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남해에 위치한 섬

제주도(濟州島, 영어: Jeju Island)는 대한민국남해에 위치한 이자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한다. 섬의 면적은 1,846km²[1]인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3.72%에 해당한다. 2024년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약 70만 명으로, 공식적으로 섬으로 인정되지 않는 김포반도를 제외하면 한국의 섬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제주도
지도

지리

위치 동아시아
좌표 북위 33° 34′ 00″ 동경 126° 10′ 00″ / 북위 33.56667° 동경 126.16667°  / 33.56667; 126.16667

주요 섬 우도, 마라도, 가파도, 추자도, 차귀도, 비양도, 이어도,
면적 1,846 km2

최고점 한라산 1,950m 또는 1,947m
제주도
제주도
제주도
제주도(대한민국)
행정 구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시 제주시, 서귀포시

인구 통계
인구 약 70만명(2022년 기준)

데모님 제주인

또한 제주도는 중앙의 한라산을 중심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동서 73 km, 남북 31km의 타원형 모양을 하고 있다. 일주도로 길이는 181km, 해안선은 258km이다. 제주도의 북쪽 끝은 김녕해수욕장이고, 남쪽 끝은 송악산이며, 서쪽 끝은 수월봉, 동쪽 끝은 성산 일출봉이다. 제주도는 온대 기후에 속하며, 겨울에도 거의 영하로 떨어지지 않고 영상을 유지한다. 황해동해, 동중국해 경계에 자리잡아 대한민국의 정치·경제는 물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지위에 있다.

또한 2002년 12월 16일 유네스코가 제주도의 기후 및 생물 다양성의 생태계적 가치를 인정하여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하였다. 가파도뿐만 아니라 한라산, 성산 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가 학술·문화·관광·생태 등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정받아 2007년 6월,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자연유산에 등록되었다. 2010년 10월 3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네트워크(GGN)가 제주도 지역에 세계지질공원을 인증했다.

역사

편집

화산섬 제주는 신생대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서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 걸친 화산활동의 결과로 형성되었다. 즉 신생대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 기저를 구성하고 있는 현무암이 해상에서 분출된 이후, 신생대 제4기(120만년 전~25,000년 전) 동안 계속적인 화산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성산층, 화순층, 신양리층 등의 퇴적암층과 현무암, 조면암질, 안산암, 조면암 등의 화산암류, 그리고 후화산 작용에 따르는 각종 화산쇄설물 등으로 제주도가 형성된 것이다. 제주에서의 화산활동은 크게 5회의 분출 단계로 구분되고 있으며, 110회 이상의 용암분출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2]

전설

편집

제주도의 탄생 신화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신화가 전해져 내려오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설문대할망의 전설이다. 이와 관련된 신화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설문대할망: 제주도를 만들었다는 거대한 여신이다.
  • 산방산: 원래 위치는 한라산의 꼭대기였다는 제주도민들의 주장이 담겨있는 곳이나 실제로는 별도의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종상화산이다.
  • 영실기암: 기암괴석이 많은 영주 10경의 하나이다. 오백장군이라고도 부르는데, 설문대할망의 500명의 자식이라 한다.
  • 이어도: 제주도의 전설에서 유토피아로 그려지는 섬으로, 1990년대에 들어 제주도민들에 의해 현재의 이어도로 주장되기도 한다.
  • 백록담 : 제주도의 한라산 화산작용으로 형성된 화구호(호수)이다.
  • 용두암: 제주시 해안가에 위치한, 용암이 굳어진 바위이다. 바다 속에 잠긴 부분까지 포함한 40m 정도의 바위가 용 모양을 이룬다.
  • 삼성혈: 양을나, 고을나, 부을나의 삼신이 솟아난 곳이라 한다.

이름

편집

제주도는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 도이(島夷)
  • 동영주(東瀛州)
  • 주호(州胡)
  • 탐모라(耽牟羅)
  • 섭라(涉羅)
  • 탁라(乇羅)
  • 탐라(耽羅)
  • 크벨파르트, 퀠파트, 켈파르(Quelpaert, Quelpart, Quelpaërt): 1910년 일제강점기 전에는 크벨파르트라고 서양에 알려졌는데,[3][4] Quelparte[5] 또는 Quelpaert Island[6]는 네덜란드의 배 크벨파르트 데 브라크(네덜란드어: Quelpaert de Brack)호가 발견했다는 의미이다.
  • 삼다도(三多島): 바람, 여자, 돌이 많은 섬이라 삼다도라 불린다.[7]
  • 삼무도(三無島): 도둑, 거지, 대문이 없는 섬이라 삼무도라 불린다.

지질

편집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유네스코 세계유산  
 
영어명*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프랑스어명*Île volcanique et tunnels de lave de Jeju
등록 구분자연유산
기준Ⅶ, Ⅷ
지정 역사
2007년  (31차 정부간위원회)
웹사이트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안내
*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 유네스코에 의해 구분된 지역.

제3기의 서귀포층과 제4기에 속하는 성산층·화순층 등의 퇴적암층과 현무암·조면질안산암·조면암 등의 화산암류, 기생화산에서 분출한 화산쇄설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도에서의 화산활동은 크게 5회의 분출윤회로 구분되며 총 79회 이상에 달하는 용암분출이 관찰되고 있다. 특히 제주 전 면적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현무암류는 온 섬을 덮어 삼다(三多)의 하나인 ‘석다(石多)’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현무암은 구멍이 많고 점착성이 있으며 검은 빛깔을 띠는데, 가옥이나 담장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360여 개에 달하는 측화산(기생화산)은 성산층 및 화순층 퇴적기에 형성된 것과 최후의 후화산활동의 산물인 제5분출기에 속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남부해변에서는 용암과 바다가 만나 육각기둥을 이룬 주상절리대를 관찰할 수 있다.[8] 제주도 지역 제4기 화산암마그마의 발생 심도는 약 150~250 km로 추정된다.[9]

지하수

편집

제주도의 지질은 주로 감람석현무암으로 구성되며 그 외에 조면암, 조면암질안산암, 응회암 및 화성쇄설층이 있다. 제주도의 지하수는 육지의 물이 지하로 침투하여 계속 내려가다가 하부의 불투수층(치밀질암석 및 점토층)을 만나 더 이상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그대로 부존되거나, 불투수층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그대로 기저로 유입되어 해안가에서 용출된다. 제주도에서는 185개소 이상의 용출수가 해안을 따라 발달한다. 지하수 연구 결과 제주도의 지하수는 섬의 동부지역을 제외하고 같은 근원에서 산출된 것으로 보인다.[10]

지형

편집
 
하늘에서 바라본 제주도 북쪽 면. 가운데에 한라산이 보인다.

제주도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산섬이다. 화산 활동으로 생긴 기생 화산인 오름, 주상 절리, 용암 동굴, 현무암 지대 등을 많이 보존하고 있다. 주봉인 한라산을 중심으로 하여 동서사면은 매우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남북 방향에서는 약간 급한 사면을 갖는다.

한라산

편집

거대한 화산 폭발로 바다에서 뜨거운 용암이 솟구쳐 올라와 한라산이 만들어졌다. 그 중 가장 크게 솟구친 분화구가 있다

주상절리

편집

용암이 흐르다가 차가운 공기, 바닷물과 만나 부피가 줄어들고 고체로 굳어지면서 오각형, 육각형 모양의 돌기둥이 되었다.

용암 동굴

편집

용암 동굴은 굳은 용암의 표면 아래에 생긴 동굴로, 용암의 표면이 굳은 뒤 내부 용암이 빠져나가면서 만들어진다. 제주도에 있는 대표적인 동굴로는 만장굴이 있는데 이는 한라산에 의해 생긴 것이 아니라 거문오름에 의해 생긴 용암동굴계의 일부이다.

부근 도서

편집

형성 과정에서 설명한 기생 화산의 활동으로 제주도 주변에 크고 작은 섬들이 생겨났다.

유인도

편집

무인도

편집

기후

편집

제주도는 한국 최남단에 위치하고 근해에 난류가 흐르기 때문에 온대 기후를 이루고 있다. 연중 온난하여 제주시 지역의 연평균기온은 16.2℃, 최한월(1월) 평균기온 6.1℃, 최난월(8월) 평균기온 27.2℃이며, 서귀포시 지역은 이보다 더 높아 연평균기온은 16.9℃, 최한월(1월) 평균기온 7.2℃, 최난월(8월) 평균기온 27.2℃를 나타내 한국에서는 가장 연교차가 적은 해양성 기후를 보이고 있다. 연강수량은 북제주지방은 1,500~1,600mm, 남제주지방은 이보다 많은 1,600~1,800mm를 보여, 한국 최다우지에 속한다. 눈은 해발 200m 이하의 해안 저지대에는 대개 내리자마자 녹아버려 잘 쌓이지 않아 강설량이 적지만, 1,000m 이상의 한라산 부근에는 상당히 많은 눈이 내려 쌓이며, 5월까지도 잔설로 남아 있는 때가 있다. ‘풍다(風多)’로 알려진 제주도에서 바람은 연중 강하게 불며 특히 겨울철에는 초속 10m를 넘을 ���가 보통이며 초속 20m 이상 강풍이 부는 경우도 많다. 겨울 이외의 계절에도 태풍과 저기압의 통로이기 때문에 자주 바람이 불어 육지와의 교통이 두절되는 일이 적지 않다.

제주시 (제주지방기상청, 일도일동)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23.6
(74.5)
24.5
(76.1)
28.1
(82.6)
30.9
(87.6)
33.1
(91.6)
34.5
(94.1)
37.5
(99.5)
37.5
(99.5)
34.4
(93.9)
32.1
(89.8)
26.7
(80.1)
23.3
(73.9)
37.5
(99.5)
일평균 최고 기온 °C (°F) 8.6
(47.5)
9.9
(49.8)
13.3
(55.9)
18.0
(64.4)
22.1
(71.8)
24.9
(76.8)
29.3
(84.7)
30.1
(86.2)
26.1
(79.0)
21.6
(70.9)
16.4
(61.5)
11.0
(51.8)
19.3
(66.7)
일일 평균 기온 °C (°F) 6.1
(43.0)
6.8
(44.2)
9.8
(49.6)
14.2
(57.6)
18.3
(64.9)
21.7
(71.1)
26.2
(79.2)
27.2
(81.0)
23.3
(73.9)
18.6
(65.5)
13.3
(55.9)
8.3
(46.9)
16.2
(61.2)
일평균 최저 기온 °C (°F) 3.7
(38.7)
4.0
(39.2)
6.6
(43.9)
10.8
(51.4)
15.0
(59.0)
19.1
(66.4)
23.7
(74.7)
24.8
(76.6)
20.9
(69.6)
15.7
(60.3)
10.4
(50.7)
5.6
(42.1)
13.4
(56.1)
역대 최저 기온 °C (°F) −5.8
(21.6)
−6.0
(21.2)
−4.1
(24.6)
−0.2
(31.6)
4.0
(39.2)
9.2
(48.6)
15.0
(59.0)
15.8
(60.4)
9.8
(49.6)
5.5
(41.9)
0.5
(32.9)
−3.6
(25.5)
−6.0
(21.2)
평균 강수량 mm (인치) 67.5
(2.66)
57.2
(2.25)
90.6
(3.57)
89.7
(3.53)
95.6
(3.76)
171.2
(6.74)
210.2
(8.28)
272.3
(10.72)
227.8
(8.97)
95.1
(3.74)
69.5
(2.74)
55.6
(2.19)
1,502.3
(59.15)
평균 강수일수 (≥ 0.1 mm) 12.2 10.2 10.3 9.4 9.8 11.7 11.8 13.2 11.2 6.7 9.8 11.5 127.8
평균 강설일수 7.2 4.2 1.0 0.0 0.0 0.0 0.0 0.0 0.0 0.0 0.4 5.3 18.1
평균 상대 습도 (%) 64.0 63.3 63.2 64.8 68.4 77.9 78.3 76.2 73.7 66.4 65.0 64.1 68.8
평균 월간 일조시간 70.2 110.0 166.0 196.5 212.2 159.7 189.8 195.1 158.9 173.3 123.7 79.1 1,834.5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23년~현재)[12][13]
고산 (고산기상레이더관측소,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18.8
(65.8)
20.1
(68.2)
21.4
(70.5)
27.3
(81.1)
27.5
(81.5)
29.6
(85.3)
34.3
(93.7)
35.5
(95.9)
32.5
(90.5)
30.3
(86.5)
26.8
(80.2)
22.0
(71.6)
35.5
(95.9)
일평균 최고 기온 °C (°F) 8.4
(47.1)
9.4
(48.9)
12.5
(54.5)
16.7
(62.1)
20.4
(68.7)
23.7
(74.7)
27.4
(81.3)
29.3
(84.7)
26.1
(79.0)
21.4
(70.5)
16.4
(61.5)
11.0
(51.8)
18.6
(65.5)
일일 평균 기온 °C (°F) 6.1
(43.0)
6.6
(43.9)
9.4
(48.9)
13.4
(56.1)
17.1
(62.8)
20.7
(69.3)
24.9
(76.8)
26.4
(79.5)
23.0
(73.4)
18.5
(65.3)
13.5
(56.3)
8.5
(47.3)
15.7
(60.3)
일평균 최저 기온 °C (°F) 3.8
(38.8)
4.1
(39.4)
6.5
(43.7)
10.5
(50.9)
14.3
(57.7)
18.4
(65.1)
22.9
(73.2)
24.1
(75.4)
20.6
(69.1)
15.9
(60.6)
10.9
(51.6)
5.9
(42.6)
13.2
(55.8)
역대 최저 기온 °C (°F) −6.2
(20.8)
−3.0
(26.6)
−2.3
(27.9)
3.3
(37.9)
9.2
(48.6)
12.7
(54.9)
16.8
(62.2)
17.1
(62.8)
14.8
(58.6)
7.3
(45.1)
0.8
(33.4)
−2.0
(28.4)
−6.2
(20.8)
평균 강수량 mm (인치) 40.6
(1.60)
47.8
(1.88)
76.2
(3.00)
94.7
(3.73)
117.7
(4.63)
158.1
(6.22)
167.7
(6.60)
201.9
(7.95)
120.4
(4.74)
56.9
(2.24)
60.2
(2.37)
40.7
(1.60)
1,182.9
(46.57)
평균 강수일수 (≥ 0.1 mm) 10.6 9.0 10.2 9.0 9.6 11.3 11.3 13.1 9.6 6.3 8.6 10.4 119.0
평균 상대 습도 (%) 66.9 68.0 69.9 74.2 80.2 86.2 89.2 83.9 77.8 69.7 67.9 66.5 75.0
평균 월간 일조시간 95.4 131.0 175.4 196.3 205.3 156.0 172.6 219.7 187.4 206.6 150.7 106.3 2,002.7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88년~현재)[14][15]
서귀포시 (서귀포기상관측소, 서귀동)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20.7
(69.3)
23.6
(74.5)
23.8
(74.8)
28.5
(83.3)
30.4
(86.7)
31.5
(88.7)
35.8
(96.4)
35.9
(96.6)
34.8
(94.6)
30.9
(87.6)
28.0
(82.4)
22.4
(72.3)
35.9
(96.6)
일평균 최고 기온 °C (°F) 10.8
(51.4)
11.8
(53.2)
14.7
(58.5)
18.6
(65.5)
22.3
(72.1)
24.7
(76.5)
28.3
(82.9)
30.1
(86.2)
27.4
(81.3)
23.5
(74.3)
18.4
(65.1)
13.1
(55.6)
20.3
(68.5)
일일 평균 기온 °C (°F) 7.2
(45.0)
8.2
(46.8)
11.0
(51.8)
15.0
(59.0)
18.8
(65.8)
21.8
(71.2)
25.7
(78.3)
27.2
(81.0)
24.1
(75.4)
19.6
(67.3)
14.6
(58.3)
9.4
(48.9)
16.9
(62.4)
일평균 최저 기온 °C (°F) 4.1
(39.4)
4.8
(40.6)
7.5
(45.5)
11.6
(52.9)
15.8
(60.4)
19.5
(67.1)
23.8
(74.8)
24.9
(76.8)
21.5
(70.7)
16.4
(61.5)
11.2
(52.2)
6.2
(43.2)
13.9
(57.0)
역대 최저 기온 °C (°F) −6.4
(20.5)
−6.3
(20.7)
−4.4
(24.1)
0.2
(32.4)
7.2
(45.0)
11.9
(53.4)
14.8
(58.6)
16.8
(62.2)
12.2
(54.0)
6.8
(44.2)
0.0
(32.0)
−4.1
(24.6)
−6.4
(20.5)
평균 강수량 mm (인치) 60.7
(2.39)
77.9
(3.07)
130.3
(5.13)
187.0
(7.36)
223.6
(8.80)
267.6
(10.54)
275.8
(10.86)
315.7
(12.43)
208.8
(8.22)
100.4
(3.95)
86.2
(3.39)
55.6
(2.19)
1,989.6
(78.33)
평균 강수일수 (≥ 0.1 mm) 9.8 9.6 10.5 10.1 10.7 12.8 13.8 14.3 10.9 5.8 8.1 8.9 125.3
평균 강설일수 3.8 2.4 0.8 0.0 0.0 0.0 0.0 0.0 0.0 0.0 0.1 3.1 10.2
평균 상대 습도 (%) 63.0 62.5 62.4 65.2 70.6 80.7 86.1 80.9 73.6 64.8 64.7 63.2 69.8
평균 월간 일조시간 153.5 157.4 185.8 196.5 203.5 136.3 144.8 187.7 174.7 208.8 166.8 158.8 2,074.6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61년~현재)[16][17]
성산 (성산기상레이더관측소,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18])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20.9
(69.6)
22.3
(72.1)
22.7
(72.9)
28.1
(82.6)
30.6
(87.1)
31.8
(89.2)
36.2
(97.2)
35.5
(95.9)
33.3
(91.9)
30.1
(86.2)
25.7
(78.3)
22.4
(72.3)
36.2
(97.2)
일평균 최고 기온 °C (°F) 8.9
(48.0)
10.1
(50.2)
13.6
(56.5)
18.0
(64.4)
21.9
(71.4)
24.2
(75.6)
28.1
(82.6)
29.7
(85.5)
26.5
(79.7)
22.0
(71.6)
16.7
(62.1)
11.2
(52.2)
19.2
(66.6)
일일 평균 기온 °C (°F) 5.4
(41.7)
6.3
(43.3)
9.5
(49.1)
13.8
(56.8)
17.7
(63.9)
20.9
(69.6)
25.1
(77.2)
26.5
(79.7)
23.2
(73.8)
18.2
(64.8)
12.7
(54.9)
7.5
(45.5)
15.6
(60.1)
일평균 최저 기온 °C (°F) 2.1
(35.8)
2.5
(36.5)
5.2
(41.4)
9.4
(48.9)
13.7
(56.7)
17.9
(64.2)
22.6
(72.7)
23.9
(75.0)
20.2
(68.4)
14.5
(58.1)
8.8
(47.8)
3.9
(39.0)
12.1
(53.8)
역대 최저 기온 °C (°F) −7.0
(19.4)
−6.4
(20.5)
−4.7
(23.5)
−1.3
(29.7)
1.7
(35.1)
8.2
(46.8)
13.7
(56.7)
16.2
(61.2)
10.4
(50.7)
3.2
(37.8)
−0.6
(30.9)
−4.0
(24.8)
−7.0
(19.4)
평균 강수량 mm (인치) 77.5
(3.05)
83.2
(3.28)
139.4
(5.49)
161.3
(6.35)
178.0
(7.01)
231.9
(9.13)
271.3
(10.68)
343.2
(13.51)
248.6
(9.79)
114.0
(4.49)
102.8
(4.05)
78.8
(3.10)
2,030
(79.92)
평균 강수일수 (≥ 0.1 mm) 11.0 9.8 10.4 9.4 9.8 12.8 12.7 13.3 10.8 6.3 9.0 10.1 125.4
평균 상대 습도 (%) 67.4 65.5 65.4 67.4 72.2 82.6 85.6 81.5 76.3 69.4 68.7 67.7 72.5
평균 월간 일조시간 128.6 145.5 181.5 198.0 208.7 141.1 160.3 192.6 167.2 192.0 156.7 134.7 2,006.9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1년~현재)[19][20]

생태계

편집
 
제주도의 라산

제주도의 생태계는 한라산의 고도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인다.

식생

편집

식물분포는 아열대·온대·한대식물 등 3대에 걸쳐 수직으로 분포한다. 제주도의 해안 지역은 연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영상의 기온을 유지하는 아열대성 기후가 나타나며, 비자나무, 동백나무, 너도잣밤나무와 같은 상록 활엽수의 자생지가 있다. 워싱턴 야자수, 소철나무와 같이 대한민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야외에서 거의 제대로 기르기 힘든 외래종도 잘 자란다. 제주도의 중산간일대에는 넓은 초지가 있어 예로부터 말을 방목하였다. 한라산 정상까지 높이 올라갈수록 벚나무 자생 군락과 같은 낙엽 활엽수산철쭉과 같은 관목림 지역, 그리고 구상나무와 같은 침엽수림 지역이 차례로 나타난다.

동물

편집

다양한 식물분포에 비하여 동물의 분포상은 매우 빈약하다. 제주도에는 예로부터 맹금이나 맹수가 없고 노루제주족제비가 있었다. 조류는 제주 특유의 제주딱다구리·박새·곤줄박이 등 50여 종에 달한다. 제주도에는 원래 까마귀가 많고 까치는 없었으나, 1989년 일간스포츠신문사가 50여 마리를 방사하여 그 수가 크게 불었다. 외래종인 까치의 개체수 증가는 제주도 생태계 교란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북방산 개구리도 서식한다.

곶자왈

편집

제주도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평면적으로는 타원형의 그리고 입체적으로는 원추형의 모습을 띈 용암류로 뒤덮힌 화산섬이다. 이러한 지표의 용암층 위에 식물과 생태계가 독특한 생태환경을 일궈나간 화산섬으로 제주어로는 곶자왈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실상은 잡목과 잡풀이 우거진 맹지.

세계지질공원

편집

2010년 10월 3일 유네스코(UNESCO) 세계지질공원네트워크(GGN)가 그리스 레스보스 섬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에서 후보지에 대한 평가와 심의 등을 거쳐 제주도 9개 지질명소(세계자연유산 3개 지구-한라산, 성산일출봉, 만장굴-에 6개 지역-천지연폭포, 서귀포층, 대포동해안 주상절리대, 산방산, 용머리해안, 수월봉-을 명소로 추가)를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했다.[21][22] 이후 2014년 대표명소로 우도, 비양도, 선흘곶자왈 3곳이 추가 지정되었다.

제주도는 세계자연유산적 가치 및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서 중요도가 높다는 점에서 세계지질공원으로 제주도 섬 전체가 인정받은 것이고, 그 가운데 한라산을 비롯한 12곳이 대표적인 지질명소라고 이해해야할 필요성이 있다.[23]

관광

편집

21코스로 되어 있으며, 총 길이는 약 420km이다. 걷는 여행이라는 취지에 맞게 개발된 길로 마을길, 해안도로, 숲속 오솔길 등 다양한 길로 이루어져 있다. 올레길에서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사건 사고가 발생한다.

음식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WP). 2012년 4월 16일.  제주특별자치도의 전체 면적은 1,849 km2이다.
  2. 섬의 형성 과정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8일 확인
  3. “The Island of Quelpart”. JSTOR 198722. 
  4. “Quelpart Island and Its People”. JSTOR 208503. 
  5. “The Queen of Quelparte”. 
  6. “The Name of Quelpaert Island”. 
  7. “Jeju Island Facts”. 
  8. 강정효, 한라산,오름들의 왕국, 돌베개, 2007, ISBN 89-71-99156-9
  9. 이민성; 전용원 (1986년 1월). “Study on the Quaternary Volcanics and their Tectonic Environment of Southern Korea (한반도 남부의 제4기 화산암류와 이들의 tectonic한 환경)”. 《대한지질학회21 (4): 260-280. 
  10. 최순학; 김영기 (1989년 9월). “濟州島 地下水의 水質特性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Cheju Island)”. 《대한지질학회25 (3): 230-238. 
  11. 대정읍 인구현황(2016.12.31.기준) 대정읍사무소 홈페이지, 2007년 3월 21일 확인.
  12.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제주(184)”.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13.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제주(184)”.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14.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고산(185)”.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15. “순위값 - 구역별조회 고산(185)”.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16.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서귀포(189)”.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17.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서귀포(189)”.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18. 1971년~1990년은 성산읍 오조리 소재, 1990년부터는 성산읍 신산리 소재 관측소에서 관측
  19.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성산(188)”.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20.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성산(188)”.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21. 조선일보
  22. “한겨레신문”. 2018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5일에 확인함. 
  23. 제주특별자치도-세계지질공원제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