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912호선
보이기
경상북도 지방도 | |
---|---|
912 | |
청리 ~ 현서선 | |
지방도 제912호선 | |
총연장 | 107.37km |
기점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 |
주요 경유지 |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청송군 |
종점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구산리 |
주요 교차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5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지방도 제914호선 지방도 제916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지방도 제927호선 지방도 제930호선 |
지방도 제912호선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 청리 교차로에서 청송군 현서면 구산리를 잇는 경상북도의 지방도이다.
의성읍 중심지를 통과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혁
[편집]- 2003년 2월 20일 : 노선 폐지 및 재지정[1]
- 2005년 11월 :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 ~ 청상리 1.18km 구간 도로 재포장[2]
- 2007년 6월 13일 : 안사 ~ 신평간 도로(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3.02km 구간 확장 개통[3]
- 2018년 11월 15일 : 노선 기점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로 연장 및 전체 노선 연장 5.1km 단축.[4]
주요 경유지
[편집]- 의성군
- 단밀면 낙단교 - 낙정정류소 - 낙단보 좌안 - 생송리 - 생송교 - 주선리 - 단밀중학교 - 단밀교
- 단북면 단밀교 - 이연리 - 노연리 - 단밀약방 - 삼성중학교 - 용기삼거리 - 용기사거리 - 용기 교차로 - 하덕교 - 도덕리
- 안사면 안사면사무소 - 안사교 - 안사리
- 신평면 검곡리 - 마안교 - 검실재
- 안평면 검실재 - 금곡리 - 하령리 - 하령교 - 창길리 - 안평중학교 - 안평파출소 - 안평초등학교 - 안평면사무소 - 박곡리 - 신월교 - 석탑리 - 광암교 - 신월리
- 의성읍 철파리 - 철파교 - 철파사거리 - 철파2교 - 의성교 동단 - 북원사거리 - 의성시외버스터미널 - 의성역 (역전오거리) - 의성초등학교 - 의성군청 - 의성고등학교 - 대구지방법원 의성지원 - 의성여자중학교 - 지곡서원 - 상리삼거리 - 상리리
- 사곡면 오상리 - 신감리 - 신감삼거리 - 신감교 - 양지리 - 사곡초등학교 (폐교) - 사곡면사무소 - 의성중학교 사곡분교 (폐교) - 매곡리 - 사곡저수지 - 공정리 - 사곡령
중복 구간
[편집]- 상주시 낙동면 용포교 동단 ~ 구미시 옥성면 산촌마을입구 : 지방도 제916호선과 중복
- 구미시 옥성면 구봉삼거리 ~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 : 국도 제59호선과 중복
- 의성군 단북면 단밀약방 ~ 삼성중학교 :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
- 의성군 신평면 마안교 동단 ~ 안평면 안평파출소 : 지방도 제927호선과 중복
- 의성군 사곡면 신감리 ~ 신감삼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지방도 제930호선과 중복
도로명
[편집]- 상주시 청리면 청리 교차로 ~ 청리삼거리 : 마공공단로
- 상주시 청리면 청리삼거리 ~ 청하교 남단 : 남상주로
- 상주시 청리면 청하교 남단 ~ 청리교 북단 : 청리중앙로
- 상주시 청리면 청리교 북단 ~ 낙동면 용포교 동단 : 수선로
- 상주시 낙동면 용포교 동단 ~ 구미시 옥성면 산촌마을입구 : 선상서로
- 구미시 옥성면 산촌마을입구 ~ 구봉삼거리 : 산촌옥관로
- 구미시 옥성면 구봉삼거리 ~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 : 선상동로
-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 ~ 의성군 단밀면 낙단교 남단 : 영남제일로
- 의성군 단밀면 낙단교 남단 ~ 단북면 용기삼거리 : 도안로
- 의성군 단북면 용기삼거리 ~ 용기사거리 : 서부로
- 의성군 단북면 용기사거리 ~ 신평면 마안교 동단 : 안신로
- 의성군 신평면 마안교 동단 ~ 안평면 안평파출소 : 봉호로
- 의성군 안평면 안평파출소 ~ 의성읍 의성교 동단 : 안평의성로
- 의성군 의성읍 의성교 동단 ~ 북원사거리 : 홍술로
- 의성군 의성읍 북원사거리 ~ 의성역 : 문소3길
- 의성군 의성읍 의성역 ~ 의성여자중학교 : 군청길
- 의성군 의성읍 의성여자중학교 ~ 지곡서원 : 상리길
- 의성군 의성읍 지곡서원 ~ 상리삼거리 : 충효로
- 의성군 의성읍 상리삼거리 ~ 청송군 현서면 화목리 : 의성사곡로
논란
[편집]2010년 10월 6일에 낙단보 건설현장에서 이 지방도 하단부 바위에 고려시대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보살좌상이 발견되었다.[5] 이 때 부득이 지름 10cm 가량의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하던 중 발견된 것이라 마애불 좌상의 상단 우측 광배부분이 훼손됐다. 이후 이번에 발견된 마애불 말고도 또다른 제2의 마애불이 있다는 제보가 잇따르고[6] 불교계에서도 논란이 되었다. 이후 문화재청에서 발굴해보기로 하여 해당 구간이 폐쇄될 뻔했으나[7] 수개월 동안 조사를 해도 더 이상 마애불이 발견되지 않았다.[8]
한편 발견된 마애보살좌상은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이라는 이름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2호로 지정되었다.[9]
각주
[편집]- ↑ 경상북도공고 제2003-63호, 제2003-64호, 2003년 2월 20일.
- ↑ 경상북도공고 제2005-635호, 2005년 12월 1일.
- ↑ 경상북도공고 제2007-517호, 2007년 6월 18일.
- ↑ 경상북도고시 제2018-343호, 2018년 11월 15일.
- ↑ 낙동강변서 고려전기 마애보살좌상 발견, 연합뉴스, 2010년 10월 14일 작성.
- ↑ 4대강 낙단보 마애불 인근 '또 있다' 제보 Archived 2015년 12월 8일 - 웨이백 머신, 불교방송, 2011년 2월 1일 작성.
- ↑ 의성 제2 마애보살좌상 또 발굴? 도로 폐쇄되나, 뉴시스, 2011년 2월 16일 작성.
- ↑ 낙동강 제2 마애불, 샅샅이 뒤졌지만…없다, 뉴시스, 2011년 10월 26일 작성.
- ↑ 의성군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 경북도 유형문화재 지정, 뉴시스, 2011년 9월 23일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