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백남

일제 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영화인, 소설가.

윤백남(尹白南, 1888년 11월 7일~1954년 9월 29일)은 일제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예술가이다.

윤백남
본명윤교중(尹敎重)
출생1888년 11월 7일(1888-11-07)
조선 충청도 공주군
사망1954년 9월 29일(1954-09-29)(65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조선대한제국대한민국
직업연극인, 영화인, 소설가
활동 기간1912년~1954년
학력일본 도쿄 고등상업학교 전문학사

배우, 극작가, 소설가, 언론인, 영화감독, 연극연출가, 영화제작자 등을 다양한 직업을 겸했다. 본명은 윤교중(尹敎重)이다.

주요 경력

편집

생애 및 평가

편집

충청남도 공주군 출신으로 어릴 때는 한학을 공부했다. 한성부로 올라와 신학문을 익힌 뒤 1904년일본으로 건너갔다. 대한제국 관비 유학생으로 와세다 대학에 입학하기도 했으나, 학비 지원이 끊겨 중퇴 후 일본 도쿄 고등상업학교로 옮겨 전문학사 학위 취득에 성공했다.

귀국 후 보성전문학교 강사가 되었고, 한일 합방 조약이후로 매일신보 기자가 되어 문필 생활을 시작했다.[1] 1912년에는 조중환과 함께 한국에서 두 번째 신파극 극단인 문수성(文秀星)을 창단하여 1916년 해산될 때까지 번안 신파극을 공연하고 배우로도 활동했다. 문수성이 해체된 후 반도문예사(半島文藝社)를 설립하여 월간 잡지 《예원(藝苑)》을 발간하였다. 이기세, 이범구 등과 극단 예성좌(藝星座)를 조직하고, 1917년에는 백남(白南) 프로덕션을 창립, 여러 편의 영화를 제작·감독하여 영화계에 선구적인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2]

1923년에는 한국 최초의 극영화 《월하의 맹서》를 촬영했다. 윤백남은 이 영화의 각본과 감독을 맡았으며, 민중극단 배우였던 이월화를 출연시키기도 했다. 영화 《운영전》, 《심청전》 등을 연이어 발표하였으나 흥행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한때는 경남 김해에 내려가 합성학교(合成學校)의 교장을 지내기도 했다. 1920년 《동아일보》 창간 때 입사하여 《수호전》을 번역·연재했다.[2]

연극론과 희곡을 발표하고 극단을 조직하여 자신의 희곡을 무대에 올리기도 했다.

1922년에 개량신파극단인 민중극단(民衆劇團)을 조직·주재했고, 1931년 극예술연구회(劇藝術硏究會)의 창립동인으로서 신극운동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2]

《매일신보》에 단편소설 《몽금》을 발표하였고, 1920년대 후반부터는 소설 창작에 몰두했다. 1930년에 동아일보에 한국 최초의 대중소설인 《대도전(大盜傳)》을 연재하였고, 큰 인기를 끌면서 인기 작가 반열에 올랐다. 1930년대에는 야담 운동에 뛰어들어 많은 야담 작품을 발표했고, 1934년 10월 월간지 《야담》을 창간하였으며, 1937년만주로 이주해 역사 소설을 썼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 귀국하여 조선영화건설본부 본부장 겸 대표위원장으로 취임하였다. 1953년에는 서라벌예술대학 학장을 맡고 대한민국예술원 초대 회원을 지냈다.

연극, 영화,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근대 문화의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한 계몽가로 평가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윤백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신파극/신파극의 작가와 작품/윤백남, 《글로벌 세계 대백과》

외부 링크

편집

참고 자료

편집
  • 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2006년 12월 15일). 《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서울: 소도. 215~217쪽쪽. ISBN 978-89-90626-26-4.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