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장

서울특별시장(首都特別市長)은 서울특별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다. 다른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은 차관급 대우만 받지만, 서울특별시장은 유일하게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다만 윤치영 전 시장은 특별히 총리급 대우를 받기도 하였다. 또한 서울특별시장은 정부 지휘 없이 독자적 예산 편성과 일부 세금 조달 등 행정 명령 독자 행사 권한이 있다. 현재 서울특별시장은 오세훈이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장
현직:
오세훈

 2021년 4월 8일 취임
임기4년
초대김형민
설치일1946년 9월 28일
웹사이트https://mayor.seoul.go.kr/app/index.do

역대 시장

편집

경기도 경성부윤

편집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비고
관선 초대[주 1] 김창영(金昌永) 1945년 8월 15일~1945년 9월 11일
2대 제임스 S. 킬러프
(James S. Killough)
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

미군정 최고사령관 존 하지에 의해 임명, 현역 미국 육군 소령

대리 김창영(金昌永) 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
3대 이범승(李範昇) 1945년 10월 25일~1946년 5월 9일
대리 김성환(金聖煥) 1946년 5월 9일~1946년 6월 27일 총무부장으로 임시 대리
4대 김형민(金炯敏) 1946년 5월 10일~1946년 9월 27일 * 한성시장(漢城市長)이라는 명칭도 같이 사용하였다.

서울특별자유시장

편집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비고
관선 초대[주 2] 김형민(金炯敏) 1946년 9월 28일[1][2]~1948년 12월 14일
  • 전재민 수용계획 수립추진
  • 남산동 일본인 여관 13동을 수용소로 활용
  • 요정, 사찰, 빈집 등을 개방하여 전재민 수용
2대 윤보선(尹潽善) 1948년 12월 15일~1949년 6월 5일
  • 문맹퇴치를 위하여 9개 초등학교 신설, 동회에 국문보급반 편성 운영
  • 관혼상제의 허례허식 타파를 위해 신생활운동 전개
  • 식량배급 행정을 본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유령인구와 매점매석 단속
3대 이기붕(李起鵬) 1949년 6월 6일~1949년 8월 14일
  • 한국전쟁으로 부산에 서울특별시 부산행정청을 설치하여 피난온 서울시민 구호업무
  • 3,000명의 걸인을 수용하기 위해 9개의 무료숙박소 설치 운영
  • 1949년 8월 처음으로 운수업자를 지정, 105대의 버스운영(요금 80원)

서울특별시장

편집
구분:   보수주의 정당   민주당계 정당   무소속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정당 비고
관선 4대 이기붕(李起鵬) 1949년 8월 15일~1951년 5월 7일
  • 6.25 전쟁으로 피란하는 서울시민 구호 업무를 위하여 부산에 서울특별시 부산행정청 설치
  • 3,000명의 걸인을 수용하고자 9개의 무료숙박소 설치 운영
  • 1949년 8월 처음으로 운수업자를 지정, 105대의 버스운영(요금 80원)
- 전예용(全禮鎔) 1951년 5월 8일~1951년 6월 26일
  • 권한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5대 김태선(金泰善) 1951년 6월 27일~1952년 7월 23일
- 이익흥(李益興) 1952년 7월 24일~1952년 8월 28일
  • 권한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6대 김태선(金泰善) 1952년 8월 29일~1956년 7월 5일
7대 고재봉(高在鳳) 1956년 7월 6일~1957년 12월 13일
  • 시립병원 등 6개 병원과 보건소의 시설 개선
  • 식수난 해결을 위해 공동정호 100개소 신설
  • 상수도 7만t 증산계획을 국고보조로 시행
8대 허정(許政) 1957년 12월 14일~1959년 6월 11일
  • 우회도로 정비 및 보도의 대대적인 포장 실시
  • 주택난 해소를 위해 120만평의 미아리지구 택지조성 방안 마련
  • 시립종합병원과 보건소 개방, 방역 위생사업소 운영, 마장동 도축장 완공
9대 임흥순(任興淳) 1959년 6월 12일~1960년 5월 2일
  • 청계천 암거공사와 용산구∼성동구∼동대문구∼성북구 ∼의정부간 순환도로 추진
  • 1960년 아시아 축구대회 대비 효창운동장에 축구장 개설
  • 4개 보건소 청사 신축 및 공중변소 공동우물, 공중목욕탕 증설
10대 장기영(張基永) 1960년 5월 3일~1960년 6월 30일
  • 중부병원을 일반병원으로 활용하고, 부속 결핵요양소 신설
  • 23개동의 오물수거 지역확장 및 50개소의 공동우물 설치
  • 노동회관을 보건복지부로부터 인수운영
- 정종철(鄭鍾哲) 1960년 7월 1일~1960년 10월 8일
  • 직무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 김주흥(金柱興) 1960년 10월 8일~1960년 12월 29일
  • 직무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민선 11대 김상돈(金相敦) 1960년 12월 30일~1961년 5월 19일 민주당
  • 최초의 민선 서울특별시장
  • 건전재정을 도모하고, 부정에 일벌백계를 실시함으로써 공직기강확립
  • 도심지 교통량 분산, 각종 공장과 창고의 교외이전 정책 추진
  • 5·16 군사 정변으로 장면 내각 퇴진과 함께 사직
관선 12대 윤태일(尹泰日) 1961년 5월 20일~1963년 12월 16일
  • 현역 군인 신분의 서울특별시장
  • 1962년 2월 서울특별시행정에관한특별조치법이 제정됨에 따라 중앙관장사무가 대폭이양되고, 행정기구의 대폭적인 개편실시
  • 인구 500만을 기준으로 한 도시계획사업추진
  • 교외지역 발전에 중점을 두고 상하수도 완비 등 사회기반시설 확충
13대 윤치영(尹致暎) 1963년 12월 17일~1966년 3월 30일
  • 구로, 숭인, 은평, 뚝섬 등 4개지구 4천만평에 대한 도시계획 수립
  • 제2한강교(양화대교) 준공 (1965년 1월 25일), 제3한강교(한남대교) 착공
  • 서울시 최초의 장기계획인 시정10개년 계획 수립
14대 김현옥(金玄玉) 1966년 3월 31일~1970년 4월 15일
  • 세종로, 명동 등 지하도 개설, 자동차 전용 입체고가도로 건설 및 주요 간선도로 확장 포장
  • 세운상가, 파고다 아케이드, 낙원상가 등 도심재개발 사업 추진
  • 한강개발사업, 남산1 2호 터널 개통, 400여동의 시민아파트 건설
  • 영동1 2지구, 화양 망우지구, 시흥 신림지구 등 대규모 구획정리사업 추진
15대 양택식(梁鐸植) 1970년 4월 16일~1974년 9월 1일
  • 20년간의 도시기본계획 수립, 계획구역내 6개 지역지구에 대한 건축제한 방침을 정하는 장기계획 수립
  • 영동지구 구획정리사업 등 기본계획 확정
  • 무허가 건물 정리 10개년 계획 및 인구 분산계획 수립
  • 지하철 1호선 건설
16대 구자춘(具滋春) 1974년 9월 2일~1978년 12월 21일
  • 도시새마을 운동의 약진과 함께 서민주택 건설, 서민생활 보호 등 서민생활 보호를 위한 시책 추진
  • 도시건설의 내실화를 위해 도시기간시설 설치
  • 각종 생활환경시설의 확충 및 불량지구 재개발 등 추진
17대 정상천(鄭相千) 1978년 12월 22일~1980년 9월 1일
  • 도시의 기능 시설을 배치하여 능률을 제고하고 가로 구조물을 정비
  • 청소행정의 혁신, 도시가스시설 확충 및 의료보험의 확대 등 서민생활안정 종합대책 추진
  • 영세민 취업을 위한 직업알선센터 운영, 에너지 10%절약운동으로 제2의 석유파동 대처
18대 박영수(朴英秀) 1980년 9월 2일~1982년 4월 27일
  • 올림픽유치단장으로 바덴바덴 IOC총회에 참석하여 88서울 올림픽 유치
  • 「시민헌수운동」을 통해 1천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푸른서울가꾸기 사업의 추진
19대 김성배(金聖培) 1982년 4월 28일~1983년 10월 14일
20대 염보현(廉普鉉) 1983년 10월 15일~1987년 12월 29일
21대 김용래(金庸來) 1987년 12월 30일~1988년 12월 4일
22대 고건(高建) 1988년 12월 5일~1990년 12월 26일
  • 시정방침을 시민을 위한 ‘생활행정’시민과 함께하는 ‘참여행정’, 깨끗한 ‘공개 행정’으로 정하고 시정추진
  • 제2기 지하철 건설 추진 및 내부순환 및 북부간선도로 등 도시고속도로 착공
  • 빗물펌프장 확충 및 정비, 제방축조 등 항구적인 수방대책 수립 추진
23대 박세직(朴世直) 1990년 12월 27일~1991년 2월 18일
24대 이해원(李海元) 1991년 2월 19일~1992년 6월 25일
  • 도시지하도로 건설을 포함한 중장기 교통대책 마련 추진
  • 식수원인 한강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한강관리청’신설 추진
  • 처음으로 쓰레기 소각 처리 방식 도입
25대 이상배(李相培) 1992년 6월 26일~1993년 2월 25일
  • 주거환경 개선과 문화활동에 대한 지원에 역점을 두고 추진
  • 경희궁, 몽촌토성 등 역사적 유적지 복원사업 추진
  • 불량주택 재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해 주민동의율을 90%에서 67%로 하향조정
26대 김상철(金尙哲) 1993년 2월 26일~1993년 3월 4일 역대 최단재임 시장
- 우명규(禹命奎) 1993년 3월 5일~1993년 3월 7일
  • 직무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27대 이원종(李元鐘) 1993년 3월 8일~1994년 10월 21일
  • 각종 규제제도, 법령, 운영방법 등을 재검토하여 시민위주의 쇄신방안 마련
  • 제2기 지하철, 도시고속도로 건설 역점 추진 및 3기 지하철 건설계획 확정
  • 서울정도 600년 사업 추진
28대 우명규(禹命奎) 1994년 10월 22일~1994년 11월 2일
29대 최병렬(崔秉烈) 1994년 11월 3일~1995년 6월 30일
  • 각종 시설물의 안전확보와 부실공사 대칙 적극 추진
  •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교통특별대책 수립 추진
민선 30대 조순(趙淳) 1995년 7월 1일~1997년 9월 9일 민주당(1995)
통합민주당(1995~1996)
민주당(1996~1997)
  • 시정을 시민중심으로 전환하고 시정운영 3개년 계획과 부문별 중장기 계획 수립 추진
  • 당산철교 재시공 등 각종 도시시설물의 안전점검과 보수 추진
  • 환경기본조례제정, 환경헌장 제정. 서울의제 21 등 환경정책 적극 추진
  • 전국 최초로 사회복지조사 실시하여 시민복지 5개년 계획 수립
권한대행 강덕기(姜德基) 1997년 9월 10일~1998년 6월 30일 무소속
  • 직무대행
  • 조순 시장이 대통령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사퇴하여, 남은 임기 동안을 대행(행정1부시장)
31대 고건(高建)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1998~1999)
새천년민주당 (2000~2002)
  • 투명행정 구현을 위한 반부패 시책 추진 (민원처리온라인공개시스템, 청렴계약옴부즈만, 전자수의계약 등)
  • 생명의나무 천만그루 심기, 월드컵공원, 천연가스버스 도입 등 녹색서울 가꾸기
  • 2기 지하철을 임기 내 완성
  • 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
32대 이명박(李明博) 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 한나라당
33대 오세훈(吳世勳) 2006년 7월 1일~2011년 8월 26일
34대
권한대행 권영규(權寧奎) 2011년 8월 27일~2011년 10월 26일 무소속
  • 직무대행
  • 오세훈 서울시장이 사퇴하여, 남은 임기 동안을 대행(행정1부시장)
35대 박원순(朴元淳) 2011년 10월 27일~2020년 7월 9일 무소속(2011)
민주통합당(2011~2013)
민주당(2013~2014)

새정치민주연합 (2014~2015)
더불어민주당 (2015~2020)

36대
37대
권한대행 서정협(徐正協) 2020년 7월 10일~2021년 4월 7일 무소속
  • 권한대행[4]
  • 박원순 서울시장의 사망에 따른 권한대행(사인: 자살, 자세한 내용은 다음 참고)

(행정1부시장)

38대 오세훈(吳世勳) 2021년 4월 8일~ 국민의힘
  • 제33·34대 서울특별시장
39대

참고 자료

편집

역대 선거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1. 공식명칭은 "경성부윤"이다.
  2. 서울시가 경기도에서 독립한 이후
  3. 주민투표는 33.3%이상의 투표율을 기록해야만 효력이 발생한다.
참조주
  1. 역대 서울시장의 면면과 화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겨레》 2002년 6월 13일
  2. 자료대한민국사 (국사편찬위원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에 의하면 1946년 7월 29일이다.
  3. 서울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걸립 추진, 2019년 개관
  4. “서울시 9개월간 서정협 행정1부시장 대행체제”. 《연합뉴스》. 네이버 뉴스(보존) (서울). 2020년 7월 10일. 2021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