있다.[1][2]

  • 과거 5대 지진의 진원지 (종래 견해)
  1. 1707년 10월 28일 (호에이 4년 음력 10월 4일) 호에이 지진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연동) M8.6
  2. 1854년 12월 23일 (안세이 7년 음력 11월 4일) 안세이 도카이 지진도카이 도난카이 연동) M8.4
  3. 1854년 12월 24일 (안세이 7년 음력 11월 5일) 안세이 난카이 지진난카이 지진) M8.4
  4. 1944년(쇼와 19년) 12월 7일 쇼와 도난카이 지진도난카이 지진) M7.9
  5. 1946년(쇼와 21년) 12월 21일 쇼와 난카이 지진난카이 지진) M8.0

1707년의 호에이 지진은 3연동지진으로 간주되고 있다.[1][3] 대규모 지진해일 퇴적물이 발견된 684년의 하쿠코 난카이 지진과 1361년(쇼헤이 16년)의 쇼헤이 지진도 호에이형 연동지진일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고,[4] 기록상 887년(닌나 3년)의 닌나 지진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져 왔다.[5] 1605년(게이초 9년)의 게이초 지진도 지진해일의 파원 영역이 도카이에서 난카이에 이른다고 하는데,[6] 이 지진은 보소 난바다 지진도 연동했다는 설도 있고,[7] 도카이도 훨씬 앞바다가 진원이라는 설,[8] 아예 난카이 해곡 관련 지진이 아니라는 설까지 다양한 설이 있다.[9]

그러나 닌나 지진은 시즈오카 현의 유적에서 발견된 9세기 후반 무렵의 지진해일 퇴적물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3연동지진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10][11] 또 닌나 지진에 상당하는 지진해일 퇴적물은 난카이 쪽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쇼헤이 지진에 상당하는 지진해일 퇴적물도 도카이 쪽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12]

후속연구를 통해 지진이 일어날 때마다 진원지가 변화한다는 인식 하에 기존의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의 테두리에 사로잡히지 않은 견해들이 나오게 되었다. 예컨대 같은 난카이 지진이라도 안세이 난카이 지진은 난카이도 앞바다 전역이 진원지였던 반면, 쇼와 난카이 지진은 동쪽 4분의 3만 진원지였다고 추정된다.[13] 한편 도쿄 대학 지진연구소의 세노 데쓰조는 2011년 현재의 3지진 분류를 바꿀 필요성을 제기하며, 난카이 해곡의 동쪽 진원지(도난카이와 도카이)와 연동하여 시즈오카현 부근까지 단층파괴가 진행되는 "안세이형", 그 진원지와 연동하지 않고 시즈오카까지는 단층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호에이형"의 2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설을 제기하고 있다.[14] 세노 데쓰조는 2013년에는 난카이 트로프를 따라 일어난 역사지진 중 3연동지진이라는 증거가 확실한 지진은 없다고까지 주장했다.[1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南海トラフの地震の長期評価について,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2. 東南海、南海地震等に関する専門調査会(第16回)、内閣府
  3. 都司嘉宣, 行谷佑一(2007):連動型巨大地震としての宝永地震(1707),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2007年大会、T235, 010.
  4. 松岡裕美, 岡村眞, 岡本直也, 中野大智, 千田昇, 島崎邦彦(2007): 津波堆積物に記録された南海地震の繰り返し間隔,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2007年大会予稿集,S141-P037.
  5. 石橋克彦(2000):887年仁和地震が東海・南海巨大地震であったことの確からしさ,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地球惑星科学関連学会2000年合同大会予稿集, Sl-017.
  6. 今村明恒(1943):「慶長九年の東海南海両道の地震津浪に就いて」、『地震』、第1輯、15号、150-155頁
  7. 羽鳥徳太郎(1975): 明応7年・慶長9年の房総および東海南海道大津波の波源, 東京大学地震研究所彙報, 50, 171-185.
  8. 地震の事典
  9. 石橋克彦, 原田智也(2013): 1605(慶長九)年伊豆-小笠原海溝巨大地震と1614(慶長十九)年南海トラフ地震という作業仮説,日本地震学会2013年秋季大会講演予稿集,D21‒03
  10. : 藤原治(2013) Archived 2014년 6월 6일 - 웨이백 머신 藤原治, 青島晃, 北村晃寿, 佐藤善輝, 小野映介, 谷川晃一朗, 篠原和大(2013): 元島遺跡周辺(静岡県磐田市)で見られる4世紀から中世にかけての津波堆積物,歴史地震, 28号,145.
  11. 3連動地震、7世紀にも発生か 静岡で津波堆積物 「南海」と同時期、産総研が確認 日本経済新聞, 2012年8月21日付
  12. 中間とりまとめ, 内閣府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13. 地震調査委員会、2013年5月、主文10頁および説明文別表
  14. 瀬野徹三(2011): 「南海トラフ巨大地震 -その破壊の様態とシリーズについての新たな考え」 Archived 2013년 10월 5일 - 웨이백 머신,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11年
  15. 瀬野徹三(2011): 南海トラフ三連動型地震・M9はあり得るか? Archived 2014년 7월 14일 - 웨이백 머신, 第21回GSJシンポジウム「古地震・古津波から想定する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