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만다발
심장의 전기 전도계에서 바흐만다발(Bachmann's bundle, Bachmann bundle), 또는 심방간경로, 심방사이경로(interatrial tract)는 좌심방의 안쪽 벽에 위치한 앞결절사이경로(anterior internodal tract)의 가지이다. 위대정맥과 오름대동맥 사이의 우심방으로부터 주행하는 심근의 넓은 띠이다.[1] 바흐만다발은 정상굴리듬동안에 좌심방이 전기적으로 활성화될 때 우선시되는 전도 경로이다. 따라서 바흐만다발은 심장의 '심방 전기 전도계'의 일부로 여겨진다.
바흐만다발 | |
---|---|
정보 | |
상위 구조 | 심장 전기 전도계 |
영어 | Bachmann's bundle |
역사
편집1916년 진 조지 바흐만(Jean George Bachmann)은 개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했다. 그는 심방을 연결하는 근섬유 다발을 조이면 전도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2]
구조
편집바흐만다발은 굴심방결절동맥(오른쪽, 왼쪽 또는 둘 다)에서 혈액 공급을 받는다.[3]
바흐만다발 외에, 심방의 전기 전도계를 구성하는 다른 3개의 전도 경로로는 굴심방결절에서 방실결절까지 이어지는 앞쪽, 중간, 뒤쪽 결절사이경로로 알려져 있으며 심장정맥굴 근처 영역에서 세 경로가 합쳐진다. 심방 자동능(atrial automaticity)이 만들어지는 부분은 심방 전기 전도계 안에 있다. 심장정맥굴 근처에 세 전도로가 합쳐지면 해당 영역에서 상당한 자동능이 활성화된다.
기능
편집정상적인 심장 리듬은 굴심방결절에서 시작되며, 굴심방결절은 위대정맥 근처의 우심방에 있다. 굴심방결절에서 활성화된 전기 신호는 우심방 전체로 퍼져 나간다. 활성화가 좌심방으로 전달될 수 있는 위치는 바흐만다발과 별개로 앞심방사이막, 뒤심방사이막, 심장정맥굴이 있다.[4] 바흐만다발은 굴심방결절 가까이에서 시작되고 길고 평행한 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굴리듬 동안 좌심방을 활성화시키는 첫 번째 경로가 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James, Thomas N. (1963년 10월 1일). “The connecting pathways between the sinus node and A-V node and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atrium in the human heart”. 《American Heart Journal》 66 (4): 498–508. doi:10.1016/0002-8703(63)90382-X.
- ↑ KHAJA, AZAMUDDIN; FLAKER, GREG (August 2005). “Bachmann's Bundle: Does It Play a Role in Atrial Fibrillation?”. 《Pacing and Clinical Electrophysiology》 28 (8): 855–863. doi:10.1111/j.1540-8159.2005.00168.x. PMID 16105015.
- ↑ van Campenhout, M. J. H.; Yaksh, A.; Kik, C.; de Jaegere, P. P.; Ho, S. Y.; Allessie, M. A.; de Groot, N. M. S. (2013년 10월 15일). “Bachmann's Bundle: A Key Player in the Development of Atrial Fibrillation?”. 《Circulation: Arrhythmia and Electrophysiology》 6 (5): 1041–1046. doi:10.1161/CIRCEP.113.000758.
- ↑ Sakamoto, S-I; 외. (2005). “Interatrial Electrical Connections: The Precise Location and Preferential Conduction”. 《Journal of Cardiovascular Electrophysiology》 16: 1077–1086. doi:10.1111/j.1540-8167.2005.4065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