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구국제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구국제공항
Daegu International Airport


대구국제공항의 전경


대구국제공항 청사

IATA: TAE - ICAO: RKTN
개요
시간기준 한국표준시
운영시간 05:00 - 24:00[1]
24시간(군용)
소유기관
운영기관
지역
위치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공항로 221(지저동)
거점 항공사 티웨이항공
건립시기 1936년
사용시기
점유기관 제11전투비행단
해발고도 36 m / 120 ft
좌표 북위 35° 53′ 38″ 동경 128° 39′ 32″ / 북위 35.89389° 동경 128.65889°  / 35.89389; 128.65889
웹사이트 https://www.airport.co.kr/daegu/index.do
지도
TAE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TAE
TAE
TAE(대한민국)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13R/31L 2,750 45 CAT I 콘크리트
13L/31R 2,745 45 CAT I 콘크리트
통계(2023)
이용 여객 3,302,107 명
운항 횟수 20,244 회
처리 화물¹ 455.7 톤
출처: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

¹: 수하물은 제외한다.

대구국제공항(大邱國際空港, 영어: Daegu International Airport, IATA: TAEICAO: RKTN)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지저동, 동촌동 일대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활주로는 K-2 공군기지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현재 국내선은 제주 노선을, 국제선은 인천 내항기, 중국, 일본, 대만, 베트남, 태국, 필리핀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2] 계기착륙장치(ILS)는 활주로 31L에만 설치되어 있고, 로컬라이져(LOC/DME)는 활주로 31R에 설치되어 있다.[출처 필요]

역���

[편집]

초기

[편집]

1936년, 일본군도동, 방촌동, 입석동, 지저동 일대에 활주로를 건설을 시작으로 1937년 대구비행장이 개장하였다.[3][4] 1950년 한국전쟁 기간 동안에는 군사기지로 활용되다가 1961년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 설치와 서울간 국내선 운항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민간항공 운항을 시작하였다. 1962년 대한항공공사가 운항을 시작하였으며 1989년에는 아시아나항공이 대구공항의 운항을 시작하였다.[3]

해방 이후, 미군정 시기에 미8군사령부와 제5공군 사령부가 설치되어 군사기능을 시작하였으며 한국전쟁 기간에 미8군 사령부가 서울로 이전하며 대구비행장은 현재의 K2기지로 운영하기 시작하였다.[4] 한국전쟁 이후, 대구비행장은 민간항공과 군사항공을 동시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하였으며 1959년 대한국민항공사서울 노선의 국내선 운항을 시작하였다.[4]

활성화 시기

[편집]

1990년에는 한국공항공단 대구지사가 설립되었다. 1994년 후쿠오카 노선을 취항하며 국제선 운항을 시작하였으며, 1996년 대한항공부산을 경유하여 오사카와 연결되는 국제선이 취항하면서 국제공항으로 승격했다.[3]

2000년에 예비 활주로를 준공하였으며 다음해에는 신청사를 개관하였다. 2001년에는 중국동방항공이 대구와 상하이를 연결하는 국제선을 취항하였으며, 뒤를 이어 중국국제항공청두를 연결하는 노선을 취항하였다.[3] 2002년에는 화물터미널과 호텔이 개관되었으며 2006년까지 예비활주로 확장, 급유시설, 주활주로와 지하차도를 건설하였다.

침체 및 재활성화 시기

[편집]

대구공항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이용객이 200~220만 명대를 기록하였으나, 2004년 경부고속철도의 개통으로 김포행 노선 이용률이 급감하면서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연 이용객이 100~110만 명 대에서 정체되었다. KTX 개통 이후 김포 노선의 이용객이 급감한 끝에 2007년 10월 1일에 대한항공, 10월 28일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차례로 운항을 종료하였다.[5]

2014년 대구국제공항은 공항 활성화를 위해 2018년 7월까지 한시적으로 공항 운영시간을 '06시 - 22시'에서 '05시 - 24시'로 3시간 연장하였고,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이 대구를 오가는 국제선을 취항하면서 이용객이 2004년 수준인 150만 명대로 증가하였다. 같은해 티웨이항공이 대구공항의 운항을 시작하였으며 뒤를 이어 제주항공과 2016년에는 타이거 항공 타이완, 에어부산이 대구공항을 취항하였다.[3]

따라서 김포행은 국제선 환승을 위하여 2002년 말부터 이미 운항 중이었던 인천행으로 사실상 대체되었으며, 대한항공에서 1일 2회 단독 운항 중인 인천 - 대구 노선은 환승내항기 노선이 아닌 일반적인 국내선이었다가 2018년에 환승내항기로 전환되었다.

2015년 공항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대구국제공항은 만성 적자공항에서 2016년 개항 이래 첫 흑자를 달성했다. 특히, 올해는 공항 관계 기관·항공사와 합심해 국제선 정기노선 3개 노선(오키나와, 다낭, 방콕)을 신설했으며, 주기장 확장(7면→9면)과 에어부산의 램프버스 도입(3대)으로 국제선 확충 기반이 마련됐다.

연혁

[편집]

1960년대

[편집]

1980년대

[편집]

1990년대

[편집]

2000년대

[편집]

2010년대

[편집]

2020년대

[편집]

터미널 운용

[편집]

현재 청사 운용

[편집]
  • 국내선 터미널 (구청사) : 1961년 4월 준공되었다. 구청사의 노후화로 인해 2001년 폐쇄 후 대한민국 최초 공항호텔을 준공하였다. 이후 2021년에 운영 중단 후 리모델링을 거쳐 2023년 9월 20일 국내선 터미널로 새롭게 개항하였다. 개항함과 동시에 신청사에 있던 국내선은 모두 이쪽으로 옮겨졌다.
  • 국제선 터미널 (신청사) : 구청사의 노후화로 2001년 5월 준공되었다. 면적 11,985 m²의 신청사가 신축되면서 국제선 여객처리 능력이 375만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터미널 준공과 함께 예비활주로 1본(2,755m)이 추가 건설되어 연간항공기 처리능력도 향상되었다. 신청사는 국적항공사(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의 카운터만 사용하였는데, 2016년 11월 여객 수에 맞춰 항공사간 체크인 카운터를 탄력적으로 배정할 수 있는 공용 체크인카운터를 도입하였다. 신청사 리모델링 계획에 따라 신청사에는 모든항공사의 체크인 카운터가 생성되었다. 2023년 9월 19일까지 국제선과 국내선이 같이 사용하였지만, 국내선 터미널 개항 이후엔 국제선 전용 터미널로 변경되어 운영중이다.

리모델링 (2016년 ~ 2017년)

[편집]

2014년 저비용항공사의 등장으로 수용인원이 포화되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17년까지 총 23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주기장 및 검색대 증설 ▲주차타워 신설 ▲구청사와신청사 사이 공간 확장 ▲공항내 음식정 신설 및 확충 등 대구공항을 재단장할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주기장을 기존 7개에서 9개로 증설되며 여행객을 위한 대기공간 확보를 위해 구청사와신청사 사이 공간 확장된다. 또, 출발여객과 도착여객의 편안한 여행을 위해 공항내 편의시설 중축 및 신설

한편, 대구공항 국제선 이용객은 2017년 연간 350만명 대에 진입해 현 여객터미널의 여객처리 능력(375만명)에 근접하였다. 이에 따라 공항공사는 임대계약이 만료되는 호텔시설을 철수시키고 그 자리에 터미널 시설을 확충하여 공항 여객처리 능력을 키울 계획이다.[6]

2청사 (2020년 ~ 2023년)

[편집]

현 청사가 포화되어 이를 확장하기 위해 2023년까지 현 호텔에어포트 자리에 리모델링 후 여객 수용을 할 계획이었다.[7] 예정된 공사비는 342억 원 규모다. 설계 공모 지침서에 나온 시설물 배치 계획안에는 기존 국내·국제 통합청사에서 현재 호텔에어포트 건물은 국내선 터미널로 기존 여객터미널은 국제선 터미널로 변경된다. 여객 연간수용능력은 국내선 257만 명 수준을 유지하고 국제선은 118만 명에서 228만 명으로 늘린다. 해당 리모델링은 2023년 9월 20일 모두 마무리 후 개항하였다. 이로써 대구공항은 62년만에 국내선과 국제선이 완전히 분리된 터미널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기존 여객터미널에서 사용했던 국내선 출도착 구역은 현재 국제선 구역으로 변경하는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중에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군공항 기능과 민항 기능을 군위군의성군으로 이전하여 대구경북신공항을 건설하기로 합의하면서 계획이 표류되었으나, 매몰비용을 감수하고 사업을 축소해 리모델링을 하기로 했다.

통합신공항으로의 이전

[편집]

2020년 대구국제공항의 군공항 기능과 민항 기능을 경상북도 군위군의성군으로 이전하여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을 건설하고, 군위군을 대구광역시로 편입하기로 합의하였다.

주둔부대

[편집]

주요 시설

[편집]
  • 여객터미널 : 26,716 m², 연간 이용객 처리능력 370만 명(국내선 256만 명, 국제선 114만 명)
  • 보딩브릿지 : 6기 (국제선 4기, 국내선 2기)
  • 활주로 : 2,755m×45m / 2,743m×45m
    • 연간 항공기 처리능력은 16만 회(시간당 30회)이며, 이 중 민항기에 배정되는 슬롯은 시간당 7회로, 활주로의 연간 민항기 처리능력은 3만7천 회이다.
  • 유도로 : 623m×23m
  • 계류장 : 41,582 m² (보잉 B737-800 9기 동시주기 가능)
  • 항행안전시설 : 계기착륙장치(ILS), 무선표지(TVOR/DME), 항공등화
  • 공항등급 : CAT-I

운항 노선

[편집]

여객터미널

[편집]
  • 2023년 9월 20일 이후 국제선 여객터미널과 국내선 여객터미널, 이렇게 2개의 분리된 터미널을 사용하고 있다.

국제선

[편집]
  • 2024년 기준 아래와 같이 국제선을 운항하고 있다.
항공사목적지
대한민국 대한항공 서울(인천)
대한민국 제주항공 세부, 타이베이(타오위안)
대한민국 진에어 타이베이(타오위안)
대한민국 티웨이항공 나트랑, 다낭, 도쿄(나리타), 방콕(수완나품), 오사카(간사이), 타이베이(타오위안), 후쿠오카
계절편: 비엔티안, 삿포로, 울란바토르, 장자제[9]
중국 중국동방항공 상하이(푸둥)
중화인민공화국 쓰촨항공 계절편: 장자제
중화민국 타이거 항공 타이완 타이베이(타오위안)
베트남 비엣젯 항공 다낭

국내선

[편집]
항공사목적지
대한민국 대한항공 제주[10]
대한민국 아시아나항공 제주
대한민국 제주항공 제주
대한민국 진에어 제주
대한민국 티웨이항공 제주

관련 통계

[편집]

이용객 추이

[편집]

전체

[편집]
연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운항(편수) 15,180 증가 15,671 증가 16,189 증가 17,675 증가 18,511 증가 19,984 증가 20,729 감소 15,021 감소 11,837 감소 11,111
여객 (명) 2,173,183 감소 1,799,531 증가 2,086,436 증가 2,241,310 감소 2,214,613 증가 2,274,901 감소 2,228,550 감소 1,567,678 감소 1,236,446 감소 1,194,150
연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운항(편수) 감소 10,997 감소 9,691 감소 8,257 증가 8,287 증가 8,489 감소 8,413 증가 8,794 증가 11,832 증가 14,369 증가 17,089
여객 (명) 감소 1,177,490 감소 1,079,011 감소 1,026,203 증가 1,148,953 증가 1,178,212 감소 1,110,290 감소 1,084,585 증가 1,537,328 증가 2,027,626 증가 2,533,132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운항(편수) 증가 23,191 증가 26,800 증가 31,236 감소 12,990 증가 13,294 증가 13,472 증가 20,244
여객 (명) 증가 3,560,124 증가 4,062,833 증가 4,669,057 감소 1,749,396 증가 2,048,365 증가 2,255,883 증가 3,302,107
  • 야간운행통제 시간(커퓨 타임)의 단축[1]과 국내 저비용 항공사의 국제선 취항 등의 영향으로 2014년부터 이용객 수가 해마다 크게 늘어 2015년에 이용객 수가 200만 명을 회복하였고, 2018년에는 400만명을 돌파하였다.
  • 같은 기간 국제선 여객의 수와 비중도 크게 증가하여 2014년에 22만 명, 2015년에 33만 명, 2016년에 68만 명, 2017년에 150만 명, 2018년에 200만 명, 2019년에 257만 명에 이르렀다.

국내선

[편집]
연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운항(편수) 17,562 증가 17,903 증가 18,452 증가 19,344 감소 12,568 감소 8,909 감소 7,930 감소 7,792 감소 7,114 증가 7,246
여객 (명) 2,234,227 감소 2,154,318 감소 2,141,361 감소 2,105,062 감소 1,338,475 감소 937,980 감소 899,478 감소 867,140 감소 847,544 증가 935,167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운항(편수) 감소 7,221 감소 7,183 증가 7,221 증가 7,590 증가 10,102 증가 11,635 증가 12,141 증가 12,922 증가 13,287 감소 13,201
여객 (명) 증가 1,019,828 감소 1,012,231 감소 962,500 감소 944,408 증가 1,314,594 증가 1,696,076 증가 1,848,291 증가 2,056,355 감소 2,014,208 증가 2,093,441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운항(편수) 감소 11,169 증가 13,226 감소 12,756 증가 13,210
여객 (명) 감소 1,520,335 증가 2,042,121 증가 2,163,203 증가 2,187,104

국제선

[편집]
연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운항(편수) 113 증가 608 증가 1,532 감소 1,385 증가 2,453 증가 2,928 증가 3,181 증가 3,205 감소 2,577 감소 1,011
여객 (명) 7,083 증가 60,295 증가 133,540 감소 123,488 증가 229,203 증가 298,466 감소 294,672 증가 310,350 감소 231,467 감소 91,036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운항(편수) 증가 1,066 증가 1,306 감소 1,192 증가 1,204 증가 1,730 증가 2,734 증가 4,948 증가 10,269 증가 13,513 증가 18,035
여객 (명) 증가 129,125 증가 165,981 감소 147,790 감소 140,177 증가 222,734 증가 331,550 증가 684,841 증가 1,503,769 증가 2,048,625 증가 2,575,616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운항(편수) 감소 1,821 감소 68 증가 716 증가 7,034
여객 (명) 감소 229,061 감소 6,244 증가 92,680 증가 1,115,003

노선별 순위

[편집]

국내선

[편집]
국내선 노선 순위 (2019년)
순위 공항 여객(명) 운항(편수) 항공사
1 제주국제공항 1,968,480 11,811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2 인천국제공항 80,557 951 대한항공
3 김포국제공항 44,404 439 에어부산

국제선

[편집]
국제선 노선 순위 (2019년)
순위 공항 여객(명) 운항(편수) 항공사
1 중화민국 타이베이(타오위안) 408,819 2,778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타이거항공, 제주항공
2 베트남 다낭 390,740 2,459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비엣제트 항공
3 일본 오사카(간사이) 273.264 2,138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4 일본 도쿄(나리타) 261,659 1,885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5 일본 후쿠오카 171,758 1,282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교통 시설

[편집]

대구공항 시외터미널

[편집]

2017년 7월 말부터 동대구터미널 ~ 대구국제��항 ~ 경북도청신도시 ~ 예천을 경유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됨에 따라 중간 정류소가 세워졌다.

공항내 발권카운터가 배치되어있고 공항청사 GATE2 전면에 시내버스 정류소와 함께 탑승장을 사용하며 동대구행도 운행중이다.[11]

아양교역

[편집]

아양교역은 대구국제공항에서 1.34km 떨어져 있기 때문에 101(-1)번, 401번, 팔공1번, 팔공2번(주말휴일노선) 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걸어가기에는 다소 거리가 있으나, 역에서 시내버스 환승을 통한 공항 접근성은 나쁘지 않다. 공항에서 시내 방향으로 나가는 시내버스 노선들 중 101번이 대구국제공항 청사 안쪽으로 들어오며, 공항 청사의 차량 진출로가 있는 공항네거리에서 해동로(팔공아파트)로 곧바로 직진하여 아양교역으로 간다. 다만 아양교역이 금호강 하저터널을 건너가는 곳에 있어서 다소 깊기 때문에, 동구청역에서 하차한 후 시내버스로 환승해도 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야간운항통제시간 조정' 양보에 숙원사업비 80억 뉴시스, 2014년 7월 4일
  2. 대구국제공항 활성화, 안정적 항공수요가 관건 영남일보, 2015.5.13.
  3. “대구국제공항”. 《대구역사문화대전》. 
  4. “동촌비행장에서 대구공항으로”. 《대구역사문화대전》. 
  5. “아시아나항공, 김포-대구 노선 운항 중단”. 《연합뉴스》. 2007년 10월 29일. 
  6. 2터미널 시대 온다 대구신문, 2018.4.6
  7. 2터미널 시대 온다 대구신문, 2018.4.6
  8. “도로 곳곳 테마 있는 꽃길 조성”. 국방일보. 2013년 4월 2일.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10일에 확인함. 
  9. “대구발 비엔티안·삿포로 하늘길 다시 열린다”. 2022년 12월 16일.  >
  10. “대한항공 대구-제주 노선 29일부터 운항”. 2023년 10월 19일.  >
  11. “경북도청~대구공항 직행 시외버스 노선 신설”. 2017년 8월 31일에 확인함. 
  12. “칠곡군, 왜관읍~대구공항 버스노선 신설”. 2018년 1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