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선
호남고속선(湖南高速線)은 경부고속선 오송역에서 호남선 광주송정역을 잇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호남고속철도의 전용 선로다.
호남고속선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대한민국 |
종류 | 고속철도 |
상태 | 운행 중 |
기점 | 오송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
종점 | 광주송정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
역 수 | 5 |
노선 번호 | 102 |
개통일 | 2015년 4월 2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1] SR[2]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183.8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2(쌍단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
신호 방식 | TVM430, ATC |
영업 최고 속도 | 305 km/h |
설계 최고 속도 | 430 km/h |
역사
편집개요
편집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호남 지방의 요청으로 호남선에도 KTX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전조차장 이남으로는 기존 호남선으로 주행하는 데다가, 특히 서대전 ~ 논산 사이에 선형이 불량한 구간에서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광주역까지 3시간, 목포역까지 3시간 4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는 단 1시간 40분 만에 동대구역에 도착하는 경부고속철도와 비교되어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까지 생겨났고, 이에 호남고속철도 노선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하여 호남고속선의 건설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경부고속선에서 호남고속선이 어느 역에서 분기될지는 뒤늦게 확정되었다. 당시 분기역으로는 천안아산역·오송역·대전역이 구상되었다. 천안에서는 서울 ~ 목포 간 최단 거리 노선이 가능하여 소요 시간이 단축된다는 주장을, 대전에서는 여객 수요가 많고 공사비가 적게 든다는 주장을, 충북(오송)에서는 ‘국토 X축 노선’의 중심지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3] 2005년 6월 분기역은 오송역으로 확정되었으나[4], 이 결정은 이해당사자의 다수가 빠진 상태에서 내려진데다가 ‘정치적 결정’에 불과하였다는 비판이 있다.[5]
1단계 오송 ~ 광주송정 구간은 총사업비 8조 1,323억 원을 투입하여, 2009년 7월 24일에 착공하고 2015년 4월 2일 개통하였다.[6] 개통 이후 광주송정역까지 1시간 33분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이 구간은 경부고속철도 원효터널 천성산 환경파괴 논란과 같은 일을 피하기 위하여 계룡산 국립공원을 지나지 않고 우회하도록 건설되었다.
2단계 광주송정 ~ 목포 구간은 기존선 활용과 신선 건설을 모두 포함하며, 분기점은 고막원역과 임성리역에 설치한다. 광주송정 ~ 나주 ~ 고막원 구간은 기존 호남선을 고속화하여 개량하고, 고막원 ~ 임성리 구간은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선로를 건설하며, 임성리 ~ 목포 구간은 역시 기존선을 활용하도록 추진될 예정이다.
연혁
편집운영
편집운행
편집운행 차량
편집노선 정보
편집역 목록
편집역명 및 영업거리가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0호로 고시되었다.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
↑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 방면 | |||||||
오송 | Osong | 五松 | 경부고속선, 충북선, 오송선 | 0.0 | 0.0 | 충청북도 | 청주시 |
(분기점) | 경부고속선 | 3.0 | 3.0 | ||||
공주 | Gongju | 公州 | 40.8 | 43.8 | 충청남도 | 공주시 | |
익산 | Iksan | 益山 |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 46.0 | 89.8 | 전북특별자치도 | 익산시 |
정읍 | Jeongeup | 井邑 | 호남선 | 42.1 | 131.9 | 정읍시 | |
광주송정 | Gwangjusongjeong | 光州松汀 | 호남선, 경전선, 북송정삼각선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 |
50.5 | 182.4 | 광주광역시 | 광산구 |
↓ 호남선 목포역 방면 |
주요 교량 및 터널
편집
교량편집
|
터널편집
|
호남고속선의 교통량
편집-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호남고속선에 운행하는 정기열차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운행구간 | 선로용량 | KTX | SRT | 전동차 | 운행총계 |
---|---|---|---|---|---|
오송 - 익산 | 175 | 48 | 20 | - | 68 |
익산 - 광주송정 | 178 | 40 | 20 | - | 60 |
미래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KTX 열차만 운행
- ↑ SRT 열차만 운행
- ↑ 임정재 기자 (2005년 2월 14일). “[대전]충청권 다시 집안싸움”. 《세계일보》.
- ↑ 이한나 기자 (2005년 6월 30일). “호남고속철 분기역 오송역 결정”. 《YTN》.
- ↑ 박승기 기자 (2005년 7월 12일). “[클릭 이슈] 호남고속철 분기역 ‘오송’ 결정 논란 확산”. 《서울신문》.
- ↑ 유의주 기자 (2016년 9월 21일). “고속철도 건설부채 '눈덩이'…철도시설공단 빚만 18조원”. 《연합뉴스》.
- ↑ 임청 기자 (2009년 7월 24일). “호남고속철 착공..익산서 '첫 삽'”. 《연합뉴스》.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0호, 2015년 2월 5일
- ↑ 김철원 기자 (2015년 4월 1일). “호남 KTX 개통식…서울-광주 1시간33분 '반나절 생활권'”. 《MBC뉴스데스크》.
- ↑ 최황지 기자 (2020년 12월 21일). “'무안공항 경유해 목포까지' 호남고속철 2025년 개통”. 《전남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