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미세 구조 상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TedBot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2일 (일) 11:26 판 (봇: 같이 보기 문단 추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미세 구조 상수 α
종류: 물리 상수
값: 7.297 352 5698 × 10-3
오차: ±0.000 000 0024 × 10-3
출처: CODATA 2010[1]
미세 구조 상수의 역수 α−1
종류: 물리 상수
값: 137.035 999 074
오차: ±0.000 000 044
출처: CODATA 2010[1]

미세 구조 상수(微細構造常數, 영어: fine structure constant, 기호 α) 또는 조머펠트 미세 구조 상수(Sommerfeld -)는 전자기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물리상수다. 원자물리학입자물리학에서 자주 나타난다. 1916년 아르놀트 조머펠트가 발견하였다. 원래 조머펠트가 원자 방출 스펙트럼미세 구조를 연구할 때 발견하였으므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2020년 4월에, 13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미세구조상수가 다른 곳이 관측되었다는 논문이 발표되었다.[2] 이는 전자기법칙이 전 우주에서 같지는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정의

[편집]

미세 구조 상수 국제단위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여기서 기본 전하, 원주율, 디랙 상수, 빛의 속도, 은 진공의 유전율이다. 이 값은 두 전자(전자의 컴프턴 파장)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을 때, 그 전기적 위치 에너지와 전자의 정지 에너지 의 비로 해석할 수 있다.

유도

[편집]

CGS 단위계에서는 인자가 전하량에 포함되므로 식이 다음과 같이 바뀐다.

는 차원이 없는 상수이기 때문에, 그 값은 단위계에 상관없이 같다. 여기에 들어가는 기본 상수값을 대입해보면

=0.007 292 31
= 137.131

이 나온다. 이 값은 실제 측정값과는 차이가 있다. 여기에 양자 전기역학에서 예견하는 전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한 보정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전자의 자기 모멘트와 미세 구조 상수와의 관계를 통해 구해진 것으로, 다음과 같다.

=0.007 297 352 5698(24)
= 137.035 999 074(4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Mohr, Peter J.; Barry N. Taylor, David B. Newell (2010년 11월 13일). “CODATA Recommended Values of the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2010”. 《Reviews of Modern Physics》 84 (4): 1527–1605. arXiv:1203.5425. Bibcode:2012RvMP...84.1527M. doi:10.1103/RevModPhys.84.1527. 
  2. https://advances.sciencemag.org/content/6/17/eaay967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