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국: 두 판 사이의 차이
Kirschtaria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봇: 분류 앞 공백 정리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고구려}} |
{{고구려}} |
||
[[분류:삼국 시대의 나라]] |
[[분류:삼국 시대의 나라]] |
||
[[분류:평양시의 역사]] |
[[분류:평양시의 역사]] |
2024년 5월 3일 (금) 14:20 기준 최신판
낙랑국 | ||||
---|---|---|---|---|
樂浪國 | ||||
낙랑군과 구분 불명확 | ||||
| ||||
수도 | 한반도 북부 | |||
정치 | ||||
정치체제 | 왕국 | |||
왕 | 최리 | |||
인문 | ||||
공용어 | 고대 한국어 | |||
종교 | ||||
종교 | 무속신앙 |
한국의 역사 |
---|
낙랑국(樂浪國) 또는 최씨낙랑국(崔氏樂浪國)은 1세기경인 원삼국시대 때 한반도 북부에 있었다고 비정되는 국가이다. 추정하는 위치나 이름으로 인해 한사군 중의 하나인 낙랑군과의 관계를 두고 논란이 있다. 문헌에 등장하는 최리라는 낙랑국 왕의 존재로 편의를 위해 최씨낙랑국이라고도 부른다.
역사
[편집]서기 14년, 신라가 왜의 침입을 받은 것을 기화로, 낙랑 역시 신라를 공격하였다.[1] 《삼국사기》에 따르면, 낙랑의 왕 최리(崔理)는 서기 30년 경에 옥저(沃沮) 지역으로 사냥을 나온 고구려의 왕자 호동(好童)을 만나 사위로 삼았다. 호동은 고구려로 돌아간 후 최리의 딸(낙랑공주)에게 은밀히 서신을 보내 낙랑의 고각(鼓角)을 부수도록 하였고 32년에 낙랑을 기습하여 항복을 받아낸다.[2] 신라 본기에 따르면 37년에 낙랑의 백성 5천여 명이 신라로 와서 투항하였으며 고구려 본기에도 37년에 낙랑을 멸망시킨 기사가 있어, 32년으로 기술한 위의 기록과 멸망 시점이 엇갈린다. 32년부터 시작된 낙랑과의 전쟁이 37년에 종결된 것으로 보기도 하며, 37년에 멸망한 낙랑을 한사군(���四郡)의 하나인 낙랑군(樂浪郡)으로 보기도 한다. 대무신왕#낙랑 정벌에 자세한 내용이 있다.
낙랑과 낙랑군
[편집]조선시대까지는 낙랑과 낙랑군을 같은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당시에 일반적으로 낙랑군의 위치로 파악하였던 평안도 및 황해도 일대가 낙랑의 위치로 비정되었으며, 박지원 등의 일부 실학자들은 낙랑군의 위치를 요동 지역으로 비정하기도 하였다.
낙랑을 한사군(漢四郡)으로 보는 기존의 시각에는 중국 측 기록에 낙랑군이 정복된 사실이 없고 낙랑왕 최리의 존재 역시 등장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낙랑군과 낙랑을 별도의 존재로 파악하는 시각이 대두되었다. 주요 주장으로는 낙랑군에 소속된 여러 국읍(國邑) 가운데 하나였다는 시각[3], 호동이 옥저로 사냥을 나갔던 기록에 주목하여 낙랑국을 옥저 일대의 부족 국가로 비정하는 시각[4] 등이 있다.
북한의 역사학계에서는 기원전 1세기에 있었던 낙랑국은 한민족이 세운 독립 국가이며, 한나라가 세운 낙랑군은 랴오닝성 지역에 따로 존재하였다고 주장한다. 평양직할시 락랑구역의 고분 및 유물들이 모두 낙랑국의 것이라 주장하는 것이다.[5] 또한 일부 재야사학자들은 낙랑군의 위치를 요동 또는 요서 일대로 비정하고, 기존의 낙랑군 위치인 평안도 지역에 낙랑이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하고[6] 동예 일대에 위치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김부식 (1145) 남해 차차웅 조(條) “十一年 倭人遣兵船百餘艘 掠海邊民戶 發六部勁兵以禦之 樂浪謂內虛 來攻金城 甚急 夜有流星 墜於賊營 衆懼而退 屯於閼川之上 造石堆二十而去 六部兵一千人追之 自吐含山東至閼川 見石堆 知賊衆乃止” (즉위 11년(14년) 왜인이 병선 백여 척을 보내 바닷가의 민가를 노략질하였으므로, 6부의 날랜 군사를 출동시켜 그들을 막았다. 낙랑인이 생각하기를 '나라 안이 비었을 것이다.' 하고 와서 금성을 공격하니 몹시 급박하였다. 밤에 유성이 적의 진영에 떨어지자 무리들이 두려워하여 물러가 알천 가에 진을 치고 돌무더기 20개를 만들어 놓고 갔다. 6부의 군사 1천 명이 그들을 추격하였는데, 토함산 동쪽에서부터 알천에 이르러 돌무더기를 보고서 적의 무리가 많다는 사실을 알고 이에 중지하였다.)
- ↑ 《삼국사기》에는 이 멸망 기사 이전에도 백제 및 신라가 그 초기에서부터 낙랑과 군사적 갈등을 겪은 기사가 꾸준히 등장하나, 대부분은 낙랑군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짐작된다. 다만 위의 멸망 기사는 최리를 태수가 아닌 낙랑의 '왕(王)'으로 칭하고 있어 '낙랑'의 성격이 모호해진다. '왕'으로 칭하고 있으니 한나라의 군인 한사군은 아니며 또 다른 나라, 즉 낙랑국이 존재한다는 설이 있다.
- ↑ 권오중, 《낙랑군연구》, 일조각, 1992
- ↑ 문안식,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보이는 낙랑·말갈사료에 관한 검토〉, 《전통문화연구》5, 1997
- ↑ 《역사연구》, 조선사회과학원 민족문화연구소 (정확한 권호수, 필자, 연도 등은 불명)
- ↑ 신채호, 《조선상고사》 / 박선희 교수,
- ↑ 〈출토 옷감서 찾은 낙랑공주 '최리왕 낙랑국'〉, 《브레이크뉴스》, 2011년 12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