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디다스 팀가이스트
아디다스 +팀가이스트(독일어: Adidas +Teamgeist ˈtiːmgaɪ̯st[*], +는 발음하지 않음)는 아디다스가 몰텐의 협조로 개발한 축구공이다. 이 공은 독일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이기도 했다. + 표시가 이름에 들어간 이유는 상표 등록 목적으로 집어넣은 것으로, 독일어 단어인 팀 정신(Teamgeist)을 상표로 등록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1]
종류 | 축구공 |
---|---|
발명자 | 아디다스, 몰텐 |
시작 | 2006년 |
제조업체 | 아디다스 |
구조
편집공 설계는 아디다스 혁신팀과 몰텐의 협조로 1970년 월드컵에 텔스타를 선보인 이래 월드컵 공인구를 계속 제작한 아디다스에서 제조했다. +팀가이스트 공은 기존의 공인구와 비슷한데 1970년 이래 표준으로 평가되는 32개 조각이 아닌 14개의 곡선 조각으로 만들어졌다.(깎은 정팔면체와 위상학적으로 동일) 32조각을 붙여 만든 호테이루의 경우처럼 +팀가이스트도 박음질이 아닌 열로 조각을 붙여 제작되었다.[1] 개발사는 +팀가이스트가 구형에 더 가깝고 어느 방향으로 차든지 간에 비슷한 궤적으로 날아가며 거의 완전 방수에 가까워 악천후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2]
월드컵 공식 경기구
편집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32개국 연맹에게는 연습용 축구공 40개가 지급되었다.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사용된 축구공에는 경기장명, 경기에 출전하는 두 국가명, 경기 개시 시간이 새겨졌고, 보호 코팅이 씌워졌다.
결승전에는 특수 공인구인 +팀가이스트 베를린이 사용되었다.[3] 팀가이스트 베를린은 기존의 팀가이스트와 같은 디자인을 사용했지만 표면을 금색, 흑색, 백색으로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결승전에 진출한 프랑스, 이탈리아 대표팀에게는 연습용 결승전 공인구가 20개씩 지급되었다.
기술 사항
편집본래 이 공인구에 전자 추적 시스템을 도입하려 했지만, 페루에서 열린 2005년 U-17 월드컵을 계기로 계획이 폐기되었다.
국제 축구 연맹 표준[4] | 팀가이스트[4] | |
---|---|---|
둘레 | 68.5 – 69.5 cm | 69.0 – 69.25 cm |
직경 | ≤ 1.5% 편차 | ≤ 1.0% 편차 |
흡수율 | ≤ 10% 중량 증가 | ≤ 0.1% 중량 증가 |
질량 | 420 - 445 g | 441 - 444 g |
형태 회복 | 50 km·h−1 조건에 2000회 | 50 km·h−1 조건에 3500회 |
반동 높이 | ≤ 10 cm | ≤ 2 cm |
압력 손실 | ≤ 20% | ≤ 11% |
팀가이스트는 전통적인 텔스타의 32조각을 탈피한 최초의 월드컵 공인구이다. 이 공인구는 14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3조각이 맞붙는 꼭지점 수가 60% 줄어들었고,(60개에서 24개로) 조각 모서리 길이는 15% 줄어들었다.(400.5 cm에서 339.3 cm로) 2004년에 열접합 방식의 제조법을 도입하면서, 팀가이스트는 월드컵에 처음으로 신기술을 접목한 공인구를 선보였다. 공인구를 제작하기 위해 러프버러 대학교는 독일 바이에른 주 샤인펠트의 아디다스 축구 연구소와 협력하여 엄격한 실험을 실시했다.[5]
비판
편집아디다스의 협찬을 받는 스위스의 요한 포겔과 잉글랜드의 데이비드 베컴을 비롯한 선수들은 새 공인구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월드컵을 앞두고 많은 선수들이 비판을 하기도 했다. 새 공인구를 비판한 선수들로는 브라질 국가대표 호베르투 카를루스[6]와 잉글랜드의 폴 로빈슨 등이 있었는데,[7] 이들은 공이 너무 가볍고 우천시 공이 평소와는 다르다는 점에 불평을 제기했다. 공의 박음질 길이가 줄어들어 공기 저항이 줄어들었고, 공의 궤적도 바뀌었다.[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공인구로 활용된 "와와 아바"(Wawa Aba)도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의 비판을 받았는데, 이집트의 호스니 압드 라보는 공을 주고 받기 나쁘다고 평했다.[9]
팀가이스트 2
편집아디다스는 일본에서 열린 2007년 클럽 월드컵에서 팀가이스트 2를 선보였다. 이후 2008년에 공식적으로 시판하여 2008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7인제 뇌성마비장애인 축구 공인구로 사용했다.
파생 공인구
편집아디다스는 여러 대회에서 +팀가이스트와 팀가이스트 2의 파생 공인구를 사용했다.[10]
연도 | 파생 공인구명 | 사용 대회 |
---|---|---|
2006 | 팀가이스트 | 2006년 월드컵 |
2006 | 팀가이스트 베를린 | 2006년 월드컵 결승전 |
팀가이스트 블루 | ||
팀가이스트 레드 | 2006년 클럽 월드컵 | |
2006 | 팀가이스트 RFEF | 코파 델 레이 2006-07 |
2007 | 팀가이스트 블루 2007 차이나 | 2007년 여자 월드컵 |
2007 | 팀가이스트 레드 2007 캐나다 | 2007년 U-20 월드컵 |
이 공인구 외에도 2008년 하계 올림픽의 아디다스 팀가2스트 마그누스 모에니아와 유로 2008의 오이로파스도 팀가이스트의 파생 공인구로 볼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Teamgeist 보관됨 2015-05-27 - 웨이백 머신 on Soccer Ball World (archived, 2006년 1월 6일 보존)
- ↑ Adidas Teamgeist on Adidas Group (2006년 6월 16일 보존)
- ↑ “Golden "Teamgeist Berlin" ball for the FIFA World Cup Final”. fifa.com. 2006년 4월 18일. 2019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Official World Cup Final Match Ball Teamgeist Soccer Ball”. Soccerballworld.com. 2006년 4월 18일. 2010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adidas unveils the match ball for the 2006 FIFA World Cup - tested at Loughborough University”. Loughborough University. 2005년 12월 13일. 2008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Champs: New ball falls flat”. 《Sports》 (St. Petersburg Times). Associated Press. 2006년 6월 2일. 2010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Taylor, Daniel (2006년 6월 7일). “The balls are awful says Robinson, but luckily I've had some practice”. 《World Cup 2006》 (Baden-Baden: Guardian Unlimited Football). 2010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Elliot, Danielle (2014년 7월 10일). “Why the World Cup Suddenly Has So Many Goals”. 《Nautilus》. 2018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7일에 확인함.
- ↑ “Hosni Abd Rabou Exclusive”. MTN Africa Cup of Nations. 2008년 2월 6일. 2011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Adidas”. 2011년 11월 22일.
외부 링크
편집이전 피버노바 |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 2006년 |
다음 자블라니 |