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수혹 구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혹 9품에서 넘어옴)

수혹 9품(修惑 九品, 산스크리트어: nava-prakārāṇāṃ kleśānām, 영어: nine kinds of affliction), 9품혹(九品惑) 또는 9품번뇌(九品煩惱)는 모든 번뇌견혹(見惑)과 수혹(修惑)의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중 수혹을 그 강약 또는 추세(麁細, 거침과 미세함)에 따라 총 9가지 등급으로 나눈 것이다.[1][2][3][4][5]

보다 엄밀히는, 수혹 9품은 3계9지로 세분한 3계9지(三界九地)에서 각 지(地)의 수혹, 즉, 98수면 또는 128번뇌 중 각 지에 속한 수소단 ·  · 무명 등을 그 강약 또는 추세에 따라, 상품 · 중품 · 하품의 3품으로 나누고 다시 그 각각을 상중하의 3품으로 나누어, 총 9가지로 나눈 것으로 ① 상상품(上上品) ② 상중품(上中品) ③ 상하품(上下品) ④ 중상품(中上品) ⑤ 중중품(中中品) ⑥ 중하품(中下品) ⑦ 하상품(下上品) ⑧ 하중품(下中品) ⑨ 하하품(下下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9품은 ⑨ 하하품(下下品)을 말한다.[2][3][5]

3계는 다음과 같이 9지로 나뉘고, 9지의 각 지에는 9품의 수혹이 있으므로 3계에는 총 81품의 수혹이 있다.[2][3][5]

욕계(欲界)

욕계오취지(欲界五趣地) 또는 오취잡거지(五趣雜居地)

색계(色界)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무색계(無色界)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

표: 3계의 수혹

[편집]
수혹욕계색계무색계
부파불교 98수면수혹 · · · 무명 (4) · · 무명 (3) · · 무명 (3) 10가지
대승불교 128근본번뇌수혹 · ·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6) ·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16가지

표: 3계9지

[편집]
9지(九地)삼계三界 · 6도六道
구사론 제8권천태사교의장아함경 제20권

(5취 · 6욕천 ·
색계 17천 · 무색계 4천)

(6도 · 6욕천 ·
색계 18천 · 무색계 4천)

(6도 · 7욕천 ·
색계 22천 · 무색계 4천)

① 욕계오취지
(欲界五趣地)
= 오취잡거지
(五趣雜居地)

욕계(欲界) - 5취욕계(欲界) - 6도욕계(欲界) -
욕계 12종(欲界十二種)
 (1) 지옥취(地獄趣) (1) 지옥도(地獄道) (1) 지옥(地獄)
 (2) 아귀취(餓鬼趣) (2) 축생도(畜生道) (2) 축생(畜生)
 (3) 방생취(傍生趣) (3) 아귀도(餓鬼道) (3) 아귀(餓鬼)
  (4) 아수라도(阿修羅道) (4) 인(人)
 (4) 인취(人趣) - 4대주(四大洲) (5) 인도(人道) - 4대주(四大洲) (5) 아수륜(阿須倫)
 (5) 천취(天趣) - 6욕천(六欲天) (6) 천도(天道) - 6욕천(六欲天) (6) 4천왕(四天王)
 (1) 4대왕중천(四大王衆天) (1) 4천왕천(四天王天) (7) 도리천(忉利天)
 (2) 33천(三十三天) (2) 도리천(忉利天) (8) 염마천(焰摩天)
 (3) 야마천(夜摩天) (3) 야마천(夜摩天) (9) 도솔천(兜率天)
 (4) 도사다천(都史多天) (4) 도솔천(兜率天) (10) 화자재천(化自在天)
 (5) 낙변화천(樂變化天) (5) 화락천(化樂天) (11)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6)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6)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12) 마천(魔天)
색계 17천(色界十七天) -
천취(天趣)
색계 18천(色界十八天) -
천도(天道)
색계(色界) -
색계 22종(色界二十二種)

② 이생희락지
(離生喜樂地)

 제1정려처(第一靜慮處) 초선3천(初禪三天) (1) 범신천(梵身天)
 (1) 범중천(梵衆天) (1) 범중천(梵衆天) (2) 범보천(梵輔天)
 (2) 범보천(梵輔天) (2) 범보천(梵輔天) (3) 범중천(梵衆天)
 (3) 대범천(大梵天) (3) 대범천(大梵天) (4) 대범천(大梵天)

③ 정생희락지
(定生喜樂地)

 제2정려처(第二靜慮處) 2선3천(二禪三天) (5) 광천(光天)
 (4) 소광천(少光天) (4) 소광천(少光天) (6) 소광천(少光天)
 (5) 무량광천(無量光天) (5) 무량광천(無量光天) (7) 무량광천(無量光天)
 (6) 극광정천(極光淨天) (6) 광음천(光音天) (8) 광음천(光音天)

④ 이희묘락지
(離喜妙樂地)

 제3정려처(第三靜慮處) 3선3천(三禪三天) (9) 정천(淨天)
 (7) 소정천(少淨天) (7) 소정천(少淨天) (10) 소정천(少淨天)
 (8) 무량정천(無量淨天) (8) 무량정천(無量淨天) (11) 무량정천(無量淨天)
 (9) 변정천(遍淨天) (9) 변정천(遍淨天) (12) 변정천(遍淨天)

⑤ 사념청정지
(捨念淸淨地)

 제4정려처(第四靜慮處) 4선9천(四禪九天) (13) 엄식천(嚴飾天)
 (10) 무운천(無雲天) (10) 무운천(無雲天) (14) 소엄식천(小嚴飾天)
 (11) 복생천(福生天) (11) 복생천(福生天) (15) 무량엄식천(無量嚴飾天)
 (12) 광과천(廣果天) (12) 광과천(廣果天) (16)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13) 무상천(無想天) (17) 무상천(無想天)
 (13) 무번천(無煩天) (14) 무번천(無煩天) (18) 무조천(無造天)
 (14) 무열천(無熱天) (15) 무열천(無熱天) (19) 무열천(無熱天)
 (15) 선현천(善現天) (16) 선견천(善見天) (20) 선견천(善見天)
 (16) 선견천(善見天) (17) 선현천(善現天) (21) 대선견천(大善見天)
 (17) 색구경천(色究竟天) (18) 색구경천(色究竟天) (22)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
천취(天趣)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
천도(天道)
무색계(無色界) -
무색계 4종(無色界四種)

⑥ 공무변처지
(空無邊處地)

 (1) 공무변처(空無邊處) (1) 공처천(空處天) (1) 공지천(空智天)

⑦ 식무변처지
(識無邊處地)

 (2) 식무변처(識無邊處) (2) 식처천(識處天) (2) 식지천(識智天)

⑧ 무소유처지
(無所有處地)

 (3) 무소유처(無所有處) (3)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 (3) 무소유지천(無所有智天)

⑨ 비상비비상처지
(非想非非想處地)
= 유정지(有頂地)

 (4)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4) 비비상천(非非想天) (4) 유상무상지천(有想無想智天)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九品惑(구품혹)", 운허. 《불교사전》. 2022년 9월 13일에 확인:
    九品惑(구품혹)
    또는 9품번뇌. 탐(貪)ㆍ진(瞋)ㆍ만(慢)ㆍ무명(無明)의 4종 수혹(修惑)을 추세(麤細)에 따라서 상ㆍ중ㆍ하 3품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 상ㆍ중ㆍ하로 나눈 것. 이 번뇌를 끊어 없애는 것을 9무간도(無間道)라 함.
  2. "구품혹[九品惑]",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9월 13일에 확인:
    구품혹[九品惑]
    삼계(三界)를 구지(九地)로 나누고, 각 지(地)의 수혹(修惑)을 거칠고 미세함에 따라 상상품(上上品)·상중품(上中品)·상하품(上下品)·중상품(中上品)·중중품(中中品)·중하품(中下品)·하상품(下上品)·하중품(下中品)·하하품(下下品)의 구품으로 나눈 것. 따라서 삼계의 수혹은 81품이 됨.
  3. "九品惑",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9월 13일에 확인:
    九品惑
    即貪、瞋、慢、無明等四種修惑,就其粗細而分為上、中、下等九品。又作九品煩惱。總三界有欲界、四禪、四無色,共為九地。其中,欲界具有四種修惑,四禪、四無色除瞋之外尚有其餘三惑。於各地復分上上乃至下下九品,九地合為八十一品,稱為八十一品修惑。此通有漏、無漏二斷,凡夫亦得斷其中下八地七十二品;若就聖者而言,於修道位斷欲界之前六品者為第二果,斷欲界九品者為第三果,斷盡上二界七十二品者為第四果。又每斷此一品,各有無間、解脫二道;所斷之障,於一一地中各有九品,故能對治之道亦有九,稱為九無間道、九解脫道。無學之聖者修練根時,亦有九無間、九解脫。〔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九、俱舍論卷二十三〕p223
  4. "九品",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년 9월 13일에 확인:
    九品
    Basic Meaning: nine levels
    Senses:
    Nine classes, or grades, i.e. upper superior, middle superior, lower superior, and so on. Buddhist scriptures — and especially Pure Land texts — commonly define such things as afflictions, heavenly rebirths, faculties of sentient beings and so forth into nine categories, which are the three categories of superior, middling, and inferior 上中下, further divided into the same three, resulting in nine: 上上品, 上中品, 上下品, 中上品, 中中品, 中下品, 下上品, 下中品, 下下品 They are applied in many ways, e.g. 上品上生 the highest type of incarnate being, to 下品下生, the lowest, with corresponding karma; see 九品淨土. Each grade may also be subdivided into nine, thus making a list of eighty-one grades, with similar further subdivision ad infinitum (Skt. nava-prakāra, nava-prakāra-bheda). 〔〕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Hirakawa]
    Nine classes of affliction. See 九品惑. 〔二障義, HBJ 1.808a〕 [Charles Muller]
    [fr] neuf categories. neuf catégories de pensées du domaine du désir: les six premières catégories sont totalement supprimées, mais les trois dernières subsistent encore, c'est pourquoi l'on renaît encore une fois. [Paul Swanson]
  5. "九品惑",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년 9월 13일에 확인:
    九品惑
    Basic Meaning: nine kinds of affliction
    Senses:
    Also called 九品煩惱. A categorization of the removable afflictions of desire 貪, anger 瞋, pride 慢, and nescience 無明 into coarse and subtle according to nine levels. These in turn are divided among nine regions in the three realms 三界 to make a total of eighty-one types (Skt. nava-prakārāṇāṃ kleśānām). 〔倶舍論, T 1558.29.25b4〕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Hiraka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