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언어 목록
보이기
다음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언어 목록이다. 현재까지 총 60개의 언어가 등장했다.
참가 언어 목록
[편집]순서 | 언어 | 첫 등장한 연도 | 국가 |
---|---|---|---|
1 | 네덜란드어 | 1956 | 네덜란드 |
2 | 독일어 | 1956 | 스위스 |
3 | 프랑스어 | 1956 | 벨기에 |
4 | 이탈리아어 | 1956 | 이탈리아 |
5 | 스페인어 | 1957 | 독일 |
6 | 영어 | 1957 | 영국 |
7 | 덴마크어 | 1957 | 덴마크 |
8 | 스웨덴어 | 1958 | 스웨덴 |
9 | 룩셈부르크어 | 1960 | 룩셈부르크 |
10 | 노르웨이어 | 1960 | 노르웨이 |
11 | 사미어 | 1960 | 노르웨이 |
12 | 핀란드어 | 1961 | 핀란드 |
13 | 세르비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1] | 1961 | 유고슬라비아 |
14 | 크로아티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1] | 1963 | 유고슬라비아 |
15 | 포르투갈어 | 1964 | 포르투갈 |
16 | 보스니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1] | 1964 | 유고슬라비아 |
17 | 슬로베니아어[2] | 1966 | 유고슬��비아 |
18 | 빈 독일어 | 1971 | 오스트리아[3] |
19 | 몰타어 | 1971 | 몰타 |
20 | 아일랜드어 | 1972 | 아일랜드 |
21 | 히브리어 | 1973 | 이스라엘 |
22 | 그리스어 | 1974 | 그리스 |
23 | 튀르키예어 | 1975 | 튀르키예 |
24 | 아랍어 | 1980 | 모로코 |
25 | 아이슬란드어 | 1986 | 아이슬란드 |
26 | 로만슈어[4] | 1989 | 스위스 |
27 | 나폴리어 | 1991 | 이탈리아 |
28 | 아이티 크레올어 | 1992 | 프랑스 |
29 | 코르시카어 | 1993 | 프랑스 |
30 | 에스토니아어 | 1994 | 에스토니아 |
31 | 루마니아어 | 1994 | 루마니아 |
32 | 슬로바키아어 | 1994 | 슬로바키아 |
33 | 리투아니아어 | 1994 | 리투아니아 |
34 | 헝가리어 | 1994 | 헝가리 |
35 | 러시아어 | 1994 | 러시아 |
36 | 폴란드어 | 1994 | 폴란드 |
37 | 고대 그리스어 | 1995 | 그리스 |
38 | 포어아를베르크어 | 1996 | 오스트리아[3] |
39 | 브르타뉴어 | 1996 | 프랑스 |
40 | 마케도니아어 | 1998 | 북마케도니아 |
41 | 사모기티아어 | 1999 | 리투아니아 |
42 | 남바이에른어 | 2003 | 오스트리아 |
43 | 인공 언어 | 2003 | 벨기에 |
44 | 라트비아어 | 2004 | 라트비아 |
45 | 카탈루냐어 | 2004 | 안도라 |
46 | 우크라이나어 | 2004 | 우크라이나 |
47 | 버로어 | 2004 | 에스토니아 |
48 | 몬테네그로어[5] | 2005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49 | 알바니아어 | 2006 | 알바니아 |
50 | 타히티어 | 2006 | 모나코 |
51 | 불가리아어 | 2007 | 불가리아 |
52 | 체코어 | 2007 | 체코 |
53 | 아르메니아어 | 2007 | 아르메니아 |
54 | 롬어 | 2009 | 체코 |
55 | 스와힐리어 | 2011 | 노르웨이 |
56 | 우드무르트어 | 2012 | 러시아 |
57 | 아제르바이잔어 | 2012 | 불가리아 |
58 | 조지아어 | 2012 | 조지아 |
59 | 폰토스 그리스어 | 2016 | 그리스 |
60 | 크림 타타르어 | 2016 | 우크라이나 |
61 | 벨라루스어 | 2017 | 벨라루스 |
- 1970년대 중반까지 언어 등장이 많은 이유는 당시 규정상 자국의 언어로만 출전해야 하였기 때문이다. 규정이 깨진 이후, 지역언어와 타국가의 언어(영어가 대체적으로 많이 쓰임)등이 쓰이기 시작했다.
- 1994년 이후 언어 등장이 다시 많아진 이유는 동구권의 붕괴로 많은 국가가 참가하였기 때문이다.
- 2003년 벨기에의 곡이 처음 인공언어로 쓰인 이후, 2006년과 2008년에 인공언어로 쓰인 곡이 참가했다.
자국 언어를 사용하지 않은 국가
[편집]- 벨라루스 - 2004년 첫 참가 이후 2017년 이전 벨라루스어로 된 곡으로 한 번도 참가하지 않았다.
- 아제르바이잔 - 2009년 첫 참가 이후 아제르바이잔어로 된 곡으로 한 번도 참가하지 않았다. 아제르바이잔어의 곡이 처음 나온 국가는 불가리아이다.[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유고슬라비아가 분열되기 전에는 3개의 언어가 세르보크로아트어로 쓰였다. 크로아티아어라는 언어가 등장한 시기는 1970년대이고, 보스니아어와 세르비아어라는 언어가 등장한 시기는 1990년대 중반이다. 하지만 곡마다 쓰임새가 조금씩 달라 다른 언어로 분류했다.
- ↑ (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는 세르보크로아트어와 다르다.
- ↑ 가 나 오스트리아는 독일어의 방언으로 된 곡을 각각 두 개씩 참가시켰는데, 2003년에는 남 바바리아어로 된 곡을, 2012년에는 오스트로바이에른어로 된 곡을 참가시켰다.
- ↑ 로만슈어는 스위스 인구중 사용 비율이 1%밖에 되지 않지만 스위스에서 공용어로 쓰이는 언어이다.
- ↑ 유고슬라비아의 1983년, 1984년곡인 Džuli와 Ciao amore는 현대 몬테네그로어와 비슷하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 이 언어가 인정되지 않아, 세르보크로아트어로 분류된다.
- ↑ en:Love Unlimited (Sofi Marinova song). 소피 마리노바의 곡 "Love Unlimited"에서 아제르바이잔어 구절인 "Mən səni sevirəm"이 가사에 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