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룩스
아크룩스 또는 남십자자리 알파(α Cru)는 지구로부터 남십자자리 방향으로 321 광년 떨어져 있는 다중성계로 남십자성을 이루는 구성원이다.[1][12] 구성원 전체의 겉보기 밝기는 +0.76으로 남십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동시에 밤하늘에서 13번째로 밝은 천체이다. 아크룩스는 밤하늘의 1등성들 중 가장 천구의 남극 가까이에 있으며 그 다음으로 가까운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보다 2.3도 남쪽에 자리잡고 있다.[13]
아크룩스 A/B | ||
아크룩스의 위치.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남십자자리 알파 | |
밝은 별 목록 | A: HR 4730, B: HR 4731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A: HD 108248, B: HD 108249 | |
다른 이름 | 통합: HIP 60718, CPD−62°2745, WDS J12266-6306, CCDM J12266-6306. A: 아크룩스(Acrux), FK5 462, GC 16952, 26 G. Crucis. B: GC 16953, 2MASS J12263615-6305571, 27 G. Crucis.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남십자자리 | |
적경(α) | 12h 26m 35.89522s[1] | |
적위(δ) | −63° 05′ 56.7343″[1] | |
겉보기등급(m) | 0.76[2] (1.33/1.75)[3] | |
절대등급(M) | −3.77[4] (−2.2/−2.7[5])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11.2/−0.6 km/s[6] | |
적경 고유운동 | −35.83 밀리초각/년[1] | |
적위 고유운동 | −14.86 밀리초각/년[1] | |
연주시차 | 10.13 ± 0.50 밀리초각[1] | |
성질 | ||
광도 | 25,000/16,000[7] L☉ | |
나이 | ?/10.8 백만 년[8] | |
분광형 | B0.5IV/B1V[9] | |
B-V 색지수 | −0.26[2] | |
추가 사항 | ||
질량 | (17.80+6.05)/15.52 M☉[3] | |
반지름 | 7.8[10]/5.4 R☉ | |
표면온도 | 24,000/28,000 K[11] | |
자전 속도 | 120/200 km/s[11] | |
항성 목록 |
아크룩스는 맨눈에는 단독성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구성원 여섯으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다. 광학 망원경으로 관측시 아크룩스는 삼중성으로 보이는데 밝은 구성원 아크룩스 A와 아크룩스 B는 약 4 초각 떨어져 있다. 두 구성원 모두 B형 항성이며 태양보다 훨씬 무겁고 밝다. 아크룩스 A 자체는 분광쌍성으로 아크룩스 Aa(역사적으로 항성계 전체를 가리켜 온 '아크룩스'는 Aa의 공식 명칭이 되었다.)와[14][15] Ab로 이루어져 있다. 두 구성원은 서로의 질량 중심을 약 1 천문단위(AU) 떨어져서 76일마다 한 번씩 돌고 있다.[7] 아크룩스 C는 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동반성이다.
명칭
편집이 별의 고유 명칭 아크룩스(Acrux)는 그리스 문자 알파(Alpha)의 A에 남십자자리를 뜻하는 crux를 단순히 조합한 명칭이다.[16] 남십자자리 알파는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명칭이다. 주요 구성원 둘은 아크룩스 A(남십자자리 알파1 또는 남십자자리 알파 A)와 아크룩스 B(남십자자리 알파2 또는 남십자자리 알파 B)로 표기한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밤하늘 항성들의 명칭을 공식화 및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17]을 조직하였다. WGSN의 원칙에 따르면 다중성계의 구성원들 중 가장 밝게 보이는 구성원에 고유 명칭을 부여한다.[18] WGSN은 2016년 7월 20일 아크룩스(Acrux)를 ���성 아크룩스 Aa의 이름으로 공식 승인했으며 현재 IAU 항성명칭 목록에 수록되어 있다.[15]
아크룩스는 남위−63°에 있어서 1등성들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위 27°보다 낮은 위도로 내려가야 관측이 가능하므로 대한민국에서는 볼 수 없다. 자전축의 세차 운동 때문에 고대 힌두 천문학자들은 아크룩스를 볼 수 있었으며 '트리-샨쿠'라는 이름을 붙였다. 고대 로마인들과 그리스인들 역시 아크룩스를 볼 수 있었고 이들은 아크룩스를 센타우루스자리의 일부분으로 간주했다.[19]
중화권에서는 남십자자리를 십자가(十字架)로 부르며 구성원은 미모사, 남십자자리 감마, 남십자자리 델타, 아크룩스이다.[20] 이들 중 아크룩스만을 부르는 명칭은 십자가2(十字架二, 십자가에서 두 번째 별)이다.[21]
속성
편집아크룩스의 구성원 둘인 아크룩스 A와 B는 밤하늘에서 약 4초각 떨어져 있다. 아크룩스 A의 겉보기등급은 1.40이며 B는 2.09이다. 유효온도는 각각 28,000 / 26,000 켈빈으로 둘 다 초기 B형 항성이다. 두 구성원의 광도는 각각 태양의 25,000 / 16,000 배이다. 아크룩스 A와 B가 서로를 공전하는 주기는 꽤 길어서 움직임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A와 B는 가장 가까이 접근해도 430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이로부터 계산한 공전 주기는 약 1,500년으로 보인다.[3]
아크룩스 A 자체는 분광쌍성으로 구성원 둘의 질량은 각각 태양의 14배, 10배이며 서로 약 1 천문단위 떨어져서 76일을 1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아크룩스 B와 더 밝은 A는 질량이 커서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할 것이다. 다만 아크룩스 Ab는 살아남아 무거운 백색왜성이 될 것이다.[7]
2011년 Rizzuto 연구진은 66%의 확률로 아크룩스가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 내 '아래쪽 센타우루스자리-남십자자리 서브그룹'(Lower Centaurus-Crux sub-group)의 일원일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종전에는 아크룩스가 이 성협의 구성원이 아닌 것으로 보았었다.[23]
삼중성계 아크룩스로부터 90 초각 떨어진 곳에 아크룩스보다 어둡고 덜 뜨거운 B형 항성 HR 4729(HD 108250)가 있는데 이 별은 아크룩스와 운동을 공유하고 있어서 중력적으로 묶여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학계의 중론에 따르면 이 별과 아크룩스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24][25] HR 4729 자체는 분광쌍성으로 종종 '아크룩스 C'로 표기되어 아크룩스 항성계의 세 번째 구성원으로 불리기도 한다. 근처에 어두운 안시 동반성 아크룩스 D가 있다. 2초각 이내 범위에 있는 어두운 항성 일곱 개가 아크룩스 계의 동반성들로 수록되어 있다.[26]
2008년 10월 2일 카시니-하위헌스 호는 토성의 고리가 아크룩스를 가리는 과정에서 구성원 셋(A, B, C)을 분해하여 촬영하였다.[27][28]
문화
편집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사모아, 파푸아뉴기니의 국기에는 남십자성이 나오며 이들 중 가장 밝은 아크룩스 역시 포함되어 있다. 브라질 국기에는 아크룩스와 함께 항성 26개가 나오는데 각 항성은 1개의 주를 상징하며, 아크룩스는 상파울루주를 나타낸다.[29] 2015년 변경된 디자인의 브라질 여권에도 남십자성의 일부로 표현되어 있다. 브라질의 해양관측선 Alpha Crucis는 이 별의 이름을 딴 것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Corben, P. M. (1966). “Photoelectric magnitudes and colours for bright southern stars”. 《Monthly Notes of the Astron. Soc. Southern Africa》 25: 44. Bibcode:1966MNSSA..25...44C.
- ↑ 가 나 다 Tokovinin, A. A. (1997).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4 (1): 75–84. Bibcode:1997A&AS..124...75T. doi:10.1051/aas:1997181. ISSN 0365-0138.
- ↑ Kaltcheva, N. T.; Golev, V. K.; Moran, K. (2014). “Massive stellar content of the Galactic supershell GSH 305+01-24”. 《Astronomy & Astrophysics》 562: A69. arXiv:1312.5592. Bibcode:2014A&A...562A..69K. doi:10.1051/0004-6361/201321454.
- ↑ Van De Kamp, Peter (1953). “The Twenty Brightest Star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65 (382): 30. Bibcode:1953PASP...65...30V. doi:10.1086/126523.
- ↑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Carnegie Institute Washington D.c. Publication》. Bibcode:1953GCRV..C......0W.
- ↑ 가 나 다 Kaler, James B. (2002). 〈Acrux〉. 《The Hundred Greatest Stars》. 4–5쪽. doi:10.1007/0-387-21625-1_2. ISBN 978-0-387-95436-3.
- ↑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 ↑ 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Ann Arbor : Dept. Of Astronomy》 1, Bibcode:1978mcts.book.....H
- ↑ https://www.wolframalpha.com/input/?i=acrux+luminosity
- ↑ 가 나 Dravins, Dainis; Jensen, Hannes; Lebohec, Stephan; Nuñez, Paul D. (2010). “Stellar intensity interferometry: Astrophysical targets for sub-milliarcsecond imaging”. 《Proceedings of the SPIE》. Optical and Infrared Interferometry II 7734: 77340A. arXiv:1009.5815. Bibcode:2010SPIE.7734E..0AD. doi:10.1117/12.856394.
- ↑ Perryman, Michael (2010),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Astronomers’ Universe (Heidelberg: Springer-Verlag), Bibcode:2010mhgs.book.....P, doi:10.1007/978-3-642-11602-5, ISBN 978-3-642-11601-8
- ↑ Bordeleau, André G. (2013년 8월 12일). 〈Federative Republic of Brazil: Constellations in the Breeze〉. 《Flags of the Night Sky》. New York: Springer. 1–72쪽. doi:10.1007/978-1-4614-0929-8_1. ISBN 978-1-4614-0928-1.
- ↑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 ↑ 가 나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 Paul Kunitzsch; Tim Smart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Sky Publishing. 32쪽. ISBN 978-1-931559-44-7.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2” (PDF). 2016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Books, 1963.
- ↑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 ↑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2010-09-03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 ↑ Silva, Guilherme Marques dos Santos; Ribas, Felipe Braga; Freitas, Mário Sérgio Teixeira de (2008). “Transformação de coordenadas aplicada à construção da maquete tridimensional de uma constelação”. 《Revista Brasileira de Ensino de Física》 30: 1306.1–1306.7. doi:10.1590/S1806-11172008000100007.
- ↑ Rizzuto, Aaron; Ireland, Michael; Robertson, J. G. (October 2011), “Multidimensional Bayesian membership analysis of the Sco OB2 moving group”,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6 (4): 3108–3117, arXiv:1106.2857, Bibcode:2011MNRAS.416.3108R, doi:10.1111/j.1365-2966.2011.19256.x.
- ↑ Shatsky, N.; Tokovinin, A. (2002). “The mass ratio distribution of B-type visual binaries in the Sco OB2 associa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2: 92–103. arXiv:astro-ph/0109456. Bibcode:2002A&A...382...92S. doi:10.1051/0004-6361:20011542.
- ↑ Eggleton, Peter; Tokovinin, A.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 ↑ Mason, Brian D.; Wycoff, Gary L.; Hartkopf, William I.; Douglass, Geoffrey G.; Worley, Charles E.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3471.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 ↑ “Cassini raw image”. NASA/JPL/Space Science Institute. 2017년 10월 31일에 확인함.
- ↑ Cassini "Kodak Moments" - Unmanned Spaceflight.com. Retrieved 2008-10-21
- ↑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