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준1326/체스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코틀랜드 국립 박물관 소장의 12 세기 루이스 체스 기물.

체스의 역사는 거의 1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그 기원은 확실하지 않다. 체스의 전신은 기원후 7세기 인도에서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게임이 인도에서 페르시아로 전파되고, 아랍인이 페르시아를 정복했을 때 무슬림 세계에 전파되며 이후 남부 유럽에 도달했다. 그리고 유럽에서, 체스는 15세기에 현재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로맨틱 체스"는 15세기 후반부터 1880년대까지 체스의 주류 스타일이었다.[1] 이 시기의 체스 게임은 장기적인 전략과 계획보다는 빠르고 전술적인 기동에 더 중점을 두었��. 낭만의 시대에 이어 과학적인, 하이퍼모던, 새로운 시대가 이어졌다. 19세기 후반에 현대 체스 토너먼트가 시작되었고 1886년 첫 번째 공식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가 열렸다. 체스는 20세기에 체스 이론과 세계 체스 연맹(FIDE)의 설립을 통해 크게 도약하고, 1997년 체스 엔진이 딥 블루 대 가리 카스파로프 경기에서 처음으로 체스 세계 챔피언을 이기며 컴퓨터의 시대를 열었다. 그 이후로 1970년대에 시작된 컴퓨터 분석은 체스 이론의 많은 발전에 기여했으며 전문적인 인간 체스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21세기 이후, 꾸준한 발전으로 체스 엔진을 통한 분석이 인간의 실력을 훨씬 상회하게 되었다. 1990년대 중반에 처음 등장한 온라인 체스 또한 21세기에 인기를 얻었다.

유래

[편집]
abcdefgh
8
a8 black rook
b8 black knight
c8 black bishop
d8 black king
e8 black queen
f8 black bishop
g8 black knight
h8 black rook
a7 black pawn
b7 black pawn
c7 black pawn
d7 black pawn
e7 black pawn
f7 black pawn
g7 black pawn
h7 black pawn
a2 white pawn
b2 white pawn
c2 white pawn
d2 white pawn
e2 white pawn
f2 white pawn
g2 white pawn
h2 white pawn
a1 white rook
b1 white knight
c1 white bishop
d1 white queen
e1 white king
f1 white bishop
g1 white knight
h1 white rook
8
77
66
55
44
33
22
11
abcdefgh
차투랑가의 초기 포지션. 킹이 서로 마주보지 않는다(백의 킹은 e1에서, 흑의 킹은 d8에서 시작).

최초의 체스는 인도에 기원을 둔다.[2] 그곳에서 7세기의 초기 형태는 보병, 기병, 전투 코끼리, 전차를 포함한 "4개 사단(또는 군딘)"으로 번역되는 차투랑가 로 알려졌다 . 이러한 형태는 각각 현대의 폰, 나이트, 비숍, 룩으로 변화하는 기물들을 보여준다.[3]

체스는 인도에서 페르시아로 전파되어 페르시아 귀족의 왕실 또는 궁중 교육의 일부가 되었다.[4] 600년 대의 사산 제국에서는 아랍-무슬림권에 chng 소리가 없어,[5] 이후 샤트란지로 변화하는 샤트랑(chatrang)으로 불렸으며, 더 많은 규칙이 개발되었다. 플레이어들은 상대의 왕을 공격할 때 "Shāh!"(페르시아어로 "왕!"), 왕이 공격을 받아 공격에서 벗어날 수 없을 때 "Shāh Māt!"( "왕은 무력하다"를 뜻하는 페르시아어. 체크 메이트)라고 말했다. 이 감탄사는 체스가 다른 땅으로 전파 될 때에도 계속되었다.

이슬람의 페르시아 정복으로 이슬람 세계에 채택된 후, 기물들은 대부분 페르시아 때의 이름을 유지한다. 무어인북아프리카는 받는 사람 상승했다 shaṭerej 페르시아어 "shatranj"를 렌더링 스페인어 acedrex, axedrez, ajedrez로 이어진다. 또 이것이 포르투갈어xadrez, 그리스어로는 zatrikion가 되지만, 다른 유럽 지역에서는 페르시아의 "shāh(왕)"을 "King(왕)"으로 대체하였다. 그래서, 체스는 라틴어로 ludus scacchorum 또는 sccc(h), 이탈리아어로 scacchi, 카탈로니아어로 escacs, 프랑스어로 échecs(고대 프랑스어로는 eschecs), 네덜란드어로 schaken, 독일어로 schach, 폴란드어로 szachy, 라트비아어로 šahs, 덴마크어로 skak, 노르웨이어로 sjakk, 스웨덴어로 schack, 핀란드어로 šakki, 남부 슬라브족 언어들로 šah, 헝가리어로 sakk, 로마니아어로 şah라고 불렸다.

이러한 변화의 이유를 설명하는 두 가지 이론

  1. 다양한 언어로 발음되는 감탄사 "체크(check)"나 "체크메이트(checkmate)"에서 유래했다.
  2. 최초로 이름이 알려진 장식용 체스의 왕이 이슬람 상인들의 관심을 끌어, 이것이 그대로 서유럽에서 불리어지게 된 것이다(이베리아 반도와 그리스 제외).

몽골인들은 체스를 shatar라고 불렸고, 에티오피아에선 senterej로 불렸는데, 둘 모두 명백히 shatranj에서 유래했다.

체스는 중동에서 러시아로 직접 퍼져서, шахматы([샤흐마띠], 말 그대로 "체크메이트checkmates")가 되었다.

또한 서유럽과 러시아에 최소 3개의 경로로 도달했으며, 가장 빨랐던 것은 9세기였다. 이후 1000년이 지날 즈음에 유럽 전역에 퍼졌다.[6] 10세기 무어인에 의해 이베리아 반도에 소개된 체스는, 샤트란, 백개먼, 주사위를 다룬 13세기의 유명한 원고인 '게임책'에 묘사되었다.

체스는 세계 곳곳에 퍼지고, 곧이어 형태를 잡아가기 시작했다.[7] 불교순례자들과 실크 로드의 상인들과 같은 이들이 체스를 극동으로 전파하면서 보드의 사각형 안이 아니라 세로선과 가로선의 교차점에 기물을 두게 된다.[7][8] 차투랑가는 비잔티움 제국칼리파국을 통해 유럽으로 전파된다.[9] 또한 무슬림은 10세기 즈음에 북아프리카, 시칠리아이베리아반도에 체스를 전파하게 된다.[7]

이후 체스는 유럽에서 광범위하게 발전했다. 15세기 후반에는 현대 게임의 형태를 위해 여러 차례의 금지와 기독교 교회의 제재를 견뎌냈다. [10] 세계사는 신뢰할 수 있는 참고 문헌,[11] 경쟁적인 체스 토너먼트,[12] 및 흥미 진진한 새로운 변형을 쌓아왔다. 이러한 요소는 체스의 인기를 올렸으며, 신뢰할 수 있는 타이밍 메커니즘(1861년에 처음 도입), 효과적인 규칙, 및 카리스마 넘치는 플레이어에 의해 더욱 발전했다.[13]

인도

[편집]
8×8 야슈타파로 차투랑가를 하는 크리슈나라다

현대 체스의 선구자는 차투랑가라 불리는 게임으로서, 6세기 인도에서 번성했다. 차투랑가는 체스의 중요한 특징 두 가지를 가진 최초의 게임으로 알려졌는데, 서로 다른 기물들이 다른 힘을 가지고 있고(체커바둑은 예외), 하나의 기물에 의해 게임의 승패가 정해진다는 것이다(현대 체스의 ).[7] 일반적인 이론은 인도의 체스를 포함한 보드게임의 발전이 숫자 0의 발전으로 나타난 인도의 수학적 계몽에서 나왔다고 본다.[5] 특히 체스 기물과 같은 고고학적인 게임 관련 유물들은 100개 이상의 사각형을 포함하는 보드게임과 친척 관계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7]

체스는 아슈타파(ashtāpada, 산스크리트어로 "8개의 발을 가진", 다시 말해 8×8의 사각형 보드)에서 디자인되었는데, 이미 이전에 백개먼 형식의 레이스 게임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아마도 여전히 즐기는 트랙이 중앙에서 시작하여 중앙으로 나선형으로 움직이는 인도 남부의 주사위 타입의 게임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14] 흑백무늬가 없던 8×8의 아슈타파(ashtāpada) 보드가 차투랑가에 주로 사용된 보드였다.[15] 다른 인도의 보드들은 10×10의 다사파다(Dasapada)나 9×9의 사투란쿰(Saturankam)이 있다.[15] 전통적인 인도의 체스보드는 대부분, 혹은 모든 a1 a4 a5 a8 d1 d4 d5 d8 e1 e4 e5 e8 h1 h4 h5 h8 위치의 사각형에 X 표시를 했는데, 이는 체스가 만들어지기 이전에 했던 백개먼 타입의 게임들에서 기물을 잡지 못하게 하는 칸들이었다.[16]

히람 콕스(Hiram Cox)가 창안하고 이후 둔칸 포베스(Duncan Forbes)가 발전시킨 콕스-포베스의 이론은 차투라지가 차투랑가 형식의 기원이라고 주장했다.[17] 하지만 이 이론은 더이상 정설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8]

산스크리트어로, "차투랑가(चतुरङ्ग)"는 말 그대로 "네 개의 팔다리(또는 부분)를 가진"이라는 뜻이고, 서사시에서는 대부분 전투 코끼리, 전차, 기병, 보병의 "군단"을 의미한다.[4] 이 이름은 인도의 서사시 마하바라타에서 묘사된 편대의 이름에서 왔다.[7] 차투랑가는 그 당시에 전투 시뮬레이션 게임으로서[4] 인도군의 전략으로 제시되었다.[19]

어떤 사람들은 체스 이전에 주사위를 사용하여 기물의 움직임을 정하는 게임을 했다. 이에 관련해 증명되지 않은 이론이 있는데, 체스가 이 주사위 체스에서 힌두교의 종교적인 반대 떄문에 도박적인 요소와 주사위 요소가 없어졌다는 것이다.[20]

이후에 각 지역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체스가 퍼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 아랍인 Abu al-Hasan 'Alī al-Mas'ūdī은 체스는 인도에서 군사, 수학, 도박의 도구로 사용되었고, 심지어 모호한 천문학적인 관계가 있다고 주장했다.[21] Mas'ūdī는 인도의 상아가 체스와 백개먼 기물들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었다 언급했고, 체스가 인도에서 페르시아로 켈릴레 바 뎀네(Kelileh va Demneh)라는 책과 누시르완(Nushirwan) 치하 때 함께 전파되었다고 단언한다.[21]

몇 가지 변형으로, 승리 조건은 체크메이트, 스테일메이트, "벌거숭이 왕(킹을 제외한 상대의 모든 기물을 잡음)"이 있었다.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룩, 나이트, 비숍이 순서대로 배, 말, 코끼리나 코끼리, 말, 낙타로 불리기도 하였다.[22] 하지만 행마법은 모두 같았다. 아래 표는 초기 체스 기물들의 행마법이다:

초기 이름 현대 이름 지역 원래의 행마법
전체 현대와 같음
참모 전체 오직 대각선으로 한 칸만
코끼리 비숍 페르시아와 서양 오직 두 칸 대각선으로만 이동하지만, 기물 하나를 뛰어넘을 수 있었다
예전 인도 오직 상하좌우 두 칸만 이동하지만, 기물 하나를 뛰어넘을 수 있었다.
극동, 동아시아 대각선으로 한 칸 또는 앞으로 한 칸(네 다리와 몸통의 코끼리처럼)
나이트 모두 현재와 같음
전차 모두 현재와 같음
보병 모두 오직 한 칸만 앞으로 이동하고 대각선으로 기물을 잡는다. 오직 퀸으로만 프로모션한다.

두 아랍 여행자들이 각각 스테일메이트와 다른 인도 체스의 몇가지 규칙을 기록했다:[23]

  • 스테일메이트된 플레이어가 즉시 승리한다.
  • 스테일메이트된 왕이 잡으면 체크가 될 기물을 하나 잡을 수 있다.

이란(페르시아)

[편집]

사산 제국의 창립자에 대한 팔라비어 서사시적 논문인 카르나막이 아르데 시르이 파파칸에서는, 제국의 창시자인 아르다시르 1세(Ardashir I)의 전설적인 영웅으로서의 성취들 중의 하나로서 한 차트랑가 게임을 언급한다.[25] 체스 역사에서 가장 오래 전에 기록된 게임은 10세기 바그다드의 역사가와 그 제자 간의 게임이었다.[9]

"Matikan-i-chatrang" (체스 책)이란 이름의 체스의 규칙을 설명하는 필사본이 중부 페르시아나 팔라비에 여전히 존재한다.[26] 11세기 페르시아의 서사시인 '샤나메'에서, 저자인 피르다우시는 이전의 전투를 체스 보드로 재연하는 한 라자에 대해서 서술하였다.[21] 아래는 대영박물관의 사본의 영어 번역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25]

어느 날 힌디 왕의 대사가 호스로 1세의 페르시아 궁전에 도착했는데, 동양의 예의를 갖춘 후, 대사는 힌두의 왕의 풍성한 선물을 보여주었는데, 그 중에는 정교히 조각된 보드와 흑단과 상아로 세밀하게 조각한 기물들이 있었다. 이후 그는 제안을 하나 했는데,
"오 위대한 왕이시여, 지혜로운 사람들을 데려와 이 게임의 신비를 풀게 해주십시오. 만약 그들이 저의 주인이신 힌두의 왕을 계승한다면, 당신에게 지배자로서 공물을 바치겠지만, 만약 그들이 실패한다면, 페르시아인들의 지성이 낮다는 증거가 될 것이고, 따라서 우리는 이란에 공물을 요구할 것입니다."
궁정의 관리들에게 보드를 보여 주었고, 그들 중 한 사람이었던  보조르그메르(Bozorgmehr)는 한 밤과 한 낮의 깊은 생각 이후, 그 수수께끼를 풀어냈고, 기뻐하는 군주로부터 풍성한 보상을 받았다.
(에드워드 래스커(1885~1981)는 보조르메흐르가 인도 사절들에게 뇌물을 주어 규칙을 찾아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했다.)

계속해서 샤나메에서는 또한 힌두(인도)의 왕위를 다투는 두 이복형제 탈핸드(Talhand)와 가브(Gav)의 이야기가 체스의 기원이라고 설명한다. 둘은 한 전투에서 만났는데, 도중 탈핸드가 상처 하나 없이 코끼리 위에서 죽게 된다. 가브가 탈핸드를 죽였다고 생각한 그들의 어머니는 정신을 놓아버린다. 가브는 자신도 자신의 가신들도 탈핸드를 죽이지 않았다고 그녀에게 계속 설명했으나, 그녀는 어떻게 그렇게 될 수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궁정의 현자들이 체스 게임을 만들어서(기물들과 행마법을)  그녀에게 어떻게 전투가 진행되고 어떻게 탈핸드가 적진에게 둘러쌓인 채로 피로에 목숨을 잃었는지를 설명했다.[27] 위 시는 페르시아어 "Shāh māt(왕이 죽다)"로 탈랜드의 운명을 묘사한다.[28]

철학자이자 신학자인 가잘리는 '행복의 연금술(c. 1100)'에서 체스를 언급한다. 그는 사람의 을 흐리게 만들 수 있는 예로 체스를 든다.[29]

정말로, 비둘기를 가지고 놀거나, 체스를 두거나, 도박을 하는 것에 길들여진 사람은 그것이 자신의 제 2의 천성이 되도록 모든 세상의 안락과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내줄 것이며, 그것들에게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체스 기물의 모습은 차투랑가를 하던 시간대와 많이 바뀌었고, 화려하게 조각하거나 동물을 새긴 체스 기물들은 추상적인 모양들에게 자리를 내주게 된다.[30] 이것은 무슬림이 게임에서 우상숭배의 이미지를 불러일으킨다 말하며 실물과 같은 기물들을 금지했기 때문이다.[5] 몇 세기 이후의 이슬람 체스 세트에도 같은 패턴으로 체스 기물에 추상적인 모양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이슬람이 예술작품에 동물이나 사람의 형상을 묘사하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이다.[30] 기물들은 보통 단순한 점토나 조각된 돌로 만들어졌다.[30]

동아시아

[편집]

중국

[편집]

중국에서 체스는 인도의 차투랑가에서 나온 전략 보드게임으로 여겨진다. 차투랑가는 장기로 변형했는데, 장기의 기물들은 보드의 사각형 안이 아닌 가로선과 세로선의 교차점에 놓여진다. 체스에서 변형된 중국의 장기는 체스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장군"으로 상대 왕을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최소 기원전 6세기부터 했던 것으로 여겨지는 바둑의 요소들도 가져왔다. 기물들이 교차점에 놓인 것은 바둑의 영향이다. 장기는 중앙을 강을 표현한다는 점과 사각형으로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중국 체스의 기물들은 보통 체커에 사용되는 것과 비슷하게 평평하지만, 그 표면에 이름을 새긴다는 점이 다르다.

체스가 기원전 3세기 이전에 존제하 장기나 그 전신이 된 게임에서 시작되었다는 이론도 존재한다. 고대 중국 문헌의 번역가인 데이비드 H. 리(David H. Li)는 중국의 장군 한신이 장기의 초기 형태인 육박을 204~203 BC의 겨울에 만들어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하지만 독일의 체스 역사가인 피터 바나샤크(Peter Banaschak)은 리의 주장이 "사실상 아무 증거도 없다"고 지적한다. 그는 당나라의 장관이었던 니우 셍루(Niu Sengru)가 쓴 "샹구아이 루(Xuanguai lu)"가 중국 체스의 변형인 장기의 실재하는 첫번째 자료라는 것을 지적한다.

일본

[편집]

동아시아에서의 체스의 변형된 형태들 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일본의 쇼기로, 인도에서 중국, 한국, 마침내 일본으로 전해졌다. 쇼기의 가장 특색 있는 세 가지 특징들은:

  1. 잡힌 기물들을 잡은 사람이 다시 사용 할 수 있다.
  2. 폰은 앞으로 움직여서 기물을 잡고, 한 칸만 앞으로 움직인다.
  3. 보드는 9×9이고, 왕의 반대편에 두번째 금장(金将)이 있다.

방울(Drops)은 원래 쇼기의 일부분이 아니었다. 13세기에, 쇼기는 확장을 겪게 되는데, 다양한 새로운 기물들이 있는 15×15 보드의 다이쇼기가 만들어진다. 대장기는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현대 체스와 같은 룩, 비숍, 퀸과 두번째 왕을 프로모트 시키는 술취한 코끼리와 심지어 한 턴에 두 번 움직이거나 기물을 잡을 수 있는 더 강력한 사자도 있다. 14~15세기 즈음에, 12×12 보드와 다이쇼기의 가장 약한 기물들을 제거한 주쇼기의 등장으로 다이쇼기의 인기가 줄게 되는데, 이는 서양의 운반 체스(Courier Chess)의 발달과 비슷하다. 본래의 9×9 쇼기는 소쇼기(Sho Shogi)로 불리며 계속해서 있어왔지만, 주쇼기나 다이쇼기 보다는 떨어진다고 여겨져왔다. 일본에서 소쇼기의 룩, 비숍, 술취한 코끼리를 더한 주쇼기는 매우 유명하고, 현재에는 처음의 두 개가 남아있다.

주쇼기는 소쇼기에 방울(Drops)이 추가되고 16세기에 술취한 코끼리가 사라지면서 인기가 줄어들며 20세기 후반 무렵에는 빈사상태가 된다. 이러한 소쇼기의 변화가 본질적으로 혀대판 쇼기를 만들었다.

태국

[편집]

태국식 체스의 변형인 막룩은 차투랑가와 가장 가까운 현재까지 남아있는 게임으로, 참모(adviser)를 유지하고 체크무늬가 없는 보드를 사용하고 프로모션을 제한하고 킹을 상쇄하고 코끼리와 비슷한 비숍의 행마법을 사용한다.[출처 필요]

몽골

[편집]

체스는 몽골인 거주 구역에서도 기록되어있는데, 그 지역의 기물에 대한 명칭은:

  • : Noyon – Ноён – 영주
  • : Bers / Nohoi – Бэрс / Нохой – 개 (to guard the livestock)
  • 비숍: Temē – Тэмээ – 낙타
  • 나이트: Morĭ – Морь –
  • : Tereg – Тэрэг – 수레
  • : Hū – Хүү – 남자아이 (강아지로도 불린다.)

1880년대의 러시아인 머레이(Murrayy)의 자료를 인용하여 소요트족 사람들(당시 튀르크어족 언어를 사용한)이 만든 체스 기물의 이름은 merzé(개), täbä(낙타), ot(말), ōl(아이)이고, 다른 기물들은 몽골 명칭을 따른다. 이 게임은 샤타르이고, 히샤타르라고 불리는 10×10 보드의 변형도 있었다.

퀸의 변화는 아랍어 firzān이나 페르시아어 farzīn(=무슬림계 고문(vizier))이 투르크어나 몽골 고유어와 헷갈려서 생긴 결과일 것이다(merzé = "마스티프(mastiff)", bar 또는 bars = "호랑이", arslan = "사자").

몽골에서 지금은 체스를 표준 규칙으로 진행한다.

시베리아 동부

[편집]

체스는 야쿠트인, 에벤크인, 유카기르 인들의 기록에 존재하지만 축지인의 기록에는 아이들의 게임으로 기록되었다. 알래스카야쿠트인들이 만들 체스말들이 남아있지만, 이는 유럽의 체스말과 관련성이 없었기 때문에 시베리아에서 나타난 체스 전통의 한 부분으로 본다.

아랍계

[편집]

체스는 페르시아에서 아랍계로 갔고, 아랍어인 샤트란지로 이름이 바뀌었다. 거기서 서유럽으로, 그중 아마 스페인을 통해 전파되었다.

수세기에 걸쳐, 유럽 체스의 특징들(예: 퀸과 비숍의 현재 행마법, 캐슬링)은 이슬람 지역과의 무역을 통해 자리잡았다. 머레이의 자료에 따르면 옛날 퀸과 비숍의 행마법이 에티오피아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체스는 매우 인기있어져서 그 당시 글쓰기에 사용되었고, 귀족과 평민들이 즐겼다. 시인 알 카티브는 이런 말을 했다. "숙련된 선수는 무지한 이는 보지 못할 방법으로 기물을 움직인다... 그래서 그는 어떻게 재앙을 예견하는 지를 보여줌으로써 술탄의 관심을 끈다."

러시아

[편집]

체스는 러시아에서 1000년의 역사가 있다. 체스는 9세기 키예프 루스에서 볼가-카스피안 무역로를 통해 들어온것으로 예사된다. 10세기 비잔티움 제국바이킹과의 접점 또한 러시아 체스 역사에 영향을 주었다. 러시아의 체스 어휘들은 다양한 외국어들의 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러시아 체스의 진화에 다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증명한다. 체스는 구전시에서 대중적인 게임으로 언급되고, 키예프 루스 시대의 구전서사시 바이리나(Bylina)에 기록되어있다. 키예프 루스 지역에서 체스 게임의 수많은 고고학 자료들이 이미 발견되었다.1262년부터 체스는 샤흐마티(shakhmaty)로 불렸다. 많은 외국인 여행자들이 16세기에 이를 언급하였고, 체스는 러시아의 모든 계급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 1530년에서 1584년까지 러시아를 통치한 이반 4세는 체스를 하는 중에 죽었다고 전해진다. 1791년에 벤자민 프랭클린의 유명한 체스 책 체스의 도덕(Morals of Chess)가 러시아로 번역되어 러시아 내에서 출판되었다. 체스는 러시아에서 매우 높은 명망을 가지고 있으며, 2017년부터 모든 초등학교에서 점차 학교 과목으로 도입되었다.

유럽

[편집]

초기

[편집]

샤트란지아리비아반도의 제국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었다. 비잔티움 제국에도 퍼져서 자트리키온(zatrikion)으로 불렸다. 체스는 남유럽에서 10세기 후반에 나타나고, 보통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정복과 같은 군사적 정복을 통해 퍼졌다. 이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체스는 조각된 기물들(figure pieces)이 소개되면서 북유럽에서 인기를 끌게 되었다.

14세기에, 티무르티무르 체스라고 불리는 확장된 변형 체스를 했었다. 이 복잡한 게임은 폰이 추가적인 기물처럼 각각의 용도가 있었다.

체스에서 양측은 관습적으로 흑과 백으로 불린다. 하지만 초기 유럽의 글서는, 주로 적과 흑으로 불렸는데, 이는 체스의 그림을 그릴 때 주로 사용하는 잉크의 색이 빨간색과 검은색이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그림에서, 각각의 기물은 이름을 가졌는데, 종종 약칭으로 표시되었다(예: 프랑스어 "chevalier=나이트"를 "ch'r"로).

체스가 고귀하고 고급스러운 문화이자 명망 있는 취미로 여겨졌다는 것은 중세 시대에 만들어진 비싸고 정교한 체스판을 통해서 명백히 알 수 있다. 서양 궁정 사회에서 체스의 인기는 12세기와 15세기 사이에 최고조에 달했다. 체스는 유럽 전역의 언어라틴어 문학에서 언급되어 있으며 12~15세기 사이에 체스와 관련된 많은 작품들이 쓰여졌다. 머레이(H. J. R. Murray)는 이러한 작품들을 세 가지로 나누었다: 교훈주의적인 작품(예: 네캄의 알렉산더(Alexander of Neckham)의 De sacaccis(1180), 도덕적인 작품(야코부스 데 세솔리스(Jacobus de Cessolis)가 쓴 Liber de moribus hominum et officiis nobilium sive super ludo scacchorum(인간의 관습과 귀족의 의무 또는 체스 책)과 같은), 그리고 다양한 체스 문제와 관련된 작품들(주로 1205년 이후에 쓰였다)로. 작가들은 체크와 같은 체스 용어들을 다양한 상황에서 은유의 형식으로 사용했다. 체스는 곧 유럽의 기사 생활양식과 통합되었다. 피터 알폰시(Peter Alfonsi)는 그의 작품 Tergionina Privactis에서 훌륭한 체스 기사라면 습득해야 하는 7가지 체스 기술을 서술했다. 체스는 또한 당시 다양한 체스 형식을 이용한 장식함이나 팬던트와 같은 것으로 예술의 주제가 되었다. 마르그리트 앙주 공녀는 재스퍼와 수정으로 만들어진 초록색과 빨간색의 체스 세트들을 가지고 있었다. 잉글랜드의 헨리 1세2세, 리차드 1세는 체스의 후원자였다. 카스티야 연합왕국알폰소 10세와 러시아의 차르 이반 4세 또한 후원자와 비슷한 위치의 역할을 가졌었다.

성 피터 데미안(Saint Peter Damian)은 1061년의 피렌체의 주교가 체스가 사회에 주는 악영향을 알면서도 체스를 했다고 맹렬히 비난했다. 피렌체의 주교는 체스는 기술을 수반하고 그러므로 체스는 "다른 게임 다른 게임과 다르다"며 자신을 변호했고, 이와 같은 논쟁들이 이후 세기에도 이어졌다. 13세기 런던에서, 에섹스의 두 남성이 체스 게임의 결과로 일어난 싸움에서 죽음에까지 이르렀던 두 사건이 큰 반향을 일으키고 사회의 경종을 울렸다. 이제는 방탕과 폭력이 연관된 게임의 높아져만 가는 인기는 교회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돈을 따기 위해 체스를 하는 관습은 13세기에 널리 퍼져서, 프랑스의 루이 9세는 1254년에 도박을 금지하는 조례를 제정했다. 하지만 이 조례는 일반 대중과 심지어 궁정에서도 무시되었는데, 이들은 이제는 금지된 체스 토너먼트를 계속해서 즐겼다.

기물의 모양

[편집]

이슬람권 국가에서는 대표적이지 않던 기물들은 기독교 문화권에서 모양을 바꾸었다. 사람과 동물의 형상이 다시 나타났다. 원래 윗부분이 V자 모양으로 갈라진 직사각형 모양이었던 룩은 갈라진 윗부분의 두 부분이 길고 늘어지는 경향이 생겼고, 오래된 그림에서는 말의 머리들처럼 생겼었다. 윗부분이 갈라진 기물은 이제는 비숍이라고 불리고, 갈라진 윗부분은 죽요의 주교관이나 바보의 모자로 해석되었다.

12세기 중반가지, 체스 세트의 기물들은 킹, 퀸, 비숍, 나이트, 맨앳암즈로 묘사되었다. 상아로 만들어진 체스말들은 북서유럽에서 나타났고, 전통적인 기마병이 화려하게 장식된 기물은 13세기 중반에 사용되었다. 초기의 별 특징없는 폰은 pedes(라틴어), pedinus(라틴어)나 하인과 관련지었는데, 이는보병들과 충성스러운 하인을 상징했다.

기물의 이름

[편집]

다음 표는 인도에서 페르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건너가는 동안의 체스 기물들의 이름과 특징의 변화를 보여준다:

산스크리트어, 벵갈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터키어, 라틴어,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카탈루냐어, 루마니아어 간의 체스말 명칭 비교
산스크리트어 벵갈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터키어 라틴어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카탈루냐어 루마니아어
Raja (킹) Raja (킹) Shah Malik Şah Rex King Rey Rei Re Roi Rei Rege
Mantri (참모) Mantri (참모) Vazīr (참모) Wazīr/Firz Vezir Regina Queen Reina/Dama Rainha/Dama Regina Dame Dama/Reina Regină
Gajah (전투 코끼리) Hati Pil Al-Fīl Fil Episcopus/Comes/Calvus Bishop/Count/Councillor Alfil/Obispo Bispo Alfiere Fou Alfil Nebun
Ashva (말) Ghora (말) Asp Fars/Hisan At Miles/Eques Knight Caballo Cavalo Cavallo Cavalier Cavall Cal
Ratha (전차) Nowka Rokh Qal`a/Rukhkh Kale Rochus/Marchio Rook/Margrave/Castle Torre/Roque Torre Torre/Rocco Tour Torre Turn/Tură
Padati (하인/보병) Shoinnya Piadeh Baidaq/Jondi Piyon Pedes/Pedinus Pawn Peón Peão Pedone/Pedina Pion Peó Pion

이 게임은 초기 중세에 했던 것처럼 느렸고, 많은 게임들이 며칠동안 계속됐다. 1300년 이후로 게임의 규칙에 변형이 있었다. 중요하지만, 처음에는 인기가 없었던 폰이 처음 움직일 때 두 칸을 전진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중요한 변화지만 초기에는 인기가 없었다.

유럽에선 기물들이 점차 새로운 이름을 부여받았다.

  • Fers: "퀸", 킹 옆에 배치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 Aufin: "비숍", 윗부분의 형상이 주교관과 비슷하기 때문에. 라틴명인 alfinus도 많은 방법으로 재해석되었다.

규칙의 초기 변화

[편집]
abcdefgh
8
c8 black king
e7 white king
b6 black pawn
c5 black bishop
c1 white rook
8
77
66
55
44
33
22
11
abcdefgh
핀(Pin)에 걸린 기물로 인해 체크

아래의 설명은 게임의 시작을 빠르게 하여 상대 기물을 빠르게 잡기 위해 행해진 시도들이다:

  • 폰이a처음 움직일 때 두 칸 전진한다. 이는 앙파상 규칙으로 이어졌다: 상대 폰이 두 칸 전진했을 경우, 폰이 한 칸 움직였다면 잡을 수 있을 폰이였다면 바로 다음 수에서만 자신의 폰이 그 칸으로 이동해서 상대 폰을 잡는다. 이탈리아에서는, 반대의 규칙(passar battaglia = "전투를 통과한다") 적용됐다: 폰을 두 칸 전진시켜 중간 칸에서의 공격을 피한다. 이 규칙은 때때로 공격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금지되었다.[31]
  • 킹은 빨리 구석에 놓기 위해 한번 기물을 넘을 수 있다. (이는 결국 캐슬링으로 이어진다.)
  • 퀸은 처음 움직일 때 두 칸 앞으로 움직이거나 같은 색의 칸의 대각선으로 움직일 때 기물을 넘을 수 있다. (이 규칙은 종종 프로모션한 폰으로 만든 퀸에도 적용되었다.)
  • 쇼트 어사이즈(short assize = "assize" = 식사시간(sitting) )에서 폰은 3번째 행에 위치하고, 퀸은 d3나 d6에서 퀸의 폰(퀸과 함께 위치)과 함께 위치한다. 다른 기물들은 게임 시작 전에 폰 뒤에서 자유로이 배치한다. 이 아이디어는 오래가지 않았다.

체스 규칙의 다른 산발적인 변화들:

  • 몇몇은 이론적으로 (항목 맨 위의 체스보드) 체크를 막고 있는 기물의 체크를 무시하는 것을 제시했다. Bxe7은 Rxc8이 된다.

현대 체스의 기원

[편집]
체스 선수들, 윌리엄 폭스 탤벗, 1847

퀸과 비숍은 1475년에서 1500년 사이, 아마도 스페인(발렌시아 왕국) 또는 포르투갈, 프랑스 또는 이탈리아에서 둘의 현대적인 행마법이 시작되고 확산될 때까지 비교적 약한 기물들이었으며, 이러한 변화가 체스를 현대 체스에 가깝게 만들었다. 현대와 같은 행마법을 가진 퀸과 비숍에 관한 첫번재 문헌은 1450년대의 발렌시아의 카탈루냐에서 쓰인 우화적인 시다. 이러한 체스는 "퀸의 체스(Queen's Chess)" 또는 "화난 퀸 체스(Mad Queen Chess)"로 불렸다(이탈리아어로 alla rabiosa = 격분하여). 이것은 이전에는 비주류 전술이었던 폰 프로모션을 더욱 가치있게 만들었다. 체크메이트가 더 쉬워지고 이제는 몇수만에 게임을 이길 수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규칙들이 서유럽과 스페인에서 널리 퍼졌다, 하지만 스테일메이트에 관한 규칙들은 제외되었는데, 이는 19세기 초에 확정되었다. 퀸의 현대적인 행마법은 이전의 두 칸을 기물을 건너뛰어 이동하는 능력의 연장선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말리린 얄롬스는 퀸의 새로운 행마법이 스페인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어떤 지역에선(예: 러시아), 퀸은 나이트와 같이 움직일 수 있었다.

1527년에 출판된 시 커서(Caïssa)는 체스의 룩이 "캐슬(Castle)"로 이름을 바꾸게 하고, 룩이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게 했다;더 많은 정보는 비다의 시 항목에. (Vida's poem)

이탈리아 선수 지오아치노 그레코(Gioacchino Greco)는 체스의 진정한 첫 전문가들 중에 하나로 여겨지는데, 그는 많은 수의 합성된 게임을 두 가지 다른 접근방식으로 분석했다. 그의 작품은 체스의 대중화에 영향을 끼쳤고, 게임 플레이와 전술에 관한 많은 이론들을 보여주었다.

다양한 승리 조합을 다룬 첫번째 전집은 프랑스의 프랑수아-안드레 다니칸 필리도르(François-André Danican Philidor)가 썼다. 그는 거의 40년 간 최고의 체스 선수로 여겨졌는데, 책은 180세기에 출판되었다. 그는 100개 이상의 판본에 등장하는 영향력 있는 작품인 L'Analyse des échecs (체스의 분석)을 써 출판했다.

체스를 어떻게 두는 가에 대한 글들은 15세기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체스북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스페인 성직자 루이스 라미레즈 데 루세나(Luis Ramirez de Lucena)가 1497년 살라망카에서 출판한 Repetición de Amores y Arte de Ajedrez (사랑의 반복과 체스의 기교)이다. 루세나와 포르투갈의 페드로 다미아노(Pedro Damiano), 이탈리아인 조반니 레오나르도 디보나(Giovanni Leonardo Di Bona), 줄리아 세사레 폴레리오(Giulio Cesare Polerio), 지오아치노 그레코(Gioachino Greco), 또는 스페인의 주교 루이 로페즈 데 세구라(Ruy López de Segura)와 같은 후대의 마스터들은 오프닝의 요소들을 발달시키고 간단한 엔드게임들을 분석했다. 18세기의 유럽 체스 생활의 중심은 남유럽 국가들에서 프랑스로 옮겨갔다. 두명의 가장 중요한 프랑스 마스터들은 전문적인 음악가였던 프랑수아앙드레 다니칸 필리도르(François-André Danican Philidor)와―그는 체스 전략에서 폰의 중요성을 알아냈다, 이후의 루이 샤를 마에 드 라 부르도니스(Louis-Charles Mahé de La Bourdonis)이다―1834년 아일랜드의 마스터 알렉산더 맥도넬(Alexander McDonnell)과의 유명한 경기의 승자이다. 이 시기의 체스 생활의 중심은 파리의 카페 드 라 레앙스(Café de la Régence)와 런던의 심슨스 디반(Simpson's Divan)과 같은 유럽의 대도시의 커피 하우스였다.

19세기를 지나면서 체스 기구는 빠르게 발전했다. 많은 체스 클럽, 체스 관련 서적들과 체스 잡지들이 나타났다. 1824년 런던 체스 클럽과 에든버러 체스 클럽 간의 서신 체스 경기 등 도시들 사이의 경기가 치뤄졌다. 체스 문제들은 19세기 신문의 일부분이 되었다:베른하르트 호위츠(ernhard Horwitt,) 요제프 클링,(Josef Kling) 그리고 사무엘 로이드(Samuel Loyd)는 가장 영향력 있는 문제들 중의 일부분을 만들었다. 본 데 라사(von der Lasa)는 체스이론의 첫 종합 매뉴얼인 그와 빌게르(Bilguer)의 Handbuch des Schachspiels, 체스 안내서)를 출판했다.

현대 경쟁 체스

[편집]

경쟁 체스는 라 부르도니스-맥도넬 경기(La Bourdonnais-McDonnell matches)로 가시화되었고, 1851년 런던 체스 토너먼트에서 선수들이 수를 생각하는 데에 너무 많은 시간을 들이는 것에 대한 염려를 자아냈다. 기록된 시간으로는 런던 토너먼트에서 선수들은 수를 분석하는데 보통 몇시간이 걸렸는데, 평균적으로 한 수를 두는데 2시간 20분이 걸렸다. 다음 해에는 스피드 체스와 5분 체스, 가장 유명한 형태인 정해진 수를 두는데 각각의 선수가 같은 시간을 부여받는 체스(예를 들어, 30수에 두시간)가 발명되었다. 마지막 형태로서, 합의된 시간 내에서 다음 수를 두면 추가적인 시간을 부여하는 체스가 나타났다. 시간 초과의 패널티는 벌금이나 몰수패였고, 벌금은 프로 선수들에게는 감수하기 쉬웠기에 몰수패만이 효과적인 패널티였다;이는 "시간 안에 지는 것"을 전통적인 패배 방식인 체크메이트나 기권에 포함되게 했다.

뛰어난 에스토니아 선수 겸 분석가 폴 케레스를 위한 소련우표, 1991

모래시계를 사용한 첫 번째 시간제한은 1861년 영국의 브리스틀에서 열린 토너먼트 경기였다. 모래시계는 이후 시계추로 대체되었다. 수를 둔 후 선수가 누를 수 있는 작은 버튼이 있는 두 개의 병렬 타이머가 있는 현대식 시계는 이후 선수들을 위해 사용되었다. 깃발이라고 불리는 작은 빗장은 19세기 초에 제한시간을 초과한 것에 관한 논쟁들을 해결해주었다.

러시아의 작곡가 블라디미르 코롤코프(Vladimir Korolkov)는 1958년에 "Excelsior"라는 이름의 백이 한 폰으로 여섯 차례 기물을 잡으면서 이긴 경기를 묘사한 작품을 썼다. 포지션 분석은 19세기에 특히 인기를 끌었다. 막스 오이베(Max Euwe), 미하일 보트비닉(Mikhail Botvinnik), 바실리 스미슬로프(Vasily Smyslov)와 얀 팀먼(Jan Yimman)을 포함한 많은 최정상의 선수들은 뛰어난 분석가였다. 디지털 시계는 1980년대에 만들어졌다.

경쟁 체스에서 발생한 또 다른 문제는 식사 시간이나 하룻밤 때문에 경기를 연기했을 때 발생했다. 연기 전에 수를 둔 선수는 경기를 재개하고 수를 둘 상대 선수가 경기를 분석하는데 많은 시간을 가지는 점에서 불리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수를 분석할 수 없도록 체스 보드를 보는 것을 막는다고 할지라도 머릿속에서 분석하는 것은 막을 수 없었다. 이를 위해 많은 이상한 아이디어들을 시도했지만, 결국 궁극적인 해결책은 "밀봉 조치"였다. 연기 전에 둔 마지막 수는 보드에 두는 것이 아니라 선수가 심판에게 전달하여 심판이 종이에 쓴 후 이를 밀봉하여 잘 보관하고, 이를 경기를 재개할 때 심판이 밀봉했던 움직임을 두고 경기를 재개한다.

스포츠의 탄생(1850–1945)

[편집]
불멸의 게임(Immortal Game)의 애니메이션, 아돌프 안데르센(Adolf Anderssen)이 리오넬 키예리츠키(Lionel Kieseritzky)를 상대로 백으로 승리했다, 1851년 6월

최초의 현대 체스 토너먼트는 1851년 런던에서 열렸고, 놀랍게도 당시 비교적 알려지지 않았던 독일인 아돌프 안데르센(Adolf Anderssen)이 우승하였다. 안데르센은 체스 마스터의 선두주자가 되었고, 비록 전략적인 얕음으로 평가되지만 그의 탁월하고 활기찬 공격 스타일은 당시 체스 스타일의 전형이 되었다. 안데르센의 불멸의 게임(Immortal Game)과 에버그린 게임(Evergreen Game), 모피(Morphy)의 오페라 게임(Morphy's Opera Game)과 같은 반짝이는 경기들은 체스 기교의 최고봉으로 여겨졌다.

체스의 본질에 대한 더 심도 깊은 통찰은 두 명의 젊은 선수들과 함께 나타났다. 탁월한 실력의 체스 천재이었던 미국인 폴 모피(Paul Morphy)는 1857년에서 1863년 사이에 짧은 체스 경력에 안데르센과 같은 모든 정상급 경쟁자들을 이겼다. 모피의 성공은 훌륭한 공격과 철저한 전략을 조합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는 직관적으로 공격을 준비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프라하 태생의 빌헬름 스타이니츠(Wilhelm Steinitz)는 나중에 어떻게 자기 포지션의 약점을 피하고 어떻게 그러한 약점을 상대에게 만들어내고 이를 이용하는지를 설명하였다. 그는 이론적인 업적 외에도, 중요한 전통을 세웠다. 그는 1886년 폴란드계 독일인 마스터 요하네스 주커르토트(ohannes Zukertort를) 이긴 업적은 최초의 공식적인 세계 체스 체스권 대회로 여겨진다. 스타이니츠는 1894년 그보다 훨씬 젊은 독일인 수학자 에마누엘 라스커(Emanuel Lasker)에게 1894년에 왕좌를 빼았겼지라도, 그는 27년 동안 이 타이틀을 유지했고, 이는 현재까지도 세계 체스 챔피언 타이틀 중 가장 긴 기간이다.

빌헬름 슈타이니츠(Wilhelm Steinitz), 제1대 공식 세계 체스 챔피언

이는 간단한 포지션과 엔드 게임을 좋아했던 쿠바의 체스 천재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José Raúl Capablanca, 1921~27 세계 챔피언)가 독일계 선수들의 독주를 끝내게 하였다; 그는 1924년부터 8년 간 토너먼트 경기에서 무패를 기록했다. 이후 챔피언 자리는 1946년에 세계 체스 챔피언으로 삶을 마감한 러시아계 프랑스인이었던 알렉산드르 알레힌(Alexander Alekhine)에게 넘어갔는데, 그는 1935년 네덜란드막스 오이베에게 패하면서 챔피언을 넘겨준 뒤 다시 2년 후에 그를 상대로 승리하며 챔피언 타이틀은 거머쥐었다. 알레킨은 공격에 일가견이 있던 선수였다.

세계 대전 사이의 기간 동안, 체스는 아론 님조위치(Aron Nimzowitsch)나 리처드 레티(Richard Réti)와 같은 소위 하이퍼모더니스트들(hypermodernists)의 새로운 이론들을 통해 대격번을 겪게 된다. 그들은 폰을 통해 중앙을 장악하는 것보다 서로 떨어진 기물들을 통해 상대가 중앙에 폰을 배치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공격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19세기 말부터, 매년 열리는 마스터 토너먼트와 경기의 수가 빠르게 증가했다. 1914년 러시아의 차르 나콜라스 2세가 공식적으로 라스카르, 카파블랑카, 알레힌, 라타슈(Siegbert Tarrasch), 마셜(Frank Marshall)에게 체스 그랜드마스터 칭호를 수여했다는 자료도 존재하지만, 이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장이다. 그랜드마스터 칭호를 수여하는 전통은 1924년 파리에서 설립된 세계 체스 연맹(FIDE)이 이어받게 된다. 이후 1927년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가 창설되었다; 맨 처음 개최한 이는 체코계 영국인 마스터 베라 멘치크(Vera Menchik)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많은 유명한 체스 선수들이 죽거나 살해당했는데, 여기에는 아이작 아펠(Isaak Appel), 졸탄 발라(Zoltan Balla), 세르게이 벨라벤츠(Sergey Belavenets), 헨리크 프리드만(Henryk Friedman), 아킬레스 프라이드만(Achilles Frydman), 에두아드 게스텐펠드(Eduard Gerstenfeld), 알렉산드 일린-제노프스키(Alexander Ilyin-Genevsky), 미하일 코건(Mikhail Kogan), 자쿠브 콜스키(Jakub Kolski), 레오나드 쿠벨(Leon Kremer), 아르비드 쿠벨(Arvid Kubbel), 레오나드 쿠벨(Leonid Kubbel), 살로 랜도우(Salo Landau), 모이셰 로우츠키(Moishe Lowtzky), 베라 멘치크(Vera Menchik), 블라디미르 페트로프(Vladimir Petrov), 다비드 프르제피오르카(David Przepiorka), 일리야 라비노비치(Ilya Rabinovich), 브세볼로드 라우제르(Vsevolod Rauzer), 니콜라이 리우민(Nikolai Riumin), 엔드레 스타이너(Endre Steiner), 마크 스톨베르크(Mark Stolberg), 아브람 스즈피로(Abram Szpiro), 카렐 트리발(Karel Treybal), 알렉세이 트로이츠키(Alexey Troitzky), 사무일 바니슈테인(Samuil Vainshtein), 하인리히 울프(Heinrich Wolf), 그리고 라자드 잘킨드(Lazar Zalkind)가 있다.

전후 시대(1945 이후)

[편집]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José Raúl Capablanca, 좌측)와 에마누엘 라스커(Emanuel Lasker, 우측) 두 세계 챔피언, 1925

알레킨의 사후에, 체스 챔피언 타이틀을 관리하게 된 FIDE가 자신들이 뽑은 엘리트 선수들을 모아 토너먼트 경기를 치루게 하여 챔피언을 뽑았다. 러시아인 미하일 보트비닉(Mikhail Botvinnik)이 1948년 대회의 승리를 거며줬고, 이후 체스계는 소련이 지배하게 된다. 이 기간 동안 소련 출신이 아니었던 챔피언은 미국인 보비 피셔(Bobby Fischer, 1972~75년 간 챔피언) 뿐이었다.

이전의 비공식적인 시스템에서는, 세계 챔피언은 타이틀을 위해 어떤 도전자와 경기할 것인지를 결정했고, 도전자는 경기를 치루기 위해 후원자를 찾아야 핬다. 이때문에 FIDE는 새로운 예선 경기 시스템을 만들었다. 세계에서 가장 강한 선수들은 "존 토너먼트(Zonal tournaments)"에서 인정받은 선수들이 합류한 "인터조날 토너먼트(Interzonal tournaments)"에 참가했다. 이런 인터조날의 선두 주자들은 "캔디데이트(Candidates)" 무대에 서게 되는데, 초기에는 토너먼트 형식이었지만 이후에는 녹아웃 형식으로 경기가 진행됐다. 여기에서 승리한 도전자가 챔피언과 경기할 수 있었다. 경기에서 진 챔피언은 1년 후 재경기를 치를 수 있는 권리가 있었다. 이 형식은 3년 단위로 치뤄졌다.

보트비닉은 15년 동안 챔피언쉽 경기에 참가했다. 그는 194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51년과 1954년에도 타이틀을 지켜냈다. 하지만 1957년, 바실리 스미슬로프(Vasily Smyslov)에게 패하게 되지만, 1958년의 재경기에서 타이틀을 되찾았다. 1960년, 그는 뛰어난 전술가이자 공격 선수인 라트비아의 천재 미하일 탈에게 타이틀을 빼앗겼다. 보트비닉은 1961년 재경기에서 또다시 타이틀을 되찾았다.

1961년 대회 이후, FIDE는 패배한 챔피언의 재경기 제도를 폐지하게 되면서, 다음 대회 우승자인 수비와 포지션의 천재였던 아르메니아티그란 페트로샨은 1963-69 시즌 두 사이클 동안 타이틀을 보유할 수 있었다. 이후 러시아의 보리스 스파스키(Boris Spassky)가 포지션과 날카로운 전술 중심의 체스로 챔피언 자리를 획득했다.

현재 세계 챔피언 망누스 칼센

다음 대회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첫 비소련 도전자인 보비 피셔(Bobby Fischer)가 나왔는데, 그는 그의 캔디데이트 상대들을 전례 없는 차이로 꺾고 세계 챔피언 대회에서 이겼다. 그러나 1975년, 그는 FIDE가 그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자 소련의 아나톨리 카르포프(Anatoly Karpov)를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하는 것을 거부했고, 카르포프는 부전승으로 타이틀을 얻게 된다. 카르파포프는 빅토르 코르치노이(Viktor Korchnoi)와 치른 타이틀 방어전을 두 번 다 이기고 1970년대와 80년대를 지배했다.

카르포프의 군림은 1985년, 러시아 선수 가리 카스파로프에 의해 끝내게 된다. 둘은 1984년 부터 1990년까지 총 5번의 세계 챔피언 대회에서 만났고, 카르포프는 타이틀을 되찾지 못했다.

1993년, 가리 파스파로프와 나이젤 쇼트(Nigel Short)는 자신들의 타이틀을 위한 경기를 꾸리기 위해 FIDE에 대항하여 프로 체스 기구(Professional Chess Association, PCA)를 창설한다. 1993년부터 2006년 까지 두 개의 체스 챔피언 대회가 동시에 열렀었다: PCA나 전통적인 챔피언들 모두 슈타이니츠의 전통을 확장해 당시의 챔피언이 도전자와 많은 경기를 두게 된다; 또다른 FIDDE의 세로운 경기 방식은 챔피언을 토너먼트 경기로 뽑는 것이었다. 카스파로프는 전통적인 타이틀을 2000년에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크람니크(Vladimir Kramnik)에게 빼앗기게 된다.

이에 앞서 1999년, 세계 챔피언으로 군림하던 카스파로프가 75개국의 50,000명 이상의 참가자로 구성된 세계 팀을 상대로 온라인 경기를 했다. 세계 팀의 움직은 다수결로 결정됐고, 4개월 동안 62수를 둔 후 카스파로프의 승리로 경기가 마무리된다.

2006년 FIDE 세계 체스 챔피언 대회에서, 크람니크가 FIDE 세계 체스 챔피언 베셀린 토팔로프를 꺾고 논쟁의 여지가 없는 세계 체스 챔피언이 되었을 때 타이틀을 통일하게 된다. 2007년 9월, 인도의 비스와나탄 아난드가 챔피언 토너먼트에서 우승함으로써 다음 챔피언이 되었다. 그는 2008년 10월에 치른 크람니크와의 재경기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타이틀을 유지한다. 2013년에 현재 세계체스 챔피언 노르웨이의 망누스 칼센에게 패할 때까지 자신의 타이틀을 유지했다.

규칙 변화

[편집]

기물의 움직임은 최근 변화가 없었지만, 몇몇 규칙들의 명칭이 바뀌었다. 대중(예를 들어 체스 문제 설정자들)은 오래된 규칙 두 개가 의도되지 않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했다:

  • 프로모션 규칙은 폰이 불특정 색깔의 '기물'로 승격시키는 것도 포함했다(따라서 가끔 상대 킹을 막거나 스테일 메이트를 피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 캐슬링은 (백) Ke1-e3와 Re8-e2, (흑) Ke8-26와 Re1-e7까지였는데, 만약 룩이 "룩으로써 한번도 움직이지 않았다면" 가능했다. 왜냐하면 언더프로모션한 폰이 e8이나 e1에 있기도 했기 때문이다.

두 규칙 모두 이후 금지되었다.

최근에는, 패배 방식이 더욱 추가되었다.

  • 1851년의 런던 체스 토너먼트에서 시간 조절의 필요성이 커지자, "시간패"가 생겼다.
  • 시간이 다 가면 그 플레이어가 지게 되지만, 만약 상대의 가능한 수들 중에 어느 것도 불가능하다면 무승부가 된다.[3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David Shenk (2007). 《The Immortal Game: A History of Chess》. Knopf Doubleday. 99쪽. 
  2. Murray (1913), pp. 26-27, pp. 51-52
  3. Murray, Davidson, Hooper & Whyld, and Golombek all give this correspondence, with the bishop corresponding to the elephant and the rook corresponding to a chariot. Bird (pp 4, 46) exchanges the bishop and rook.
  4. Meri 2005: 148
  5. Shenk, David. "The Immortal Game." Doubleday, 2006.
  6. Hooper and Whyld, 144-45 (first edition)
  7. Chess: Ancient precursors and related games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8. Remus, Horst, "The Origin of Chess and the Silk Road" 보관됨 2011-05-16 - 웨이백 머신, The Silk Road journal, The Silkroad Foundation, v.1(1), January 15, 2003.
  9. Chess: Introduction to Europe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10. Riddler 1998
  11. Chess: Development of Theory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12. Chess: The time element and compet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13. Chess: Chess compos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14. Murray (1913), p. 40
  15. Wilkins 2002: 46
  16. Murray (1913), p. 42
  17. Encyclopædia Britannica (Ninth Edition)
  18. Hooper 1992: 74
  19. Kulke 2004: 9
  20. Wilkins 2002: 48
  21. Wilkinson 1943
  22. Murray (1913), p. 27
  23. A History of Chess
  24. See the chess set's page on the Museum's website.
  25. Bell 1979: 57
  26. Peshotan Behramjee Sanjana, "Ganjeshāyagān, Andarze ātrepāt mārāspandān, Mādigāne chatrang, and Andarze khusroe kavātān : the original Pehlvi text, the same translated into the Gujarati and English languages, a commentary and a glossary of select words"
  27. Warner & Warner 2008, p. 394-402.
  28. Yalom 2004, p. 5.
  29. Al-Ghazali, The Alchemy of Happiness, Mohammad Nur Abdus Salam, p. 27-28
  30. Chess: Set design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31. Murray, H. J. R. (1952). 〈6: Race-Games〉. 《A History of Board-Games Other than Chess》. Hacker Art Books. ISBN 0-87817-211-4. 
  32. “FIDE LAWS of CHESS - Article 12: The conduct of the players” (PDF). 《www.fide.com/》. World Chess Federation. 2017년 7월 22일에 확인함. 

참고문헌

[편집]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Chess: Ancient precursors and related games.〉.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 〈Chess: Development of Theory〉.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 〈Chess: The time element and compet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 〈Chess: Chess compos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 〈Chess (History): Standardization of rules〉.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 〈Chess: Set design.〉.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2007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Chess: Introduction to Europe〉.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2007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Chinese chess〉.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2007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Shogi〉.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WWW

 

서적

저널

 

외부 링크

[편집]


[[분류:체스의 역사]] [[분류:CS1 관리 - 여러 이름]] [[분류:Category: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