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거란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쇄용 판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렌더링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북마크를 업데이트해 주시고 기본 브라우저 인쇄 기능을 대신 사용해 주십시오.

거란어
사용 국가 요나라
사용 민족 거란
사멸 1243년(야율초재가 마지막)
문자 거란 문자
언어 계통 측몽골어족?
 거란어
언어 부호
ISO 639-3 zkt 거란어
글로톨로그 kita1247[1]

거란어(契丹語)는 동몽골, 요서, 요동 지역의 유목민족이었던 거란족의 언어이다. 요나라서요에서 공식 언어의 지위를 가졌었다. 거란족의 소멸과 더불어 현재는 사어가 되었다.

계통

거란 문자의 연구를 통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거란어는 몽골어퉁구스어족 언어와 유사한 어휘를 공유한다. 오늘날 주요 학자들은 거란어가 퉁구스어족보다 몽골어족에 가까우며 몽골어와 친연관계를 가진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2][3] 핀란드의 언어학자 유하 얀후넨은 거란어가 현대 몽골어족의 하위에 분류된다기보다는 선비오환어파(Para-Mongolic)에 속하는 것이라고 여기며, 이에 따르면 거란어는 모든 몽골어족 언어의 공통 근원인 몽골조어에서 파생된 방계(傍系) 친족어일 수 있다.[4]

한편 알렉산더 보빈은 거란어 속에서 발견되는 일부 한국어족과 유사한 단어를 차용어라고 주장하며, 한국어족 언어와 거란어 사이의 언어접촉을 근거로 미해독 거란 문자를 설명하기도 했다.[5]

음운

거란어의 자음 음소는 몽골어, 다우르어와 비교될 수 있다. 다음은 중세 거란어의 음운 체계이다.[6]

자음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구개음
파열음 *p *t *k *q
*b *d  
파찰음
마찰음 *s
비음 *m *n
유음 *l
R음 *r
접근음 *w *y
모음
중설 후설
고모음 *i *u
중모음
저모음 *a

거란어의 음절구조는 CVN 또는 CVG로 구성될 수 있다.[7]

문자

문자에는 거란대자와 거란소자의 두 종류가 있다. 《요사》의 기술에 따르면, 대자는 920년(신책 5년)에,[주 1] 소자는 야율질라가 창제하였고 그 시기는 925년으로 추정된다.[주 2] 요나라의 기록이나 각종 비문 등 일부 한정된 분야에서 거란어에 대한 기록이 발견되었으며, 거란어는 거란 문자로 표기된 적은 수의 자료로 남아 있다.

1125년 를 멸망시킨 뒤에, 거란어와 거란 문자는 여전히 일정 범위 내에서 사용되었다. 12세기 초에 창제된 여진 문자는 거란 문자를 참고로 하여 만들어졌으므로, 금나라 때에도 거란 문자는 해독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록

요사》(遼史) 열전 권116은 〈국어해〉로, 거란어 단어를 한자로 음사한 자료가 실려 있다.[8][9][10][11]

건륭제는 거란인과 거란어를 솔론인과 솔론어로 오인했기 때문에, 《흠정요금원삼사국어해》(欽定遼金元三史國語解)를 편찬할 당시에 《요사》에 등장하는 거란인의 인명의 한자 음사를 솔론어로 바꾸었다.

단어

계절

거란어[12] 몽골 문자 현대 몽골어 다우르어
𘰬𘮒hau.ur ᠬᠠᠪᠤᠷ qabur хавар (kavar) haor
𘲮𘳕dʒu.un 여름 ᠵᠤᠨ jun зун (zun) najir
𘰭𘯴𘮒n.am.ur 가을 ᠨᠠᠮᠤᠷ namur намар (namar) namar
𘲚𘲀u.ul 겨울 ᠡᠪᠦᠯ ebül өвөл (övöl) uwul

동물

거란어[12] 몽골 문자 현대 몽골어 다우르어
𘰺𘯛𘯺t(d).aqa.a ᠲᠠᠬᠢᠶ᠎ᠠ taqiya тахиа (tahia) kakraa
𘰕𘯛ŋ(ni).aqa ᠨᠣᠬᠠᠢ noqai нохой (nohoi) nowu
𘬦𘰎𘯺tau.ul.a 토끼 ᠲᠠᠤᠯᠠᠢ taulai туулай (tuulai) tauli
𘰗𘭞𘯶mu.ur.o ᠮᠣᠭᠠᠢ mogoi могой (mogoi) mowo

방위

거란어[12] 몽골 문자 현대 몽골어 다우르어
𘭶𘰥do.ur 동쪽 ᠳᠣᠷᠤᠨ᠎ᠠ doruna дорно (dorno) garkui
𘮏𘱚𘲦dʒ.əg.ən 왼쪽 ᠵᠡᠭᠦᠨ jegün зүүн (züün) solwoi
𘮽𘭪𘯺𘬐b.ar.a.an 오른쪽 ᠪᠠᠷᠠᠭᠤᠨ baragun баруун (baruun) baran
𘲌𘮒𘲫dau.ur.ir 가운데 ᠳᠤᠮᠳᠠ dumda дунд (dund) duand

자연

거란어[12] 몽골 문자 현대 몽골어 다우르어
𘰷𘭌s.un ᠰᠥ᠋ᠨ᠋ᠢ söni шөнө (shönö) suni
𘭕𘲀əu.ul 구름 ᠡᠭᠦᠯᠡ egüle үүл (üül) eulen
𘬥𘭕𘬷ʃ.əu.su 이슬 ᠰᠢᠭᠦᠳᠡᠷᠢ sigüderi шүүдэр (shüüder) suider
𘭧sair ᠰᠠᠷᠠ sara сар (sar) saruul
𘲜𘱀m.əm 은(銀) ᠮᠥ᠋ᠩᠭᠦ mönggü мөнгө (möngö) mungu

외부 링크

각주

내용주

  1. 《遼史》卷二,(神冊)“五年春正月乙丑,始製契丹大字。……九月……壬寅,大字成,詔頒行之。”
  2. 《遼史》卷六十四,“回鶻使至,無能通其語者,太后謂太祖曰:「迭剌聰敏可使。」遣迓之。相從二旬,能習其言與書,因制契丹小字,數少而該貫。”

참조주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Kita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Cf. Franke. In Sinor ed., 1990, p. 407, and note. 6; Liu, Fengzhu 1992, p. 1; Janhunen 1996, p. 143.
  3. author., Cenggeltei, 1924-2013,. 《契丹小字研究》. ISBN 978-7-5161-9580-2. 
  4. Janhunen, Juha (2003): Para-Mongolic. In: Juha Janhunen (ed.): The Mongol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391-402.
  5. Vovin, Alexander (2017년 6월). “Koreanic loanwords in Khitan and their importance in the decipherment of the latter”. 《Acta Orientalia Academiae Scientiarum Hungaricae》 70 (2): 207–215. doi:10.1556/062.2017.70.2.4. ISSN 0001-6446. 
  6. Verfasser, Shimunek, Andrew.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ISBN 978-3-447-10855-3. 
  7. Shen, Zhongwei (2007년 1월 24일). “Sino-Khitan Phonology”. 《Bulletin of Chinese Linguistics》 (Brill) 1 (2). doi:10.1163/2405478X-90000022. 
  8. 遼史/卷116 卷116.
  9. Howorth, H. H. (1881). “The Northern Frontagers of China. Part V. The Khitai or Khitans”.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영어) 13 (2): 123–125. doi:10.1017/S0035869X00017780. JSTOR 25196875. 
  10. Wilkinson, Endymion Porter (2000). 《Chinese History: A Manual》 (영어) illurat, revis판.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864쪽. ISBN 0-674-00249-0. 
  11. Yong, Heming; Peng, Jing (2008). 《Chinese Lexicography: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영어).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82–쪽. ISBN 978-0-19-953982-6. 
  12. 김태경 (2019). 《거란소자 사전》. 조선뉴스프레스. ISBN 979-11-5578-4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