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곧은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곧은근
위에서 본 눈. 위곧은근이 표시되어 있다.
정보
이는곳눈확 꼭대기의 온힘줄고리
닿는곳각막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7.9 mm
신경눈돌림신경
작용안구를 올림, 안쪽으로 돌림, 모음
식별자
라틴어musculus rectus superior bulbi
영어superior rectus muscle
TA98A15.2.07.010
TA22042
FMA49035

위곧은근(superior rectus muscle) 또는 상직근(上直筋)은 눈확근육으로 바깥눈근육 중 하나이다. 눈돌림신경(제3뇌신경)의 위갈래가 분포한다. 앞으로 똑바로 쳐다볼 때 위곧은근의 주된 기능은 안구를 위로 올리는 것이지만, 안쪽돌림(내회선, intorsion)과 모음(내전, adduction)에도 관여한다. 쇠약, 마비, 과반응 등 여러 가지 질환과 관련되어 있으며 아예 위곧은근이 없는 경우도 있다.

눈물샘신경도르래신경도르래신경도르래신경갓돌림신경갓돌림신경눈돌림신경눈돌림신경눈확위신경도르리위신경도르래위신경눈동맥눈동맥눈동맥눈동맥눈동맥눈동맥눈동맥위턱신경아래턱신경삼차신경도르래신경도르래신경도르래신경도르래신경눈신경눈물샘신경이마신경눈동자홍채각막각막가장자리위곧은근위빗근위빗근위빗근위빗근위빗근위빗근도르래눈꺼풀올림근가쪽곧은근가쪽곧은근가쪽곧은근가쪽곧은근안쪽곧은근안쪽곧은근시신경삼차신경절
위에서 본 오른쪽 위곧은근이 그려져 있다. 구조의 이름을 알기 위해서는 마우스를 해당 구조 위에 갖다 대자.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다면 해당 구조를 클릭하자.

구조

[편집]

위곧은근은 온힘줄고리에서 시작되어 안구의 위앞쪽 표면에 닿는다. 닿는곳의 너비는 약 11mm이며 각막가장자리로부터 약 8mm 떨어져 있다.[1]

신경 분포

[편집]

위곧은근은 같은 쪽 눈돌림신경(제3뇌신경)의 위갈래에 의해 지배된다. 이 신경 성분은 중간뇌의 반대쪽 눈돌림신경핵에서 유래한다.[2]

위치 관계

[편집]

위곧은근은 다른 바깥눈근육과 관련되어 있는데, 특히 안쪽곧은근가쪽곧은근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3] 위곧은근의 닿는곳은 안쪽곧은근의 닿는곳으로부터 7.5mm, 가쪽곧은근의 닿는곳으로부터 7.1mm, 각막가장자리로부터 7.9mm가량 떨어져 있다.[1] 위곧은근과 가쪽곧은근 사이에는 근육사이막이 존재한다.[3]

변이

[편집]

위곧은근의 변이는 드물다.[4] 서로 나란한 두 개의 근육 힘살이 존재하는 경우가 드물게 있다.[4] 더욱 드물게는 선천적으로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5][6]

기능

[편집]

위곧은근은 안구를 위로 올리고, 모으며, 안쪽으로 돌린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

검사

[편집]

눈이 완전히 가쪽으로 간(벌려진) 상태일 때 위곧은근은 안구를 위로 올릴 수 있는 유일한 근육이다.[7]

안구돌출증

[편집]

눈확과 바깥눈근육에서 혈액을 이동시키는 많은 수의 정맥은 위곧은근의 근처를 지나간다.[8] 이 정맥들이 막히게 되면 눈의 정맥에 울혈이 일어나며 안구돌출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9] 이는 CT 스캔으로 확인할 수 있다.[8]

쇠약과 마비

[편집]

눈돌림신경의 신경 전도에 문제가 생기면 위곧은근이 쇠약해지거나 마비되기도 한다.[9] 이는 선천성인 경우도 있고 후천성인 경우도 있다. 선천성인 경우에는 종종 유전되기도 하며, 후천성인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은 두부외상이다.[9]

과반응

[편집]

백내장 수술에 이용하는 국소마취제는 마취제 사용을 최소화하고 근육에 주사바늘이 들어가지 않도록 최대한 피하여도 아래곧은근을 약하게 할 수 있다.[10] 아래곧은근이 쇠약해지면 위곧은근의 힘이 강해져 과반응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10] 이로 인해 안구가 위로 올라가며 정상적인 시각에서 제대로 눈을 사용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10] 위곧은근을 약하게 하거나 위치를 바꾸는 눈 수술을 통해 치료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치료의 결과는 좋은 편이다.[10]

결핍

[편집]

아주 드물게 위곧은근이 선천적으로 없는 경우가 있다. 이는 에이퍼트 증후군이 원인이 될 수 있다.[5] 위곧은근이 없으면 안구를 올리는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6] 안쪽곧은근가쪽곧은근의 일부를 사용하여 위곧은근이 수행하는 정상 기능을 회복하는 안구 수술로 치료할 수 있다.[6]

추가 이미지

[편집]

각주

[편집]
  1. Apt, L (1980). “An anatomical reevaluation of rectus muscle insertion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Ophthalmological Society》 78: 365–375. ISSN 0065-9533. PMC 1312149. PMID 7257065. 
  2. Anderson, B.C.; McLoon, L.K. (2010), “Cranial Nerves and Autonomic Innervation in the Orbit”, 《Encyclopedia of the Eye》 (영어) (Elsevier), 537–548쪽, doi:10.1016/b978-0-12-374203-2.00285-2, ISBN 978-0-12-374203-2, 2023년 2월 2일에 확인함 
  3. Nam, Yong Seok; Park, Yooyeon; Kim, In-Beom; Shin, Sun Young (2019년 7월 10일). “Detailed Anatomy of the Lateral Rectus Muscle-Superior Rectus Muscle Band”. 《Journal of Ophthalmology》 (영어) 2019: e5374628. doi:10.1155/2019/5374628. ISSN 2090-004X. PMC 6652029. PMID 31360544. 
  4. Nayak, Satheesha B.; Shetty, Surekha D.; Kumar, Naveen; Aithal, Ashwini P. (2019년 6월 1일). “Double-bellied superior rectus muscle”. 《Surgical and Radiologic Anatomy》 (영어) 41 (6): 713–715. doi:10.1007/s00276-019-02211-0. ISSN 1279-8517. PMID 30847519. S2CID 71147157. 
  5. Cuttone, James M.; Brazis, Peter J.; Miller, Marilyn T.; Folk, Eugene R. (1979년 11월 1일). “Absence of the Superior Rectus Muscle in Apert's Syndrome”. 《Journal of Pediatric Ophthalmology & Strabismus》 16 (6): 349–354. doi:10.3928/0191-3913-19791101-04. 
  6. Mather, Thomas R.; Saunders, Richard A. (1987년 11월 1일). “Congenital Absence of the Superior Rectus Muscle: A Case Report”. 《Journal of Pediatric Ophthalmology & Strabismus》 24 (6): 291–295. doi:10.3928/0191-3913-19871101-06. PMID 3320326. 
  7. “Eye Theory”. Cim.ucdavis.edu. 2014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일에 확인함. 
  8. Hudson, Henry L.; Levin, Lori; Feldon, Steven E. (1991년 10월 1일). “Graves Exophthalmos Unrelated to Extraocular Muscle Enlargement: Superior Rectus Muscle Inflammation May Induce Venous Obstruction”. 《Ophthalmology》 (영어) 98 (10): 1495–1499. doi:10.1016/S0161-6420(91)32099-2. ISSN 0161-6420. PMID 1961633. 
  9. White, James Watson (1933). “Paralysis of the Superior Rectus Muscle”.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Ophthalmological Society》 31: 551–584. ISSN 0065-9533. PMC 1315454. PMID 16692992. 
  10. Grimmett, Michael R.; Lambert, Scott R. (1992년 7월 1일). “Superior Rectus Muscle Overaction After Cataract Extraction”.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영어) 114 (1): 72–80. doi:10.1016/S0002-9394(14)77415-X. ISSN 0002-9394. PMID 162178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