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배
세배(歲拜, 문화어: 설인사)는 한국의 설날 아침, 차례를 지낸 다음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고 새해 인사를 하는 것을 말한다. 과거에는 정월 초하룻날 윗사람에게 절을 하는 것이 현재까지 이어진 것이다.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설 음식으로 아침 식사를 마친 다음, 일가 친척과 이웃 어른을 찾아가서 세배를 한다. 세배하는 순서나 위치, 동작 등에는 남녀의 구분이 있다.[1] 세배할 때는 원칙적으로 한복을 입는다.
복장
편집대한민국 전통 복장인 한복을 입고 하지만 명절이기 때문에 설날에 한복을 입는 정도의 의미만 있을 뿐, 세배 자체에 복장 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복장이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과거의 세배
편집근래에는 한 집에서 함께 차례를 지낸 어른들에게 세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과거에는 직접 친척의 집까지 찾아가 세배를 드리기도 했다. 이를 위해 3~40리를 걷는 일도 허다했다고 한다. 이렇게 먼 거리에 있는 친척에게 세배를 드리는 것을 위해 정월 당일이 아닌 정월 15일까지 세배를 드리면 된다는 관행도 있었다.[2]
각주
편집- ↑ ‘세배·차례는 이렇게’…설 알고 쇠자, 《연합뉴스》, 2010.2.13.
- ↑ 세배 歲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전》,
참고 자료
편집이 글은 한국 문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