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장동물
영장동물(靈長動物, Euarchonta)은 다음의 4개 목을 포함하는 포유류의 분류이다.: 날원숭이목(Dermoptera), 나무두더지목(Scandentia), 멸종된 플레시아다피스목 (Plesiadapiformes), 그리고 영장류(Primate).
![]() | ||
---|---|---|
![]() 영장동물(Euarchonts): 왼쪽 위: 플레시아다피스, 오른쪽 위: 북부나무두더지, 왼쪽 아래: 순다날원숭이, 오른쪽 아래: 노랑개코원숭이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하강: | 진수하강 | |
상목: | 영장상목 | |
(미분류): | 영장동물 (Euarchonta) | |
목 | ||
|
영장동물, 즉 "Euarchonta"이라는 용어("진정한 선조"라는 의미)는 일반적으로 과학 문헌에 1999년 첫 등장하였고, 분자생물학적 증거는 형태학-기반의 통수상목(統獸上目, Archonta)에서 박쥐목(Chiroptera)을 배제하였다.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포유류 계통 분류이다.[1]
포유강 |
| ||||||||||||||||||||||||||||||||||||||||||||||||||||||||||||||||||
영장상목 |
| ||||||||||||||||||||||||||||||
각주
편집- ↑ Nishihara, H.; Maruyama, S.; Okada, N. (2009).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13): 5235–5240. Bibcode:2009PNAS..106.5235N. doi:10.1073/pnas.0809297106. PMC 2655268. PMID 19286970.
- ↑ Murphy W. J., E. Eizirik, W. E. Johnson, Y. P. Zhang, O. A. Ryder, S. J. O'Brien, 2001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the origins of placental mammals Nature 409:614-618. [1]
- ↑ Ulfur Arnason, et al. Mammalian mitogenomic relationships and the root of the eutherian tre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99: 8151-8156. [2]
- ↑ Jan Ole Kriegs, Gennady Churakov, Jerzy Jurka, Jürgen Brosius, and Jürgen Schmitz (2007) Evolutionary history of 7SL RNA-derived SINEs in Supraprimates. Trends in Genetics 23 (4): 158-161 [3] (PDF version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