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조 (음악가)
보이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8년 4월) |
김희조 金熙祚 | |
별명 | 호(號)는 춘봉(春峯, 春峰) |
---|---|
출생일 | 1920년 11월 21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성부 |
사망일 | 2001년 9월 4일 | (80세)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과천시 |
본관 | 김해(金海) |
배우자 | 지정숙 |
자녀 | 슬하 2남 1녀 (장남 김은기, 외동딸 김득주, 차남 김덕기)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요셉)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복무기간 | 1948년 ~ 1957년 3월 18일 |
근무 | 육군본부 |
최종계급 | 육군 중령 |
지휘 | 육군 군악대장 |
주요 참전 | 한국 전쟁 |
기타 이력 | 한국독립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서울예술전문대학 국악학과 교수 대한올림픽위원회 문화위원 대한체육회 전임고문 신민주공화당 문화체육행정특임위원 자유민주연합 문화예술행정특임고문 |
서훈 | 청룡영화상 음악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음악상 한국방송문화상 대종상 영화제 음악상 KBS 국악대상 특별공로상 반달동요대상 1991년 옥관문화훈장 2004년 은관문화훈장 추서 |
김희조(金熙祚, 1920년 11월 21일 ~ 2001년 9월 4일)는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군인이며 대학 교수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령이다. 국민 체조의 음악을 작곡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생애
[편집]일생
[편집]본관은 김해(金海)이고 경성부 종로구역 내수정 출생이며 아호(雅號)는 춘봉(春峯, 春峰)이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타고난 음악적 재능이 뛰어났으며 클래식 음악과 한국 전통 음악의 접목과[1][2] 영화 음악에도 공로가 지대한 음악가이다.
이에 아울러 그는 시인 김구용(金丘庸) 前 중앙대학교 초빙교수, 정치가 김종익(金鍾翊) 前 자유민주연합 고문, 정치가 박승하(朴勝夏) 前 국방부 차관 예하 행정정무보좌관, 무용평론가 조동화(趙東華) 前 건국대학교 교수 등과는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 동창이기도 하다.
음악 활동 기여 관련 전력
[편집]대한민국 군가 《우리는 대한국군》이라는 작품은 김희조가 작곡하고 시인 겸 국문학자 모기윤(毛麒允)이 가사를 작사한 곡이다.
새마을 운동에 관련된 노래 작품 중 《잘 살아 보세》는 극작가 겸 작사가 한운사가 작사를 하였으며 김희조가 작곡을 하여 가수 겸 피아니스트 전석환이 지휘자로 있던 새마을 합창단이 1972년에 음반으로 녹음해서 발표했다.
국악 창작곡도 작곡하였다.[3]
소속
[편집]주요 경력
[편집]- 1939년 경성부 부민관에서 하모니카 연주자 첫 데뷔.
- 1940년 경성 조광은행 입행(경성 조광은행 잡역요원).
- 1940년 기타 연주자 데뷔.
- 1942년 바이올린 연주자 데뷔.
- 1943년 비올라 연주자 데뷔.
- 1944년 경성 조광은행 잡역요원 직위에서 퇴직.
- 1948년 육군 소위 임관.
- 1948년 육군 군악대장으로 지휘자 데뷔.
- 1949년 육군 중위 진급(1949년 7월).
- 1950년 육군 대위 진급(1950년 3월).
- 1952년 육군 소령 진급(1952년 3월).
- 1954년 육군 중령 진급(1954년 2월).
- 1957년 육군 중령 예편(1957년 3월).
- 1957년 영화 《산적의 딸》로 영화 음악감독 데뷔.
- 1957년 경희대학교 교수(1962년 퇴임).
- 1957년 한국독립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1957년 12월).
- 1958년 한국독립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직위 퇴임(1958년 2월).
- 1958년 서울시립교향악단 부지휘자(1959년 퇴임).
- 1958년 서울중앙방송관현악단 상임지휘자(1972년 퇴임).
- 1960년 거문고 연주자 데뷔.
- 1962년 가야금 연주자 데뷔.
- 1965년 대금 연주자 데뷔.
- 1968년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지휘자(1974년 퇴임).
- 1970년 대한체육회 전국체전전수분과위원.
- 1971년 공연윤리위원회 심사위원.
- 1971년 예그린악단 운영위원.
- 1973년 한국영화협회 음악분과위원장.
- 1974년 국립가무단 단장(1978년 퇴임).
- 1975년 방송윤리위원회 위원.
- 1977년 서울시립가무단 상임지휘자(1979년 퇴임).
- 1981년 방송심의위원회 위원.
- 1982년 서울예술전문대학 국악학과 과장(1988년 퇴임).
- 1983년 국립중앙극장 예하 국립극단 종신단원.
- 1985년 공연윤리위원회 위원.
- 1988년 신민주공화당 문화체육행정특임위원(1988년 12월).
- 1989년 ��민주공화당 문화예술행정특임위원 직위 퇴임(1989년 6월).
- 1990년 대한올림픽위원회 문화위원.
- 1991년 국립극장 국립극단 명예종신단원.
- 1993년 대한체육회 전임고문.
- 1995년 자유민주연합 문화체육행정특임고문(1995년 12월).
- 1996년 자유민주연합 문화체육행정특임고문 직위 퇴임(1996년 3월).
- 1999년 음악가 분야 전격 은퇴(1999년 1월 16일).
학력
[편집]- 1933년 경성 매동보통학교 졸업
- 1939년 경성 동성고등상업학교 졸업
- 1945년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 졸업
- 1948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7기
- 1949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2년 대한민국 육군기갑학교 졸업
- 1949년 대한민국 육군공병학교 졸업
- 1954년 대한민국 육군정훈학교 졸업
- 1955년 대한민국 육군고급부관학교 졸업
- 1957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2기
- 1961년 건국대학교 상학과 학사
각주
[편집]- ↑ “‘국악과 양악은 김희조를 통해 만났다’ : 김희조(1920~2003)”. 2020년 5월 6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명 작곡가를 위한 헌정공연', 국립국악관현악단 2016 마스터피스”. 2020년 5월 6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국악과 양악은 김희조를 통해 만났다’ : 김희조(1920~2003)”. 2020년 5월 6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편집]분류:
- 1920년 출생
- 2001년 사망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
- 대한민국의 하모니카 연주자
- 대한민국의 기타 연주자
- 대한민국의 바이올린 연주자
- 대한민국의 비올라 연주자
- 대한민국의 클래식 음악가
- 대한민국의 영화 음악 작곡가
- 대한민국의 국악인
- 대한민국의 지휘자
- 한국의 회고록 작가
- 대한민국 육군 중령
-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한국독립당의 당원
- 한국국민당 (1981년) 당원
- 자유민주연합 당원
- 신민주공화당
- 청룡영화상 수상자
- 백상예술대상 수상자
- 대종상 수상자
-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 옥관문화훈장 수훈자
- 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
- 김해 김씨
- 서울매동초등학교 동문
- 동성중학교 (서울) 동문
- 동성고등학교 (서울) 동문
- 육군사관학교 동문
-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 동문
- 육군기갑학교 동문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
- 육군기계화학교 동문
- 육군보병학교 동문
- 육군공병학교 동문
- 육군정훈학교 동문
- 육군고급부관학교 동문
- 건국대학교 동문
- 국방대학교 동문
- 서울예술대학교 교수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개신교를 이탈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