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철근은 철로 만들며, 보통 막대 모양으로 만들어져 주로 인장력을 맡는 건설 재료로, 토목 공학, 건축 공학 등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 하나이다. 보통 재료는 탄소강이며, 따로 쓰기 보다는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와 합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용어
[편집]쇠로 만든 뼈대라는 뜻에서 철근(鐵筋)으로 부르고, 영어권에서는 보통 보강 막대(영어: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bar)라는 뜻으로 리바(영어: rebar)라고 부른다.
재료
[편집]해양구조물 등에서 해수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에폭시 도막 철근이나 아연 도금 철근,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철근, 더 높은 부식환경에서는 섬유에폭시 수지 분체 철근을 쓰기도 한다.
모양
[편집]모양과 용도에 따라 이형철근과 원형철근으로 나누고, 규격은 공칭 지름으로 구분해서 표시한다.
이형철근
[편집]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 주철근에 이형철근을 쓴다면 부착강도가 큰 점, 이음에 철근이 절약된다는 점, 보통 갈고리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의 장점이 있다.[1] SD(Deformed Steel)로 표시한다.[2]
원형철근
[편집]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단면의 봉강. SR(Rounded Steel)로 표시한다.[2]
표준 규격
[편집]- 국제 표준 ISO 6935-2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한국산업표준
[편집]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기계적 성질에 따른 표시방법
이형 철근 중 D4, D5, D6, D8 호칭명에 대해서는 길이 1.5m마다 아래 표와 같은 색을 적용하여 철근을 구분한다. 이외의 철근은 롤링에 의해 문자로 철근 표면에 철근의 원산지, 제조사 약호, 강종 구분, 호칭 지름, 용도를 표시한다.[3] SD 350은 2016년 KS 개정에서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수요가 없어 삭제되었다.[4]
기호 | 색상 |
---|---|
SD300 | 녹색 |
SD400 | 황색 |
SD500 | 흑색 |
SD600 | 회색 |
SD700 | 하늘색 |
SD400W | 백색 |
SD500W | 분홍색 |
SD400S | 보라색 |
SD500S | 적색 |
SD600S | 청색 |
용도
[편집]- 주철근: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 부철근: 부(-) 모멘트로 인한[7] 인장 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8]
- 종방향 철근: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 휨철근: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 스터럽: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 비틀림 철근: 비틀림 응력이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철근.
- 복부보강근: 전단력을 받는 부재의 복부에 배치되어 사인장 응력에 저항하는 철근, 사인장철근이라고도 함.
- 배력철근: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온도 변화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8]
- 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8]
- 나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 또는 철선.
- 굽힘철근: 구부려 올리거나 또는 구부려 내린 복부 철근. 전단 철근의 일종이며,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구부려 만든다.[8]
- 갈고리: 철근의 정착 또는 겹침이음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 철근의 끝부분을 180˚, 135˚, 90˚ 등의 각도로 구부려 만듦.
용접이음
[편집]철근을 용접하여 잇는 경우에 강도가 fy의 1.25배 이상이어야 한다.[9]
철근 결속
[편집]대한민국에서 철근 연결은 한국 산업 규격에 결속선은 담금질된 결속철선(0.9mm), 철근용 클립을 사용.[10]
각주
[편집]- ↑ 전찬기 등. 2015, 54쪽.
- ↑ 가 나 전찬기 등. 2015, 55쪽.
- ↑ KS D 3504:2016. 11 표시
- ↑ KS D 3504:2016. 해설
- ↑ 《토목공사 표준일반시방서》. 대한토목학회. 2005.
- ↑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국토해양부. 2009.
- ↑ 전찬기 등. 2015, 42쪽.
- ↑ 가 나 다 라 전찬기 등. 2015, 56쪽.
- ↑ 이학민 2016, 1-172쪽.
- ↑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건설교통부. 2007년 10월.
참고 문헌
[편집]- 이학민 (2016년 8월 20일). 《토목설계》 4판. 탑스팟. ISBN 9791186814499.
- 전찬기; 이종헌; 김동백; 김운학; 박선규 (2015). 《토목기사 과년도 - 철근 콘크리트 및 강구조》. 성안당. ISBN 9788931568103.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건설인 진언식 네이버 블로그
- 브런치 글 - 이거 완전 또라이네? 일을 재미로 하냐?(철근공 vs 형틀 목수) Archived 2019년 10월 16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