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수현
보이기
![]() | |
---|---|
기본 정보 | |
본명 | 김수현 |
출생 | 1919년 7월 22일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면 |
사망 | 1992년 8월 31일![]() | (73세)
성별 | 남성 |
직업 | 테너 성악가 가곡 작사가 가곡 작곡가 지휘자 수필가 고전음악평론가 사회기관단체인 |
장르 | 서양 고전 음악 |
활동 시기 | 1940년 ~ 1990년 |
악기 | 지휘 |
배우자 | 전혜금 |
가족 | 슬하 4남 1녀 장남 금나라 차남 금난새 차자부 홍정희 딸 금내리 사위 황남일 3남 금누리 3자부 임선희 4남 금노상 4자부 이미경 장인 전상범 장모 김말봉 |
금수현(金水賢, 1919년 7월 22일 ~ 1992년 8월 31일)은 대한민국의 테너 성악가, 가곡 작곡가·작사가, 지휘자, 음악교육가이다. 본관은 김녕(金寧). 아호(雅號)는 낙초(洛初)이다.
소속
[편집]생애
[편집]경상남도 김해군 대저면에서 출생하였으며[1] 지난날 한때 경상남도 동래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의 본명은 김수현(金守賢)이나, 20대 시절에 김수현(金水賢)으로 개명 및 활동명을 금수현으로 바꾸었다. 현재 그의 후손들도 금씨로 활동하고 있다.[2]
1940년 일본 도요 ���악학교에서 공부하고 돌아와 동래여자고등학교, 경남여자고등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치면서 작곡 활동을 하였으며, 이때 〈그네〉를 작곡하였다.
1956년 문교부 편수관이 되어 음악 교과서를 만드는 데 힘썼다. 1965년 영국 필하모니 관현악단 이사장을 지냈으며, 월간지 《음악》을 창간하였다. 그 후 교육부 국정교과서 편찬위원, 숙명여자대학교 강사가 되었으며, 여러 음악 관련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1968년 영필하모니를 창단하여 젊은이들을 위한 교향악운동을 전개하였다.[3]
한국가곡작곡가협회 명예회장을 지냈다.
그의 차남은 현재 서양 고전 음악 지휘자 활동중인 지휘자 금난새이다.
저서
[편집]저서로 《표준 음악 사전》, 수필집 《음악의 문》 등이 있다.
가족 관계
[편집]학력
[편집]- 경상남도 부산제2고등상업학교 졸업
- 일본 도요 음악학교 전문학사
각주
[편집]- ↑ 출생 당시에는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면이었으나 현재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으로 행정구역명이 변경되었다.
- ↑ 대법 “금난새 가족관계부 姓, 김 아닌 금이 맞다” 동아일보 2020년 1월 21일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김말봉은 전혜금의 계모였으며, 전상범 사후 재혼했으므로, 당시 민법에 따라 금수현과 전상범의 결혼 전 이미 인척관계가 단절되어 법적이 아닌 사회적 인간관계 측면에서의 장모에 해당된다.
![]() |
이 글은 음악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교육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