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다. 육조의 하나로, 호구, 공납, 부사, 조세 및 국가 재정과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였다. 고려시대 성종 이전에는 민관이었고, 성종 이후에 호부로 개칭되었다. 원나라 지배기에는 판도사, 민조, 민부로 명칭을 변경했다가 공민왕 때 다시 호부로 개칭했고 그 뒤 다시 판도사, 민부 등으로 명칭을 변경하다가 공양왕 때 비로소 호조로 개칭된 것이다.
대한제국 고종 31년인 1894년에 탁지아문으로 고쳤고[1], 이후 탁지부가 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는 조선총독부의 재무부와 탁지부로 호조의 기능이 분리되었다.[2]
고대 주나라에서 대사도(大司徒)로 불렀다하여 옛스럽게 별칭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지관(地官)이라고도 한다.
청사
호조의 본청 청사는 세종대로 동편에 있었다. 현재 주소 체계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82-14번지의 주한미국대사관 남쪽 부지(미국대사관 공보원 자리)이며, 대한제국 시대에는 호조의 후속 관청인 탁지부의 청사로 사용되었다.
관직
품계 | 관직 | 정원 | 비고 |
---|---|---|---|
종1품 | 제조 | 1명 | |
정2품 | 판서 | 1명 | |
종2품 | 참판 | 1명 | |
정3품 | 참의 | 1명 | |
정5품 | 정랑 | 3명 | |
정6품 | 좌랑 | 3명 | |
종6품 | 산학교수(算學敎授) 별제(別提) |
1명 2명 |
|
종7품 | 산사(算士) | 1명 | |
종8품 | 계사(計士) | 2명 | |
정9품 | 산학훈도(算學訓導) | 1명 | |
종9품 | 회사(會士) | 2명 |
역대 호조 당상관
역대 호조판서
호조전서
태조
정종
태종
호조판서
태종
세종
문종
- 윤형
단종
- 윤형
- 이견기
- 조혜
세조
예종
- 뇌신조
- 서거정
성종
연산군
중종
- 이계남
- 장순손
- 홍경주
- 이계남
- 장순손
- 이자건
- 이계맹
- 고형산
- 안당
- 남곤
- 고형산
- 장순손
- 홍숙
- 이계맹
- 강혼
- 안당
- 김극핍
- 고형산
- 한세환
- 고형산
- 김극핍
- 이자견
- 안윤덕
- 김극핍
- 한효원
- 윤은보
- 조계상
- 신공제
- 유여림
- 홍언필
- 김당
- 홍숙
- 손주
- 박호
- 홍언필
- 유보
- 김안로
- 윤은보
- 이사균
- 심언경
- 윤은보
- 황사우
- 정백붕
- 이사균
- 유관
- 윤인경
- 소세양
- 윤인경
- 홍언필
- 권예
- 조계상
- 유여림
- 조계상
- 윤인경
- 조계상
- 이기
- 윤임
- 유인숙
- 정순붕
- 성세창
- 임백령
인종
- 임백령
명종
선조
- 홍담
- 정대년
- 오상
- 노수신
- 박계현
- 정종영
- 송기수
- 윤현
- 이후백
- 박호원
- 이이
- 이인
- 황정욱
- 윤탁연
- 윤두수
- 이원익
- 한준
- 홍여순
- 이성중
- 홍성민
- 김명원
- 한준
- 권징
- 김명원
- 김수
- 한응인
- 권율
- 심희수
- 김수
- 한응인
- 윤승훈
- 이광정
- 윤자신
- 한응인
- 유근
- 신잡
- 한응인
- 이충원
- 이정구
- 유근
- 김수
- 한응인
- 성영
- 한효순
- 허욱
- 한효순
- 홍여순
- 박동량
- 윤형
- 한준겸
- 서성
- 김수
- 성영
- 이정구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 민유중
- 오정위
- 오시수
- 민점
- 이원정
- 목내선
- 민유중
- 조사석
- 정재숭
- 윤계
- 정재숭
- 박신규
- 여성제
- 윤지완
- 유상운
- 조사석
- 유상운
- 이민서
- 유상운
- 윤지완
- 유상운
- 권대재
- 오시복
- 유명천
- 오시복
- 이세화
- 이세백
- 이유
- 민진장
- 김구
- 김진귀
- 서종태
- 김창집
- 이인엽
- 조태채
- 김진귀
- 홍수헌
- 조태채
- 윤세기
- 김우항
- 유득일
- 이인엽
- 최석항
- 김우항
- 조태구
- 이건명
- 조태구
- 권상유
- 송상기
- 조태구
- 송상기
경종
영조
- 조태억
- 오명항
- 김흥경
- 신사철
- 황귀하
- 권업
- 이태좌
- 권이진
- 서명균
- 김동필
- 김재로
- 송인명
- 이정제
- 윤유
- 김동필
- 송진명
- 김취로
- 윤양래
- 박사수
- 송진명
- 유척기
- 김시형
- 조현명
- 이병상
- 김시형
- 서종급
- 김시형
- 조관빈
- 조상경
- 조관빈
- 김약로
- 서종옥
- 정석오
- 민응수
- 김시형
- 김약로
- 박문수
- 김상성
- 김상로
- 김상성
- 조영국
- 이창의
- 김상성
- 이창의
- 이철보
- 정휘량
- 이태중
- 민백상
- 이철보
- 이종백
- 홍봉한
- 조운규
- 이익보
- 홍계희
- 민백상
- 홍봉한
- 윤동도
- 김상복
- 김치인
- 서지수
- 김상복
- 조운규
- 구윤명
- 김상철
- 정홍순
- 심수
- 조운규
- 정실
- 이사관
- 조운규
- 이사관
- 정홍순
- 이사관
- 이창의
- 조운규
- 이경호
- 이창수
- 홍인한
- 조운규
- 김시묵
- 조운규
- 정홍순
- 홍인한
- 김시묵
- 조운규
- 김시묵
- 채제공
- 조운규
- 이사관
- 채제공
- 서명응
- 구윤옥
- 채제공
정조
- 구윤옥
- 정홍순
- 홍낙순
- 정홍순
- 구윤옥
- 김화진
- 채제공
- 김화진
- 정상순
- 정민시
- 이연상
- 김화진
- 김종수
- 이성원
- 서유린
- 정상순
- 정일상
- 조준
- 조시준
- 이재간
- 조시준
- 정일상
- 조준
- 조경
- 이재간
- 서유린
- 김이소
- 정민시
- 서호수
- 이병모
- 조정진
- 이병모
- 조정진
- 이병모
- 이명식
- 심이지
- 이시수
- 김화진
- 조진관
- 이재학
순조
- 이재학
- 김문순
- 이서구
- 조진관
- 이서구
- 조진관
- 이서구
- 이만수
- 조진관
- 이면긍
- 김달순
- 조진관
- 김문순
- 박종보
- 서영보
- 이만수
- 박종경
- 심상규
- 이면긍
- 박종경
- 김이도
- 이면긍
- 이면응
- 심상규
- 박종경
- 남공철
- 박종경
- 조상진
- 서영보
- 이상황
- 한용탁
- 정만석
- 김이양
- 박종경
- 이상황
- 김이양
- 박윤수
- 이존수
- 심상규
- 이조원
- 김이양
- 이상황
- 정만석
- 이조원
- 이존수
- 박종훈
- 정만석
- 박종훈
- 김노경
- 김로
- 김교근
- 조만영
- 박종훈
- 조만영
- 홍석주
- 이지연
헌종
철종
고종
역대 호조참판
역대 호조참의
호조 부서
호조는 내부에 판적사, 회계사, 경비사 등의 부서를 두고 있었다. 이외에 세부 사무별 담당으로 전례방, 판별방, 별영색, 별고색, 세폐색, 응판색, 은색, 요록색, 잡물색 등이 있었다.
판적사
판적사(版籍司)는 호구·토지·부역·공납, 농업과 양잠의 장려, 작황의 조사, 진대, 염산 등을 담당한다.
회계사
회계사(會計司)는 중앙과 지방의 저축(儲積) 및 수입과 지출 회계, 인계 문건, 재물의 결손 등을 담당한다.
경비사
경비사(經費司)는 수도에서의 지출 경비, 왜인(倭人)에 대한 식량 배급 등을 담당한다.
호조 소속 관청
호조의 소속 관청인 속아문(屬衙門)은 아래와 같다.
각주
- ↑ 박석무 (2003년 10월 15일). 〈역사용어 풀이〉. 《다산 정약용 유배지에서 만나다》. 서울: 한길사. ISBN 978-89-356-5524-3.
- ↑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재무부와 생계부로 역시 호조의 기능이 분리되었다가 광복 후에는 미군정 재무국으로 그 기능이 합쳐졌고 이후 미군정 재무부를 거쳐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이승만 정부에서는 재무부가 호조의 기능을 이어받았다. 그러다가 군사정권(박정희-전두환-노태우) 때는 재무부와 경제기획원이 호조의 기능을 분담하면서 이어받았고 김영삼 정부 때는 다시 통합되었다가 김대중 정부 때는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다시 분리되면서 호조의 기능을 이어받았다. 현재는 기획재정부가 호조의 기능을 이어받는 형태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