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러시아어: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 문화어: 연해변강)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연방주체이다. 프리모르스키는 러시아어로 "바다와 접해 있다"를 뜻한다. 한자로 훈차해서 연해주(沿海州)라고도 불린다. 행정 중심지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km2, 인구는 191만 3,037명(2018년 기준)이다.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Primorsky Krai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 | |||||
---|---|---|---|---|---|
| |||||
별칭 | Primorye | ||||
행정 | |||||
국가 | 러시아 | ||||
지역 | 극동 경제구 | ||||
자치구 | 극동 연방관구 | ||||
지리 | |||||
면적 | 165,900 km2 | ||||
시간대 | UTC+10 | ||||
인문 | |||||
인구 | 1,956,497명(2010년) | ||||
인구 밀도 | 12명/km2 | ||||
지역어 | 러시아어 | ||||
지역 부호 | |||||
자동차번호 | 25, 125 | ||||
ISO 3166-2 | RU-PRI | ||||
웹사이트 | http://www.primorsky.ru/ |
상징
편집-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기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문장
지리
편집역사
편집고고학적 자료에 의하면 연해주에 최초로 살았던 사람들은 고아시아인들과 퉁구스인들이었다. 5~6만 년 전의 구석기 시대에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나나이, 우데게, 에벤키 같이 퉁구스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이 아직도 연해주와 아무르주에 거주하고 있다.
698년부터 926년까지는 발해가 이 지역을 통치하였다. 발해는 연해주 외에도 만주와 한반도 북부를 통치했으며, 만주와 이 지역의 일부를 통치하였던 고구려의 후예와 퉁구스 계통의 말갈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115년부터 1234년까지 극동 러시아의 남쪽 부분은 보다 강력한 제국인 여진족의 금나라가 지배하였다. 여진족은 퉁구스계의 민족이다. 유목과 농업이 그들의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 금나라는 또한 야금, 조선(造船) 등의 산업이 있었다. 금나라는 발해와 마찬가지로 송, 고려,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북부 중국을 점령한 금나라는 꽤 강한 국력을 과시하였다.
금나라는 몽골 제국 칭기즈 칸의 침입으로 멸망하였고, 이후 300년 이상 이 지역은 비옥한 토지와 독특한 동식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다 할 문명이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지역과 만주를 활동한 만주족이 17세기 초 기반으로 중원을 통일하고 청나라를 건설하면서 청나라의 영토가 되었다.
17세기 중엽 러시아 제국이 아무르강 방면으로 남하하면서 청-러시아 국경 분쟁이 일어났다. 1689년에 양국은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해 스타노보이산맥을 국경으로 정했다. 제2차 아편 전쟁(1856년 - 1860년)으로 청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러시아 제국은 남진하여 니콜라이 무라피요프-아무르스키 백작에게 있어서 러시아가 해안지방을 획득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였다. 그래서, 러시아는 1858년 체결한 아이훈 조약으로 아무르강의 이북 지역을, 1860년에 체결한 베이징 조약으로 우수리강 동쪽인 연해주를 차지하였다.
1859년부터 1882년 사이에 95개의 정착지가 건설되었다. 블라디보스토크와 우수리스크도 이 시기에 건설되었다. 당시 인구의 3분의 2 이상은 농업, 수렵, 생선 교역에 종사하고 있었다. 19세기 말엽에 석탄 채굴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또한 케일, 녹용, 목재, 게, 건어물, 해삼 등도 수출되기 시작하였다. 1905년에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우랄산맥 아래의 첼랴빈스크까지 개통되었다.
1920년 3월 12일에는 니콜라옙스크 사건으로 독립군과 붉은 군대는 일본군과 백군을 전멸시켰다.[1][2]
러시아 내전이 끝난 1922년부터 이 지역의 발전은 러시아를 새로 차지하게 된 볼셰비키의 계획에 따라 이루어졌다. 어업과 광업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고 철도와 해운업 역시 발달했다.
주민
편집거의 대부분이 러시아인이나,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한국인(주로 고려인, 일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출신), 일본인, 중국인, 우데게족, 오로치족, 나나이족, 폴란드인, 타타르족, 독일인, 유대인, 아제르바이잔인, 아르메니아인 등 여러 소수민족들이 거주한다.
인구
편집연도 | 인구 | ±% |
---|---|---|
1897 | 190,012 | — |
1926 | 633,800 | +233.6% |
1939 | 906,805 | +43.1% |
1959 | 1,381,018 | +52.3% |
1970 | 1,721,285 | +24.6% |
1979 | 1,977,779 | +14.9% |
1989 | 2,258,391 | +14.2% |
2002 | 2,071,210 | −8.3% |
2010 | 1,956,497 | −5.5% |
2021 | 1,845,165 | −5.7% |
Source: Census data |
행정 구역
편집도시
편집군
편집- 아누친스키군 (아누치노)
- 달네레첸스키군 (달네레첸스크)
- 카발레롭스키군 (카발레로보)
- 키롭스키군 (키롭카)
- 크라스노르메이스키군 (노보포크롭카)
- 라좁스키군 (라조)
- 레소자보츠키군 (레소자보츠크)
- 미하일롭스키군 (미하일롭카)
- 나데즈딘스키군 (볼노나데즈딘스코예)
- 옥탸브리스키군 (포크롭카)
- 올긴스키군 (올가)
- 파르티잔스키군 (블라디미로알렉산드롭스코예)
- 포그라니치니군 (포그라니치니)
- 포자르스키군 (루체고르스크)
- 스파스키군 (스파스크달니)
- 테르네이스키군 (테르네이)
- 우수리스키군 (우수리스크)
- 한카이스키군 (카멘리볼로프)
- 하산스키군 (슬라뱐카), 하산)
- 호롤스키군 (호롤)
- 체르니곱스키군 (체르니곱카)
- 추구옙스키군 (추구옙카)
- 시코톱스키군 (볼쇼이카멘)
- 야코블렙스키군 (야코블렙카)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he destruction of Nikolayevks-on-Amur: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book review in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Kim Young Sik, Ph.D. The Free City (Amur River – Hukgang) Incident The left-right confrontation in Korea – Its origin Archived 2015년 9월 23일 - 웨이백 머신 Association For Asian Research 11/13/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